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잊지말고 다시보자> 오바마가 한국에게 준 것들!
게시물ID : sisa_99468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봄의천국
추천 : 20
조회수 : 1635회
댓글수 : 21개
등록시간 : 2017/11/08 13:12:43
옵션
  • 펌글
[사설] 탄저균 사고, 오바마 사과가 먼저다 

이 사건에서 확인해야 할 사실관계는 탄저균을 택배로 발송한 경위나 배달받은 탄저균의 처리 정도에 그쳐선 안된다. 
미국이 그동안 한국 정부에 알리지도 않고 한국 땅에서 탄저균을 비롯한 세균전 실험을 해 왔다는 것이 이미 드러났다. 
살아 있는 탄저균 배달사고는 그 와중에 벌어진 하나의 충격적인 사건이지만 전체로 보면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는 뜻이다. 국민들은 아무 것도 모른 채 수도권 인근에서 세균전 실험이 진행되는 경악할 일이 벌어졌는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정부는 느긋하기 짝이 없다. 

http://www.vop.co.kr/A00000909677.html#cb 





<오바마 "일본군 위안부 합의 축하…朴대통령 용기 높이 평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7일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과 관련해 "정의로운 결과를 얻어낸 박근혜 대통령의 용기와 비전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북한의 4차 핵실험을 계기로 박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대응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도 거론하며 "(한일 양국이) 합의를 이룬 것을 축하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합의의 이행을 적극 지원해나갈 것"이라며 "위안부 관련 합의 타결은 북한 핵실험이라는 공동의 도전에 대한 한ㆍ미ㆍ일간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http://m.mbn.co.kr/news/news_view.mbn?news_seq_no=2732323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 위해 美 오바마 정부가 압력을?> 

한·일 양국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에는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적 이해관계가 큰 영향을 끼쳤다며 미국 오바마 정부가 합의를 조속하게 마무리 짓기 위해 압력을 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략) 

"오바마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대립과 마찰을 벌이는 한일관계가 미국이 추진하는 아시아로의 회귀, 재 균형정책으로 불리는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추진에 큰 저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경계, 우려하여 한일 간 '위안부' 협상타결을 배후에서 또는 표면적으로 촉진해 왔다"고 언급했다. 

오바마 정부는 2014년 4월 헤이그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을 주선하여 한일간 '위안부' 협상을 촉진하였다 

"이후에도 미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을 비롯한 각종 외교 채널을 통해 ‘위안부’ 문제의 조기타결에 압력을 가하고 한일 양 정부에 조속히 '위안부' 협상을 타결짓도록 영향력을 지속해왔다"고 지적 

(후략) 

최민우 인턴기자 [email protected]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988825 





<美 오바마 정부 "한일군사정보협정 체결 환영"> 

한국과 일본은 전날 양국 군사정보 교류를 목적으로 한 GSOMIA를 체결했다. 1945년 광복 이후 양국이 체결한 첫 군사협정이다. 

미국 정부는 앞서부터 한일 양국 간의 협력 확대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이번 협정이 사실상 미국의 동아시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구축을 위한 것이란 분석도 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8&aid=0003684211 





<한미FTA 한국에 불리하게 재협상> 

2008년 2월 취임한 이명박 대통령이 한미FTA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미국은 FTA를 미국인들에게 설득하기 위해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해 한국이 일부 양보를 해야한다고 요구했다. 

그러자 이명박 대통령은 그해 4월 부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산 쇠고기 전면 개방을 발표했다. 이후 광우병을 우려한 여론이 확산되면서 촛불 집회가 이어졌고, 위기에 처한 이명박 정부는 결국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30개월 된 미국산 쇠고기는 수입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한미 FTA의 진도는 잘 나가지 않았다. 

2009년 1월 취임한 미국 민주당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부터 "한미 FTA가 한국에만 일방적으로 유리한 협정"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때문에 오바마 정부 출범 이후 '낮잠' 을 자던 한미FTA 협정은 2010년 6월 한국이 자동차 분야를 일부 양보하는 내용으로 협정을 수정해 세 번째로 협상이 타결됐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64&oid=056&aid=0010451046 





<미국 전 세계 정보사찰 프리즘 프로그램> 

(프리즘 폭로 사건) 
2013년 6월 10일, 전직 NSA 계약요원 에드워드 조지프 스노든(Edward Joseph Snowden)이 가디언과 워싱턴 포스트를 통해, 미국 국가안보국(NSA)와 영국의 GCHQ 등의 정보기관들이 전세계의 일반인들의 통화기록과 인터넷 사용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PRISM이란 비밀정보수집 프로그램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수집, 사찰해온 사실을 폭로한 내부고발 사건 

https://namu.wiki/w/프리즘%20폭로%20사건 



••••••• 


대충 요약해보면 

위안부협정 
한일군사정보협정 
사드배치 
한국에 탄저균 밀반입하고 실험  
프리즘 프로젝트로 무차별 도청 


그리고 
오바마 정부의 일본과의 밀월관계는 유명 
친일친일친일하신 분. 

미일 동맹 강화한다면서 
'전쟁할 수 있는 일본'으로 공식 인정해준 게 오바마 정부 

- 대중 포위망 완성을 위한 일본 집단자위권 지지로 일본의 우경화 사실상 승인  
- 히로시마 위령비 방문으로 사실상 일본에게 면죄부 부여와 동시에 일본의 피코강화명분 제공   


오바마 대북정책 - "전략적 인내" 

대화 노노, 온리 제제 
but 사실상 방치로 북한을 견제하지도 협상장으로 끌어내지도 못함. 
오바마 재임기간 중 대표적 실패한 정책으로 꼽힘 
동아시아 질서와 남북 관계 말아먹는 데에 일조하심. 
출처 http://www.oeker.net/bbs/board.php?bo_table=politics&wr_id=175189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