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개발자 지망생 상담소] 답변 들어갑니다 (3)
게시물ID : gametalk_2508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하까요
추천 : 10
조회수 : 1015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5/04/21 17:14:48
1) 가장 많이 드신 야식이 짜장면인가요 짬뽕인가뇨?
 - 둘다 안 먹습니다. 개발자는 평생 앉아 있는 직업이라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면 단명합니다.
   야식은 기름지지 않는 것으로 간단히 먹고 운동하셔야 오래 개발할 수 있습니다.
=============================================================================================================
 
2) 포트폴리오(직접 개발한 게임 등)이 취업에 얼마나 영향을 줄까요
  - 프로그래밍파트면 당연히 소스코드까지 필수로 첨부하여 모두 분석하실 정도는 되야 합니다. 면접관이 물어봅니다.
    남의 코드 대충 가져와서 만들면 금방 들킵니다. 포트폴리오로 승부하셔야죠
 
 - 기획파트면 시스템 역기획서나 개요문서, 분석및 제안문서 같은 포트폴리오가 중요합니다. 이런건 페이핑 테크닉은 학원가면 정말
  잘 가르처 줍니다.
 
 - 그래픽 파트는... 포폴이 그냥 전부겠지요.
================================================================
3)기획 배우고있는 학생입니다. 원래 그래픽쪽이었는데 더 넓게 배우고싶어서 전과했는데, 아직도 좀 고민중인게 기획쪽이 좀 대우가 열악하다고 들었습니다. 다시 그래픽을 잡아야할지... 고민되네요. 물론 알고 전과한거고 아직도 꾸준히 그래픽 공부는 하고있습니다.
둘 다 할 수 있는 방법도 있을까요?
 
 - 고급 기획자들, 진짜 기획자들은 이미 다 한자리들 차지 하고 있어 신규 수요가 없습니다. 사업이 확장되지 않는한 고급 기획자들은 자기와 손발이
 맞는 지인이나 인맥에서 사람을 찾습니다. 그나마 수요도 매우 없구요.
 - 그래픽은 모델링쪽은 실력이 다 상향 평준화가 되어서 오히려 성격이나 사회성같은 인성을 많이 봅니다. 차별화 할려면  UI / UX까지 하는 멀티 워커나
   원화로 승부하는 수 정도가 있습니다. 모두 신입이 뚫기는 매우 힘든 상황이죠. 일자리 자체가 많이 없어지다 보니 시장에는 고급 그래퍼들도 자기
   연봉 깍아서 스타트업 들어가는 실정입니다.  대기업의 한정된 자리는 이미 인맥으로 꽉 찬 상태구요. 그런데에서 한자리 할려면 정말 많은 노력과
   시간, 재능이 필요할거에요.
 
 - 기획자로 성공할려면 선임을 잘 만나야 되는데 그만큼의 매력이나 스토리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4) 지금 개인적으로는 C#과 유니티 쪽을 공부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엔진 위주가 나을지 기본 언어위주의 스킬이 더 중요할지 궁금합니다.
 
 - 요즘 학원 / 학교에서는 엔진위주로 가르칩니다. 유니티를 워낙 많이 써서 취업에 유리하거든요.
   근데 넥슨같은 대기업은 오히려 언어 아키텍처, 즉 C  알고리즘이나 C++의 객체지향같은 것으로 기술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언어를 잘하고 많이 연구하는 사람은 논리력이 뛰어나기 때문이고 그런 논리력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 시행착오가
  적고 일을 빨리, 적극적으로 배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도 신입은 절때 엔진 위주의 문제를 내지 않습니다. 그런건 그냥 익히면 끝입니다.
 
- 근데 대충 C#  은 문법만 익히고 엔진 인터페이스만 익혀서 어설픈 포트폴리오 들고 다니는 신입이 너무 많습니다. 이것은 학원과 학교가
 돈벌이에만 관심이 있기 때문이거든요. 이런 포폴은 기술력이 없는 중소 스타트업에서나 관심을 가져 줍니다. 당장 게임을 만들수 있을거 같아
보이거든요,
 
- 따라서 오래 살아남을려면 언어 위주의 프로그램 아키텍처를 연구하시고 몇년 하시고 그만하실려면 엔진위주로 하세요.
  두 부류는 결정적으로 설계와 문제해결 능력에 있습니다. 엔진 위주로 작은 2D 게임만 만들어온 사람은 설계와 문제해결 능력이 높아지지 않습니다.
 
- 참고로 엔진 위주의 프로그래머는 스크립터라고 불리며 모바일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래머는 널리고 널렸습니다. 이런 스크립터의 생명주기는
 한 5년 되려나요. 내가 5년 한 일이 1년차 스크립터도 할 수 있으면 당신의 미래는 없습니다.
=======================================================================
 
5) iOS 앱 개발 3년차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iOS개발 스킬 외에는 없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진로가 걱정입니다. iOS개발만 해서 먹고 살 수 있을까 아니면 다른걸 준비해야하나 고민도 되네요 실제로 이직 준비할때 Android 개발도 준비해봤지만 취업되면서 그리 깊게는 하지 못.. 아니 거의 하지 못했습니다. 컴공졸업했지만 자바는 거의 모르는 실적이고요.... 그냥 하나만 밀고가도 개발바닥 먹고살 수 있을까요. 아니면 다재다능하게 이것저것 다 해야할까요...
 
 - 엡 개발로 먹고살기는 지금은 매우 힘듭니다.  IOS 초창기에는 아이디어로 승부할 수 있는 소규모 소프트 웨어 회사가 융성했는데 지금은 살아남을
   사람은 살아남고 망할 회사는 망해서 신규 엡 수요가 그다지 많지 않아요.
 
 - 하나만 파서 성공한 사람은 이미 개발판에 자리 다 잡았습니다.
  국내에 3D  랜더링 프로그래머는 더이상 신규 구인이 없습니다.  1세대 유능한 프로그래머들이 계속 일하고 있고 신규 프로젝트는 없으며 3D 랜더링
  분야처럼 깊은 분야를 체계적으로 가르치거나 인재를 기르는 회사도 없습니다.
 
 - 그래서 다양한 걸 다 "잘해야" 합니다... 어렵죠.  C / C++은 물론이고 C#도 아주 잘해야 프로그래머로 게임업계 취업이 됩니다.
   자바는 모르셔도 됩니다. 게임 업계에서 자바는 쓰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있었는데 금방 도태 되었죠. 그리고 혹시나   cocos2d  하시는분
 있을려나 모르겠는데 결국 도태될겁니다. 그런데 소중한 인생을 낭비하지 마세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