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개발자 지망생 상담소] 답변 들어갑니다. (1)
게시물ID : gametalk_25087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하까요
추천 : 16
조회수 : 1269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5/04/21 15:14:45
 운동하러 나가야 되는데 .... 일단 차근차근 답변해 봅시다. 댓글 달은 분 순서대로...
 
1) 게임 개발자를 지원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게임관련 학과 출신인가요
 - 네 그렇습니다. 요즘은 게임 개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서 면접을 보면 대부분 게임관련 학과, 학원 출신입니다.
   게임 개발이라는게 워낙 넓고 깊은 분야라 전문적으로 배워도 매우 부족합니다.
   개발일을 하실려면 이런 교육기관을 수료하셔야 합니다. 물론 거의 수석으로 성적을 내셔야 취업이 될랑 말랑합니다.
  학과, 학원은 정기적으로 파트너쉽을 맺고 국내 유수의 개발사에 재능있는 신입을 추천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추천정도는 받을 실력이 되야 대기업 신입사원으로 출발할 수 있습니다.
 
 그냥 면접봐서 자꾸 떨어지시면 더이상 시간낭비 마시고 좋은 개발의 추억을 간직한채 다른일 하세요. 농담 아닙니다.
 
 
2) 여자친구 있으세요?
  - 딸이 있습니다.
 
3) 야근은 필수인가여? 야근수당은?
 - 나중에 야근 특집 한번 해볼께요.
 - 대충말하면 야근은 무능력자들이 많든 낙후되고 불합리한 개발 프로세스때문에 생깁니다. 야근 없이도 개발은 충분히
   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재가 만든 프로세스는 대부분 자동화, 스크립트화를 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나 기획자들이
  최소한의 시행착오만 하도록 만듭니다. 갈아 엎는 일이 없으니 그래퍼들도 스케줄 관리가 되서 야근 안하죠.
 
  야근 많이 하는 회사는 스케줄 관리가 안되는 회사고 스케줄 안되는 이유는 회사의 리드급 이상이 매우 삐리한 분들이
 월급을 타먹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야근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개발중에 예상하지 못한 리스크는 항상 있기 때문에 야근을 하는 경우는 꽤 됩니다.
 
 때문에 대기업같이 프로세스가 있는 회사는 야근을 시키면 당연히 야근수당 줍니다. 모든 스케줄을 하루 8시간 기준으로
짜고 합리적인 프레임 위에서 개발하거든요.
 
 근데 중소기업, 스타트업같은 열악한 회사는 그딴거 전혀 없겠죠? 자기도 야근 왜 하는줄 모르니까 야근수당이 있을까요.
 야근수당 요구하면 미운털 박히고 알아서 잘라줍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