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파이썬 강좌? 네이버 웹툰 저장하기 #1
게시물ID : computer_6900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Ksana
추천 : 6
조회수 : 2902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12/18 08:29:49

네이버 웹툰 저장하기



파이썬(Python)을 이용한 실습의 일환으로 네이버 웹툰을 PC에 자동 저장하는 스크립트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파이썬을 간단하게 공부해보고 싶으신 분들을 대상으로 문서를 작성합니다. 윈도우 환경에 파이썬 2.7을 기반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의 사항!
사실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저작권이 걸린 매체를 가지고 물의를 일으키지는 않을까 해서요.

분명히 밝힙니다. 본 문서는 python을 파이썬을 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습니다. 수집한 각 웹툰은 저작권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만 이용하십시오. 웹툰의 감상은 웹사이트를 통해 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를 보시는 분들의 상식을 믿겠습니다.



1. 웹페이지의 주소 분석하기


1.1. 웹페이지 주소 들어가보기

원하는 작품의 원하는 회차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소 체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선 본 장에서는 웹페이지의 주소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설명이 장황해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간결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웹툰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웹툰을 선택해야겠죠. 우선 웹브라우저를 열어 웹툰을 하나 선택하세요. 그럼 가장 먼저 웹브라우저의 주소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까요? 아마 주소는 이렇게 시작할 겁니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 ...



1.2. 주소의 각 부분에 대한 설명

이 주소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하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http:// 부분:                      http

- comic.naver.com 부분:        도메인 네임

- /webtoon/detail.nhn 부분:   문서 경로

- ?titleId=… 부분:                 GET 변수/값 목록


그럼 각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하도록 하지요.


1.2.1 http

http:// 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웹페이지 주소를 나열할 때 주로 사용되므로 이제는 이것이 매우 낯선 단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http와 같은 '프로토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웹페이지를 열 때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2.2. 도메인 네임

comic.naver.com 또한 별 설명이 필요없을 겁니다. 우리는 naver.com에 접속하고 싶다는 의미이죠.

 

 

1.2.3 문서 경로

/webtoon/detail.nhn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무엇을 원하는지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이를 사람과의 대화로 비유하자면 이렇습니다.

   -  PC(클라이언트): 서버야, 너 /webtoon 디렉토리에서 detail.nhn 이라는 파일 좀 보내줘
   - 서버: 어 알았어, 기다려봐. (파일을 찾아 있다면) 응 여기 detail.nhn이라는 파일이 있네 전송한다. (파일이 없다면)응? 네가 말한 파일은 내가 가지고 있지 않아!

1.2.4. GET 변수/값 목록

?titleId=… 부분은 쉽게 말해 서버의 detail.nhn이 전달하는 내용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입니다. 여러분들은 각 웹툰을 감상할 때 만화의 내용은 다르지만 웹페이지의 디자인은 달라지지 않는 것을 보셨지요?

각 만화마다, 각 작품마다 웹페이지를 제작해야 한다면 웹페이지의 수가 너무 많아질 것입다. 이렇게 산만하게 수가 늘어나면 관리하기도 쉽지 않겠죠.

 

사실 '마음의 소리'와 '신과 함께' 만화의 내용은 각기 다르지겠만, 사실 웹페이지의 디자인 자체가 일일이 달라져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문서를 제작할 때 변하는 부분과 변하지 않는 부분을 구분지어서 변하는 부분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동적으로 만들어서 보여주게 됩니다. 그러면 문서 하나로도 수백 수천개의 비슷한 부류의 문서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서버는 공통적인 부분은 '템플릿'으로 저장합니다. 그리고 변동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가 필요할 때 만들어서 전송합니다. ?titleId=…는 바로 그 변동되는 부분이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스위치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문자열은 보통 물음표(?)로 시작하고 '&' 기호로 구분합니다.

그러므로 물음표 뒤의 문자열을 &로 나누게 되면, 대략

    titleId=XXXXXX
    no=XX (혹은 seq=XX)

이렇게 나눠질 것입니다. 그리고 각각 나눠진 문자열은 재차 등호(=)로 나눌 수 있습니다. 등호 좌측의 문자열은 '변수(variable)', 등호 우측의 문자열은 '값(value)'입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서로 다른 작품들/다른 회차에 접속해서 값이(간혹 변수가)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해보세요. 또 전혀 다른 웹페이지들에 접속해서 물음표 뒤에 나오는 변수와 값들을 살펴보세요. 이렇게 웹페이지 주소에 클라이언트가 요청에 필요한 요소들을 같이 보내는 것을 'GET' 방식이라고 말합니다.

 

 

2. 결론

이 장의 결론입니다. 만화를 보기 위해서는 'GET' 방식으로 comic.naver.com에 접속하여 '/webtoon/detail.nhn'을 요청해야 합니다. 이 때 만화 작품 구분을 위해서는 'titleId'라는 변수와 작품마다 미리 정해진 값을, 만화 회차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no'(혹은 'seq')라는 변수와 회차 값을 적어서 보내야 합니다.

(사실 이렇게 동작하기까지 서버와 우리의 피씨, 즉 클라이언트 사이에 수많은 규약과 데이터가 밑바탕으로 깔려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그런 자세한 사항을 일일이 알 필요는 없구요, 추상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request)'하면 서버는 그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응답(response)'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