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국내소비의 수입품 비중을 알수 있을까요?
게시물ID : economy_1850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astmeal
추천 : 0
조회수 : 384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6/04/08 11:41:24
옵션
  • 본인삭제금지
경제관련해서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군요.
미국등 관련 영문자료들은 일단 양은 많아서 찾다보면 어느정도 쓸모있는것들이 있지만 
국내경제관련 자료는 찾기가 어렵습니다.

최저임금에 관해 개인적으로 자료들을 수집중인데, 손쉽게 구할수 있는것들은 주로 특정 주장을 하기위해 편집된 자료들이고
다른 사람을 설득하기 위해서도 그렇고 제 자신을 설득하기 위해서 좀 더 객관적이거나 원천적인 자료를 찾으려 하는데 쉽지가 않습니다. 

국내소비의 수입품 비중을 알고 싶은 이유는 임금상승에 따른 국내 경제활성화 효과에 관한 것인데,
소비가 활성화되어도 수입의 비중이 높다면, 국내경제 활성화 효과는 제한적일수도 있다는 생각이라 확인해 보고싶습니다. 
일단 가계소비의 20%가 수입품이라는 자료는 있습니다만, 이것외에 국산품이라는 것들도 거슬러 올라가면 수입품 비중이 들어갈수도 있습니다.

좋은 예인지는 모르겠지만 택시를 한번 탄다고 했을때, 수입품을 소비한것은 아닙니다. 
택시기사님이 한국인일것이고, LPG던 가솔린이던 국내정유회사의 제품을 쓸것이고, 감가상각이 되는 택시차량도 현대등의 국내 제품일것입니다. 
따라서 택시운영시 수입품비중은 높지 않습니다만 정유회사의 유류나 현대 자동차등의 생산을 위해선 결국 수입품이 필요하지요.  

결국 해외직구를 한것도 아니고, "made in Korea" 제품을 소비해도 그안에 수입품이 들어가고 국내 소비를 늘리면 수입역시 증가한다는 결론이 됩니다. 


그래서 최종소비자의 수입품 소비 비중뿐아니라 생산자의 수입품소비 비중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