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NAS]시놀로지 DS 215+ 활용기 - 1편
게시물ID : computer_24923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기달싸순™
추천 : 8
조회수 : 9325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5/07/03 12:51:17
1.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은, NAS 를  공부하면서 익혔던걸 토대로 가능한한 최대한 쉽게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냥 글을 쭈~욱 따라가면 어느샌가 기본적인 NAS를 구축하고 NAS 활용하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하는게 주 목적입니다. 

따라서 이미 NAS를 구축하여 사용하고 계시거나, 상당부분 전문가의 경지에 이르신 분들에게는 조금 답답함을 느낄수도 있습니다.

고수 유저분께서는 가볍게 읽어 넘어가시거나, 조언이나 틀린 부분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NAS란 무엇인가?

NAS는  가장 쉽게 설명하자면 "내 서버에 24시간 언제든지 원하는 시간에 접근하여 자료를 보내고 받고 재생할수 있는 일종의 클라우드 기계가 있다"라고 생각하시면 가장 쉽습니다.

다만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네이버 N드라이브 혹은 다음클라우드처럼 유,무료의 서비스를 가입하여 사용하는것이 아닌 내 소유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다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존 클라우드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용량보다 엄청나게 많은 용량을 증설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며, 각종 스마트기기와의 공유 및 멀티미디어 재생을 구현 할수도 있습니다.

3. 시놀로지를 선택한 이유

NAS를 공부하며, 검색하고 포럼이나 카페를 들르면서 인상깊었던 글들이

기승전시놀로지  입니다. 즉 한방에 쉽게 가라는 말이지요.

왜 사람들이 시놀로지 시놀로지 하는 걸까하는 궁금증에 이것 저것 알아보고 드디어 시놀로지 NAS를 구입했습니다. 

힘든 과정을 거치지 않아서 시놀로지가 정답이다 라고는 말 못할 수 있지만. 기승전시놀로지 라고 생각하면서 사용기를 적어나갈까 합니다. 

시놀로지하면 한마디로 쉽다가 가장 큰 매력이라고 합니다.

사실 시놀로지 제품군들이 상당히 다양합니다. 가정용보급형부터 기업용서버형까지 종류도 다양하고 가격차 상당합니다. 

그 중 저는 최근에 출시 된 가정용보급형 제품보다는 살짝 업그레이 되어서 나온 중소기업용 DS 215+ 를 선택하였습니다.

이 제품을 선택한데에는 외부에서의 파일전송속도를 중요시 했습니다.

제품명의 규칙을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DS 는 Disk Station 의 약자이고
2는 베이수 15는 출시년도 뒤에 +(일반보다 살짝 고사양), j(보급형), play(동영상특화) 이정도만 알아도 될듯 싶습니다.

4. 개봉 및 설치

DSC_9860.jpg

DS-215+와 WD red 3T x 2  입니다.



DSC_9861.jpg

본체 포장 상태는 매우 깔끔합니다.



DSC_9863.jpg

본체입니다.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외형입니다



DSC_9864.jpg

후방에는 냉각팬과 GIGA LAN 포트 2개, USB3.0 2개 e-sata 한개, 전원, 도난방지용 켄신턴락 이렇게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DSC_9867.jpg

부속품 구성은 cat 5e(기가 지원규격입니다) 2개, 전원 케이블, 아답타 입니다.



DSC_9870.jpg

정면부 입니다.
215+ 모델명에서와 알다 싶이 2베이 구성입니다.
베이의 6각형부분을 눌러주면 베이를 뺄수있게 락이 헤제되면서 덮개가 열립니다.



DSC_9871.jpg

베이 덮개가 열린상태.
이 상태로 위로 잡아빼면 HDD 베이가 본체에서 분리가 되어집니다.



DSC_9873.jpg

HDD를 장착합니다.
정말 간단하게 드라이버 사용없이 손쉽게 HDD 결합이 가능합니다.



DSC_9874.jpg

HDD 준비
WD red 인데.. 안정성에서는 우수하다고 해서 많이들 쓰는 추세인데..
저같은 경우 간단한 백업겸 파일서버 정도로 사용할꺼라..
Green 으로 살까도 생각했지만 대세를 따르기로 햇습니다.




DSC_9876.jpg

베이의 옆부분을 보면 홀더가 있습니다.
이부분을 잡아 당겨서 분리해줍니다.



DSC_9877.jpg

분리된 모습
이부분이 나사역활을 해서 베이와 HDD 를 고정 시켜줍니다.
양쪽을 다 분리해줍니다.



DSC_9878.jpg


분리했으면 HDD 를 사진과 같이 결합해줍니다.
옆쪽을 자세히 보면 hDD 의 나사 구멍과 일치하도록 HDD 를 장착해줍니다.
그리고 고정했던 부분을 다시 조립하여줍니다.

DSC_9879.jpg

베이 분해 역순으로 조립해줍니다.
그리고 동봉된 열쇠로 잠가줍니다.





정말 너무나 쉽네요..
다른 사용기 보면 드라이버로 조이고 옆에 케이스를 분리해서 HDD 를 장착하고 
다시 케이스 조립후 나사를 조여주고 하는데

215+ 은 이렇게 쉽게 HDD 를 장착할 수 있네요.



다음편은 DSM 설치와 기본 설정등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초보가 쓰는 시놀로지 ds125+ 사용기 2편 보러가기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