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공 인터넷 서비스 전국 확대가 얼마나 어마무시모시한지 설명드리겠습니다.
게시물ID : freeboard_188019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2020만사형통
추천 : 0
조회수 : 191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20/01/15 12:00:25
옵션
  • 펌글

정부가 공공 인터넷서비스를 전국 확대하면 벌어질 수 있는 것 들을 우선 나열해 보겠습니다.

전 국민이 모두 혜택을 받게하여 정보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어느 시점에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공 인터넷서비스가 지금의 LTE 커버리지 와 비슷한 품질과 수준으로 되었을 때를 가정한 얘기입니다.


첫 째, IT기기들(컴퓨터, 타블렛,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수십가지 IOT)기기들이 통신사 칩 없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타블렛을 살 때 대부분의 경우 돈 더 주고 LTE모델을 살 필요가 없어지죠.

IOT기기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원격지(창고, 공사장)를 관리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 등등을 싼 가격게 쉽게 사서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IOT기기들이 보급되면서 지금은 없는 새로운 IOT서비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등 사람이 쓰는게 아닌 장비나 시설, 동물들이 서버와 연결해 작동하는 저렴이 IOT 기기와 서비스들이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둘 째, 통신사 가입없이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학생들이 많이 이용할 것 같습니다. 저렴한 요금제니 뭐니 다 필요없고 통신사 가입 없이 인터넷을 쓰는 경우입니다. 통화는 조금 불편하더라고 학생들은 많이 사용할 것 같습니다.


세 째, 둘 째의 이유로 통신사 요금제가 낮아질 확률이 커집니다.


네 째, 유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이 줄어듭니다. 여전히 게임을 하게나 일을 하는 경우는 유선인터넷이 필요하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유선인터넷을 돈 주며 사용하지 않을 듯 합니다.


결국 공공 인터넷 전국 서비스는 옜날 한국통신 시절로 다시 돌아가 통신서비스를 민간에서 국민 소유로 바꾸는 엄청난 일이 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지금은 구상단계만 있던 수만가지의 IOT서비스들을 시제품으로 만들어 서비스 할 수 있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되는겁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래 댓글에 와이파이 기술에 대해 포커스가 가서 추가내용 작성하며 와이파이란 단어를 "공공 인터넷 서비스"라 바꿨습니다.

정부가 목표로 하는게 통신서비스를 모두 받게하여 정보격차를 해소하는게 목적이고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현재 수단으로 나온게 와아파이 입니다.

목적이 공공와이파이 전국 서비스이고 부수적으로 얻는 이득이 정보격차 해소가 아닙니다.

수단은 언제든 더 좋은 기술이 나오거나 여건에 따라 혹은 지역적으로 선택적으로 바꿀 수 있는겁니다. 

중요한건 국가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손을 대기 시작했다는 거라고 저는 봅니다.

정부가 시행하는 일은 무게감에 있어 민간이 하는 일과 차원이 다릅니다. 일 예로 작은 섬에 초등학생이 몇 명만 있어도 학교가 있고 교사 들을 파견합니다. 돈으로 따지면 한 아이당 몇천만원을 매 년 공공 교육을 위해 지출하는겁니다.

지금의 와이파이 기술 주준이나 보안에 대해 언급하기 전에 먼저 숲을 바라보았음 하는 마음입니다.


전국에 전기를 보급한다는 정부 발표에, 110v 라서 불가능하다. 220v라서 불가능하다 뭐 이런식의 기술적인 부분에 포거스가 맞춰지니 클량이라 그러려니 생각들기도 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침 8시18분. 왜 이리 댓글이 많이 달리나 봤더니 대문에 걸려있네요...

이 글과 관련하여 다른글에 올리기도 했는데 와이파이 용어에 대한 제 생각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와이파이, 3G, LTE, 5G 이런 용어는 기술적인 용도도 있지만 기술과 별개로 관행적으로 아니면 그냥 상징적으로 붙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LTE(Long Term Evolution ) 뜻이 뭐 별거 있나요?

미래에 정부가 공공인터넷 서비스를 시행 하다가 어느 시점에 주파수 하나 공공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할당하고 그걸 많이 알려진 와이파이 단어 붙여서 공공와이파이X라 붙일수도 있는겁니다.

저는 공돌공돌한 감성으로 와이파이란 용어를 해당 기술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하기보다는 상징적인 용도로 쓴겁니다. 그리고 현재 민주당 공약에 언급된 용어기도 하구요.


댓글 내용을 보며 곰곰히 생각해보니 꿈꾸는 이상이 다른게 차이구나 알았습니다.

인터넷이란게 본질적으로 공교육, 치안, 소방 처럼 국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하는게 마땅하니 지금은 문제가 있고 앞으로라도 그렇게 가야 하는게 제 이상이고 그래서 그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게 제 생각의 뿌리인데...

기술적인 이런저런 얘기는 제가 봤을 때 핵심은 아닌것 같습니다.

3G, LTE, 5G등등 이런 기술은 민간이 소유한 전유물인게 당연한 것 처럼 생각하는 분들도 있다는 생각의 틀에서 그 차이가 좁혀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저는 당연히 공공인터넷 서비스를 와이파이로 하다가 나중엔 차세대 와이파이거나 LTE, 5G 뭐든 기술은 중요한게 아니고 결국 공공서비스로 가는데 포커스를 두고 글을 썼는데.

...

결국 생각의 뿌리가 다른게 원인 같습니다. 그것도 아니면 공돌공돌한 감성의 분들이 제 글에 언급된 "와이파이"란 기술 용어에 많이 불편했나봅니다.


더불어 민주당에서 꺼낸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확대에 대해 의미를 생각해보면,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정치권에서 안건으로 비중있게 다루기 시작한 것에 큰 의미를 둬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제가 언급한 이상적인? 형태의 파격적인 변화를 얘기했다면 비현실적이고 기존 통신사업자들의 반발도 있을테고 당연히 좋은쪽으로 가지 않았을거라 봅니다.

지금처럼 정보격차해소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공공와이파이 확대 보급정도에서 발언하는게 현명한거라 봅니다.

민주당에서 의도했던 그렇지 않던 저는 선거공약의 본질에 해당하는 "정보격차해소"라는 키워드를 상당히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나라는 선진국 문턱에 있고 뭔가 트리거가 될 만한 산업의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예전 김대중 대통령이 시작한 고속인터넷 보급사업처럼, 4차산업, IOT를 생각하면 전국에 제약없는 공공 인터넷서비스가 앞으로 정부에서 국민에게 제공하는 가장 가치있는 것 중 하나가 아닐가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