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기생충사진있음) 낙동강에서 이상번식한 촌충 왜? (지루하게 써놨음 노잼)
게시물ID : science_5718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뚜껑열린다
추천 : 0
조회수 : 182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2/16 17:57:25
 
 
얼마전 베스트에 올라간
혐오주의)낙동강에서 잡은 물고기 배에서 50cm 촌충(기생충)발견.jpg  이라는 글을 보고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이 기생충이 물고기 한마리의 배에 꽉 들어찰만큼 성장하는것 이것은 환경과 관련이 없을까 ??
 
개인적으로 기생충이라는것이 무조건 다 해충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고 다양한 기생충이 물고기 내부에서 생존하고 알까고 물고기를 조류에게 먹히게 하고 그런건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할 뿐만아니라 자연이 오염되지 않았을때 다양한 기생충이 번성한다고 생각하거든요 ...  
이번경우에는 딱 이 촌충 하나가 물고기 내부에서 바글바글하게 생존해서 물고기를 폐사하게 하니까 더 궁금해요
 
전 환경이 유력하게 관련이 있다고는 확신하지만 그 이유에 관해서도 대충 추측할 뿐 정확한 이유에 관해서는 알고 있지 않기때문에
제가 가진 확신이 틀렸을 수도 있는것이고 무엇보다 환경변화로 발생하는 인과 관계가 너무 궁금해서 찾아보기로 하였습니다.
 
우선은 오마이 뉴스 기사 요약입니다.
 
기생충명 : 리굴라(Ligula sp.)라고 하는 조충(cestode, tapeworm; 일명 촌충)
 
먹이사슬 과정 : 본 촌충의 숙주는 조류로 새들이 촌충을 섭취하고 배설하면 그 배설물에 들어 있는 촌충의 알들이 퍼져나간다.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물벼룩이 잡아먹고 그 물벼룩을 어린 물고기가 잡아먹고 그 물고기를 대형 어류들이 잡아먹어서
물고기 뱃속에서 촌충이 성충으로 자라나게 된다. 철새들은 그 물고기를 잡아먹어서 최총 숙주역할을 하게 된다.
 
촌충의 특징 : 물고기의 호르몬 변화를 일으켜 물가로 유도한다. 비실비실해 진 물고기는 최종 숙주인 조류가 쉽게 잠아먹게 된다.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물고기가 물가로 나오지 않는데 촌충에 의해서 물가로 나온게 된다.
 
문제 : 강준치의 떼죽음 다른 물고기도 있었을텐데 촌충에 감여된 강준치만 죽었다. 그러므로 촌충이 강준치의 집단폐사의 원인 이 될 수 있다 (촌충이 너무 자라서 장기를 압박하고 사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원인(가설) :
철새들이 늘어난 것이 원인? (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기생충학교실 손운목 주임교수(61) )
4대강 사업이후 전체 철새는 줄었지만 잠수성 오리류의 철새들은 눈에 많이 띈다. 4대강 사업이후 낙동강이 호수와 같은 강이 되었기때문에 수면성 오리류는 줄고 잠수성 오리류의 철새들이 늘어 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 잠수성 오리류의 철새들이 늘어 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 이것을 보고 늘었다고 착각하지마시길 .. 환경이 그렇게 되었다는것 뿐  )
 
반박 ( '습지와새들의친구' 김경철 국장 )
그러나 과거에도 기생충이 원인이 되어 낙동강 하구에서 물고기가 떼 죽음을 당한 사례가 있다. 그래서 철새가 원인이라 단정할 수 없다.
4대강 사업이후 수면성이나 잠수성 오리류 관계없이 철새들이 감소했다 그러므로 낙동강이 호수처럼 변해 기생충이 더 번성할 조건이 된 것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인과관계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저의 궁금증 및 의견
 
1. 촌충의 최종숙주가 조류지만 촌충의 알이 촌충 체내에 존재하기때문에 벌레에 의해서든 다른 작은 물고기에 의해서든 기타 여러방식으로 촌충 표면이 찢어져서 알이 퍼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렇다면 최종숙주인 조류가 없더라도 번성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금은 물고기를 잡아 먹어줄 조류가 많이 감소했기때문에 최종 숙주인 조류를 거치는 방법이 아니라 촌충이 숙주의 생존여부 관계없이 개나줘라 난 걍 클란다 하고 자라다가 알을 퍼트릴때가 되면 물고기를 죽게 만들어 번성하는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물고기 개체수도 감소했으니 한마리의 물고기 안에서 바글바글 크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2. 한가지의 기생충만 번성하는 상황도 계절의 변화처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인가 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일인가?
(참고 : 한국산 담수어류의 기생충 감염 실태 및 기후변화에서 중간숙주로서 병원체 전파에 미치는 영향  ->실제 담수어류는 각종 야생동물의 병원체를 전파하는 중간 숙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직·간접적으로 수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우리나라 담수어류에 기생하는 기생충은 대부분 흡충류와 구두충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동물 중 질병의 중간 매개체에 해당되는 담수어류도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이나 홍수가 비번하게 일어나고 자연 서식생태계가 변함으로서 이들 종들의 생활사에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기후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도 하는데 여기서 보면 주로 기생하는 기생충이 대부분 흡충과 구두충이라고 하니 촌충이 물고기를 죽게하는것은 일반적인 상황이 아닌것 같습니다. 이러한 기생충들은 숙주를 폐사하게 만들지 않는것 같아요 촌충처럼 사이클이 짧게 도는것이 아니라 주로 숙주 내부에서 생장을 하니까 .. 
 흡충은 내부기생을 하면서 중간 숙주가 필요 없이 흡착기관으로 숙주 내부에서 기생하며 번식하고 구두충 역시 창자속에서 자라고 유충은 숙주의 배설물과 함께 빠져나간다고 하네요 ..
 
