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WBC 2라운드 진출 실패 원인 몇 가지
게시물ID : baseball_423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청년대표
추천 : 12
조회수 : 605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03/06 00:58:26


1.일단 선수든, 코치나 감독이든, 또 팬들도 그렇고 대회 전에 1라운드 자체는 생각도 안하고 있었음.

당연히 통과하는 것으로 생각함. 2라운드 진출에서 일본이나 쿠바와 어떻게 붙을까 하는 기사들만 넘

쳐남.


객관적으로 한국이 제일 강팀이긴 했지만, 단기전에서는 미국이나 쿠바, 베네수엘라도 우리에게 져 본

적이 있음. 즉, 우리도 네델란드나 대만에게 질 수도 있다는 생각 자체를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함. 물론,

일종의 자신감일 수도 있겠으나, 결과적으로는 자만과 방심이 한 몫 했다고 봄.


2.엔트리 문제도 꼽을 수 있는데, 유격수 자원만 3명을 데려 간 것도 큰 문제임. 가장 중요한 센터라인

수비에는 무조건 백업이 필요함. 포수도 2명, 유격수도 2명, 중견수도 2명이 반드시 필요한게 상식. 그

런데 도대체 2루수 백업은 왜 안 데려갔는지? 내야 유틸자원이라도 데려가야 하는데....


김상수를 2루 백업으로 데려갔다는 인터뷰도 했었는데, 정작 정근우가 타석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했지만, 어떻게 교체도 못했음. 즉, 2루 김상수라는 것도 감독에게는 막상 현실로 만들려고 하니 불안

했던 모양.


3.전반적으로 1라운드 3경기를 보면 타자들의 타격감이 좋지 않았음. 추신수가 빠졌다고 하더라도 지금

국대 타선은 이름값만 놓고 보면 역대 최강급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격은 별로.


사실 타격이란 게 싸이클이 있기 때문에 대회 기간 중에 못 쳐도 그러려니 할 수 있음.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상황에서 감독 및 코치는 타격의 문제점을 캐치하고 해법을 내놔야 함.


예를 들어, 대표팀 타격이 시원치 않음을 예상할 수 있는 징조는 있었음. 이전 연습경기에서 전혀 방망이

에 불을 붙이지 못함. 그렇다면 생전 처음 보는 투수들을 상대해야 하는 국제대회 단기전에서는 방망이보

다는 수비에 신경 써야 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격을 믿은 것인지 첫 경기부터 이해할 수 없는 수비진... 중견수 전준우, 1루 이대호 등.


결과적으로 타격도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수비는 수비대로 구멍만 난 대회였음.


4.스포츠라는게 이길 수도 있고 질 수 도 있음. 하지만, 지더라도 전략적으로 지게 만드는 게 감독 역할임.

아무리 생각해도 네델란드 전에서 0-5으로 진 게 이해가 안 감. 노경은 교체 타이밍도 그렇고 차우찬으로

바꾼 것도 그렇고...


돌이켜 보면 감독이나 코칭 스태프가 2승 1패 동률시 2라운드 진출할 수 있는 규정을 간과한게 아닌가 싶음.

몰랐거나 혹은 그 당시에 깜빡 했거나... 왜 그 상황에서 노경은이나 차우찬이었을까? 박희수, 정대현, 오승환

이 왜 먼저 나오지 않았을까?


나중에는 뒤늦게 부랴부랴 서재응, 정대현, 오승환을 다 내놨는데.... 줄 점수는 다 주고... 결국에는 그때의 실

점이 대만전을 앞둔 타자들에게 더욱 부담이 되었을 듯.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