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윤보선 감시 건물' 등 미래유산 된다
게시물ID : sisa_38033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노이221
추천 : 0
조회수 : 47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04/17 20:33:08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3041601071443097002

(문화일보) '윤보선 감시 건물' 등 미래유산 된다

 

서울 종로구 안국동 윤보선가(家) 맞은편에 있는 지상 5층 높이의 콘크리트 건물. 1층 면적이 153.52㎡ 정도로 협소하고 위층으로 갈수록 면적이 더욱 좁아진다. 5평(16.73㎡) 남짓한 5층은 아래층에 얹어 놓은 형태로 생겼다. 이 때문에 건물은 전체적으로 조립식 망루의 느낌을 풍긴다. 이 건물은 1967년 중앙정보부(중정)가 윤보선 전 대통령 가옥을 출입하는 이들을 파악하기 위해 세운 ‘감시건물’이다. 현재 한 출판사가 사용하고 있다. 46년 세월을 그대로 간직한 듯 무척 낡아 보이는 이 건물이 서울시의 미래유산 보존 대상 후보가 됐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6월부터 시민, 자치구, 관련 단체 등으로부터 1000여 건에 달하는 미래유산 보존대상을 접수받았다. 시는 근대 이전 문화재뿐만 아니라 근대 이후의 문화유산도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미래유산 1000선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윤보선가 감시건물도 종로구가 건의해 미래유산 대상지에 포함됐다.

1960년대 민주화 운동의 근거지였던 윤 전 대통령 가옥을 감시하기 위한 용도였던 만큼 집안을 훤히 들여다볼 수 있도록 지어졌다. 윤 전 대통령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감시건물 쪽으로 높은 나무를 심었다. 그러자 중정은 건물을 위로 더 증축했다. 이 건물이 높이 쌓은 망루 모양을 띠게 된 이유다. 시는 한국 근현대사의 한 현장으로 이를 보존키로 했다.

 

-

윤보선(제4대 대통령, 재임 1960년 8월 13일 ~ 1962년 3월 23일)

정치가. 4·19혁명으로 이승만정권이 붕괴된 후 대통령선거에 민주당후보로 입후보하여 제4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5·16군사정변으로 인하여 1962년 사임하고, 1963년 민정당을 창당하여 그 해 대통령선거에 후보로 출마, 박정희와 겨루었으나 실패하였다. [출처] 윤보선 | 두산백과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