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그래 나는 노빠다. 그래서 노무현의 나라를 원한다.
게시물ID : sisa_78281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소8080
추천 : 2
조회수 : 586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11/10 08:32:54
옵션
  • 창작글
  • 펌글
아침에 포털을 보니 동아일보의 박제균이란 인간이 '노무현의 나라'라는 X같은 사설을 올렸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인생에 불만이 있다. 나도 불만이 있다. 그런데 인생이 불만스러운 이유를 남 탓으로만 돌리기 시작하면 답이 없다. 한 발짝 더 나가 우리가 태어나서 살아가는 대한민국 탓이라고 돌리면 앞이 안 보인다. 그는 ‘당신의 삶이 힘든 것은 반칙과 특권이 판치는 대한민국 탓’이라고 했다. 다른 사람도 아닌 대통령이. 그때부터 국가가 성립하고 존속하기 위해 필요한 질서의식과 권위체계가 바닥부터 무너지기 시작했다.

나 : 왜 국가를 구성하는가? 모든일을 국가탓으로 돌릴 수 없지만 마찬가지로 모든일을 개인의 탓으로 돌릴 수도 없다. 노무현은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의 체계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였지 국가가 모든 개인을 행복하게 해줘야 한다고 주장한 적이 없다. 그리고 국가가 성립하고 존속하기 위해 필요한 질서와 권위체계는 누가 정한 것인가? 혹시 당신의 그 알량한 지식의 한계가 정한 것이 아닌가?


회고록 파문도 盧의 유산

박제균 논설위원
 돌아보면 공권력이 시민의 발아래 깔린 촛불시위부터 오늘의 백남기 부검 영장 집행 거부 사태까지, ‘기존 질서는 얼마든 무시해도 좋다’는 노무현의 유산이라고 나는 본다. 대선 후보 시절 그가 “반미주의자면 어떠냐”고 들이받은 것은 차라리 신선했다. 하지만 집권 이후에도 ‘큰 정부 맞다. 큰 정부면 어떠냐’ ‘코드인사면 어때’라며 정당한 비판도 정면으로 맞받았다. 정당한 비판이, ‘팩트의 힘’이 먹히지 않는 작금의 세태는 노무현의 또 다른 유산이다.
머라해도 노무현탓이라든 10년전의 망령을 떠 올린 것인가? 하지만 이미 그 노무현은 이 세상에 없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 노무현을 그리워 하는 것을 당신이 어쩔 수 있는가?
 노 전 대통령은 국가 존망이 걸린 대북정책에서도 ‘북한으로서 핵은 자위수단’이라느니, ‘북한은 테러를 자행하거나 지원한 일이 없다’ 같은 황당한 북한식 주장을 했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회고록으로 촉발된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 기권 ‘대북 결재’ 의혹도 따지고 보면 대통령이 되고도 반미친북 운동권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노무현의 산물이다.
혹시 당신의 외교/안보의 시각이 너무 미국 편향적이지 않는가? 이러한 글을 적으려면 북한이 세계의 테러세력에게 무기를 무상으로 제공했는지? 아니면 먹고 살기위해 무기를 팔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지금 전세계에 테러를 자행하고 있는 세력의 무기는 대부분 미국과 러시아제이다. 그럼 미국과 러시아가 테러를 지원하는 배후세력인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논란의 핵심인 ‘결의안 기권 전에 북의 의견을 물었느냐’에 대해선 아직도 입을 다물고 있다. 친노(親盧) 인사들과의 대책회의에서 나온 ‘역할 분담’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이러니 아직도 문 전 대표를 두고 ‘노무현의 아류(亞流)’라는 말이 가시질 않는다.

북한인권 결의안에 찬성한다고 해서 북한의 인권이 개선되는가? 적어도 대한민국 3대 신문의 사설을 적는 사람이라면 실효성도 없는 북한인권결의안에 찬성을 하니 마니로 그 사람을 종북으로 모는 미친짓은 안해야 하지 않는가?

 정치권에는 ‘문재인의 딜레마’란 얘기가 있다. ‘문재인이 본선(대통령 선거)에서 이기려면 노무현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나 노무현을 극복하면 예선(당내 경선)을 통과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역대 대선을 돌아보면 본선 경쟁력이 결국 당내 경선의 당락을 갈랐다. 문 전 대표가 야권 유력 대선주자답게 ‘친노의 고용사장’ 소리나 들었던 2012년 대선의 구각(舊殼)을 깨려면 송민순 회고록 파문에서도 당당히 자기 목소리를 내야 한다.

당연하게도 문재인은 노무현을 극복하겠다는 소리를 입에 달고 다닌다. 그러나 당신이 주장하는 것처럼 노무현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노무현을 팩트 그 자체로 보고 옳은 것은 이어받고 실패한 것은 고쳐서 극복하겠다는 소리다. 이것이 올바른 자세가 아닌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대통령 자리는 맞지 않는 옷과 같았다. 단적으로 그는 세상을 바꾸려 했다. 하지만 세상을 바꾸는 건 대통령의 몫이 아니다. 시대의 정신적 스승이나 종교 지도자의 몫에 가깝다….” 2012년 7월 내가 쓴 칼럼의 서두다. ‘실패한 대통령’ 노무현은 2009년 5월 부엉이바위 아래로 몸을 던짐으로써 ‘종교 지도자’로 부활했다.

이런 X같은 인간이 있는가? 감히 민주주의 국가에서 다수의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을 대통령자리에 맞지 않다고 평가하는가? 세상을 바꾸는 것이 정신적 스승이나 종교지도자라는 몇백년전 계몽주의자 같은 소리 하고 있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우리 모두이며 그 우리에 당연하게도 대통령이 그의 역할만큼 포함되어 있다. 

 노 전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참여정부는 절반의 성공도 못했다. 지금 나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실패와 좌절의 기억”이라고 실토했다. 그럼에도 ‘노무현의 실패’를 말하는 것은 금기나 다름없다. 노 전 대통령 가족이 받은 수십억 원의 금품은 환수되지 못했다. 그래도 감히 그걸 입에 올릴 분위기가 아니다.

꿈이 원대한 사람은 항상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당신이 그렇게 오매불망하는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는 아마도 실패했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에게는 이 한반도 위의 대한민국을 그 구성원인 국민등을 어떻게 행복하게 하겠다는 꿈이 없으니 실패했다는 소리를 하지 않는것이 아닌가? 더 잘할 수 있었다는 회한을 이따구로 이용해 먹는 당신의 지능은 사설을 적을 자격이 있는가?

文, 자기 목소리 내야  인간 노무현의 비극은 안타깝다. 하지만 그는 대한민국을 부정했던 자신을 대통령으로 만들어준 이 나라의 저력을 인정했어야 옳다. 대통령이라면 보다 자랑스러운 국가로 만들려고 노력해야 했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 7년여. 이제 그를 놓아줄 때가 됐다. 그의 그림자에서도 벗어날 때다. 노무현의 유령과 싸우는 한 우리는 미래로 나갈 수 없다

누가 노무현을 놓아주지 않는가? 나는 노빠로서 노무현을 정치적으로 진작에 놓았다. 그리고 아련한 향수로서 그를 기억한다. 너같은 놈들이 아직 노무현을 놓지 않고 노무현의 유령과 싸우고 있다고 본다. 제발 노무현을 놓아주고 실체와 싸워라...

출처 동아일보에 빡친 나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