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메르스 치사율 vs. 교통사고 사망률?
게시물ID : mers_1102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알이
추천 : 4
조회수 : 1107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5/06/17 05:39:05
옵션
  • 창작글
무슨 사고가 날 때마다 교통사고랑 비교를 하는데 너무 답답합니다.
중고등학교 확률통계는 아니더라도 초등학교 산수만 배워도 
이건 비교의 문제가 아니라 덧셈의 문제라는 게 너무 확연하잖아요.. 

예를 들어 수치를 가정하여 계산하면, 연간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이 대략
인구 (5천만명) x 연간 교통사고 발생률 (0.5%) x 교통사고 사망률 (2%)= 5000명 
정도입니다.
https://taas.koroad.or.kr/aUserSecStatsOecd.sv?pt=dft

이 때 메르스가 발병 월간 수치(150명/1개월)를 연간 수치로 선형적으로 확장하여 계산하면, (줄어들지, 늘어날지 아직은 아무도 모르니까요..)
인구 (5천만명) x 연간 메르스 발생률 가정(0.005%) x WHO 기준 메르스 치사율 (37%)= 925명 
정도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8F%99%ED%98%B8%ED%9D%A1%EA%B8%B0%EC%A6%9D%ED%9B%84%EA%B5%B0

단순히 이 두 숫자만을 놓고 비교하면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 수가 5000명대 1000명 수준으로 약 1/5 정도 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두 숫자를 놓고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더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경우의 수가 독립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산술적으로만 계산해도 한 해 5000명씩 죽는데, 사망 원인이 하나 더 늘어나서 6000명씩 죽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 숫자를 줄여야 하는 게 국가의 일이거늘, 교통사고로 5000명이나 죽는데, 
메르스로는 1000명 밖에 안 죽으니 안 위험하다는 건 무슨 발상인지 대체 모르겠습니다. 
------------------------------------------------------------------
( 부연 설명 )
보다 정확하게 확률로 계산하자면
한국인이 1년 안에 교통 사고로 사망할 확률 0.01%
한국인이 1년 안에 메르스로 사망할 확률 0.002%
완전 독립 사건인 경우
단순히 사망할 확률이 0.012%가 아닌

교통사고로 죽을 확률 0.01% + 메르스로 죽을 확률 0.002% - 교통사고도 나고 메르스로 죽을 확률 0.00002
= 0.01198% (약 0.012%)
가 되겠지만요.. 이 정도 확률 계산은 복잡하니 기억 안하셔도 됩니다. 

세 줄 요약
1. 사망 확률은 비교 대상이 아니라 덧셈이다.!!!
2. 그 사망 원인이 메르스든, 광우병이든, 해난 사고든, 교통 사고든, 그 원인을 줄여야 우리가 살 확률이 높아진다. 
2. 국가는 사건 사고 사망률이 교통사고보다 적으니 안심하라가 아니라, 사망 원인(확률)을 하나라도 줄여 나갈 책임이 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