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칸트와 통계라는 게시물
게시물ID : phil_1640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메타세
추천 : 4
조회수 : 807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8/03/26 17:18:46
슬라이드1.JPG
슬라이드2.JPG
슬라이드3.JPG
슬라이드4.JPG
슬라이드5.JPG
슬라이드6.JPG
슬라이드7.JPG
슬라이드8.JPG
슬라이드9.JPG
슬라이드10.JPG
슬라이드11.JPG
슬라이드12.JPG
슬라이드13.JPG
슬라이드14.JPG
슬라이드15.JPG
슬라이드16.JPG
슬라이드17.JPG
슬라이드18.JPG
슬라이드19.JPG
슬라이드20.JPG
슬라이드21.JPG
슬라이드22.JPG
슬라이드23.JPG
슬라이드24.JPG
슬라이드25.JPG
슬라이드26.JPG
슬라이드27.JPG
슬라이드28.JPG
슬라이드29.JPG
슬라이드30.JPG
슬라이드31.JPG
슬라이드32.JPG
슬라이드33.JPG
슬라이드34.JPG
슬라이드35.JPG
슬라이드36.JPG
슬라이드37.JPG
슬라이드38.JPG
슬라이드39.JPG
슬라이드40.JPG
슬라이드41.JPG
슬라이드42.JPG
슬라이드43.JPG
슬라이드44.JPG
슬라이드45.JPG
슬라이드46.JPG
슬라이드47.JPG
슬라이드48.JPG
슬라이드49.JPG
슬라이드50.JPG
슬라이드51.JPG
슬라이드52.JPG
슬라이드53.JPG
슬라이드54.JPG
슬라이드55.JPG
슬라이드56.JPG
슬라이드57.JPG
슬라이드58.JPG
슬라이드59.JPG
슬라이드60.JPG
슬라이드61.JPG

https://www.facebook.com/Dribint/


위 글은 이전 오유 게시글입니다. 

저기서 통계랑 칸트를 연관시켰는데 


맨 아래 단원은 경험론이랑 궤를 약간 달리하는 문제라고 생각함. 

그래서 저 부분만 따로 떼서 한번 다루어 봄.


이 논의가 역사적으로 어떤 맥락에서 탄생했을까를 이해하려면 1748년 영국의 분위기를 살펴봐야 함.

당대는 신이 모든 것의 제1원인이라고 여기고 있었을 시절임. 

당시 흄은 경험을 통한 것에만 의존할 수 있다는 에세이를 발표하고, 거기서 현재의 모습으로 설계되었다는 사실이 창조자의 존재를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함. 

아울러 "특정한 원인이 특정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으므로 그럴듯한 원인과 결과를 찾아내는데 만족해야한다"는 주장을 했었는데, 이 주장을 수학적으로 처리할 방법을 모색한 것이 베이즈 정리가 탄생한 계기가 됨. 


당시 확률론은 도박에만 적용되던 시절임. 

확률론은 원인에서 결과로 가는 방식으로의 접근을 먼저 시도하였음. 가령 누군가 에이스 4장을 연속으로 세번 가질 확률은 얼마인가? 같은 것임.(1718년에 드무아브르는 175쪽의 《확률론》(영어The doctrine of chances) 초판을 출판하였으며 이 책이 확률론의 초기 저서임.)

그런데, 어떤 이가 세판 연속으로 에이스를 가졌다면 어떤 기회가 개입했었을까 라는 질문이 나왔을 경우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밑장을 뺐을까 마킹카드일까? 등등.

베이즈라는 신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역확률의 법칙'이라는 이름을 붙임.  

위 그림에서의 검사 방식은
a: 질병에 걸린다 b:어떤 검사에 양성반응을 보인다.에서

우리가 흔히 접하는 조사 방식은 a->b임 (질병에 걸린 사람 중 양성 반응을 보이는 사람을 확인하는 방향이며, 이는 해당 검사 수단의 신뢰도로서 미리 수치가 제시 됨. 하지만 어떤 질병에 걸린다고 반드시 해당 검사에 양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고, 특히 메르스 같이 역사적으로 많은 사람이 걸린 병이 아닌 경우나 갑자기 감염자가 발생하는 경우는 제시되는 수치의 신뢰도가 낮음)

유방암 양성이라고 천청벽력 같은 검사 결과를 통보 받은 개인에게 필요한 것은 양성 반응을 보인 사람 중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임. (검사 수단은 a->b인 방식에 대한 통계 자료 밖에 없음. 유방암인지 아닌지 몰라서 검사를 시행한 개인에게 있어서는 의미가 없음.)

즉, b가 나타난 사람 중 a가 나타날 확률임.

베이즈는 이 확률을 찾는 방식을 발견했다는 것임. 

위 그림에서 수학적으로 증명된다고 그랬는데...딱히 수학적으로 접근하지 않아도 p(a l b)와 p(b la)가 다르다는 것은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함.

가령 위의 연구 방법은 담배 피는 사람 중 폐암에 걸린 사람을 통계적으로 파악하였음.

ì¬ë¼ì´ë39.JPG
ì¬ë¼ì´ë40.JPG

베이즈의 접근 방법은 어떤 사람이 폐암에 걸렸을 경우, 그 사람이 흡연자 일 확률을 흡연자 중 폐암에 걸린 사람의 수를 통해 찾는 거임.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