 
3. 혹은 지금 낙동강의 환경이 다른 여러 기생충들이 성장하기에 부적절한데 반해 촌충에게는 성장가능하기때문에 이렇게 우위를 차지하며
성장한것이 아닐까 ?
(참고 : 보문 : 경남 양산천의 보존구역과 산업화구역에서 피라미의 기생충 감염 -> 보존구역의 피라미가 산업화구역의 피라미에 비해 개체당 더 많은 종류의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기생충의 감염 양상은 환경 오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특히 연충성 기생충인 Neoplagioporus zacconis(Yamaguti, 1934)와 Metagonimus miyatai Saito et al., 1997는 수질오염에 민감하여 산업화구역에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생물학적 지표로서 활용가능성이 있었다. )
 
4. 수면성이든 잠수성 조류든 물고기를 섭취하는건 동일하기때문에 그 특성에 관계없이 철새 자체가 줄었다는것이 먹이사슬의 문제로 이상번식을 한게 아니라는 근거가 되지않나?
 
5. 4대강사업이 실시 되기전 그리고 철새가 번성했던 시기에도 민물고기가 기생충에 의해 폐사되는 일이 있었나?
-> 네이버 기사에서 낙동강 물고기 폐사를 검색해보면 녹조(기타 용존산소부족을 야기하는것들), 폐수, 쓰레기, 원인을 모르겠다는 것에 의한 폐사건들이 있네요
 
 
마지막으로 기사에 언급된 것처럼 정말 담수어 내 기생충 관련 연구가 그리 많지는 않은것같아요 .. 아마도 연구비지원이 적어서 그렇겠죠,, ?
 그리고 새삼 자연과학 연구하시는 분들 보면 대단하다고 느껴요......  이런 기생충 같은 경우에 이건 질병 관련 핵심 기생충도 아닌데다 담수어 소비량이 크게 많지도 않은 나라고 해서 큰 주목은 못받겠지만 환경적으로 정말 중요한 문제들이잖아요
이런걸 알아도 정부에서는 지원 해 줄수가 없겠죠? 정부사업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들이니까 ... 정부사업때문이 아니다 라는 논문을 쓴다고하면 지원해주겠지만 과연 논문을 쓸 수 있을까 ? ..... 한국에 있는 다른 기생충 연구원들이 바보도 아니고 다 물어 뜯겠지 ..
 
아무튼간에 기생충에 관한것들도 정말 재밌네요!!! 일본에서 고래 체내에 바글바글하게 존재했던 기생충을 접한 것을 시작으로 이렇게 간간히 기생충에 관한 이야기들을 접하고 있는데 너무 신기하고 흥미로운것같아요
제가 잘 못 알고 있는 부분 지적해 주시거나 첨가해 주실 말씀있으시면 환영합니다
 
 
 
 
 
 
Ligula intestinalis.jpg
리굴라(Ligula sp.)
출처: http://dailyparasite.blogspot.kr/2012/03/ligula-intestinalis.html
 
 
 
2.jpg
아가미 흡충증
 
 출처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7hni&articleno=12226454&_bloghome_menu=recenttext
 

lille illustration_version 1.jpg
 
구두충 (당근같지 않나요? 엉덩이에 선인장이 자란 개불같기도 하고 .. )
출처 : http://www.carlsbergfondet.dk/en/Forskningsomraader/NAT/Torskens%20spaendende%20indre%20liv.aspx
(여기들어가시면 모래벼룩이 구두충 잡아먹는 사진있어요 징그러우면서도 신기하고 귀엽지만 만지라고 한다면 만지고 싶지않은 오묘한 기분 )
출처 혐오주의)낙동강에서 잡은 물고기 배에서 50cm 촌충(기생충)발견.jpg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panic&no=86300&s_no=86300&page=1

그 글에서 참고한 기사입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2024&PAGE_CD=N0004&CMPT_CD=E0018M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