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와인 참 무섭네요. 술 안 좋아하던 제가 이렇게 될 줄은...
게시물ID : humordata_189767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하쿠오로
추천 : 9/9
조회수 : 3150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21/03/12 07:48:07

안녕하세요. 저는 전업으로 글을 써서 먹고사는 작가 임승수라고 합니다. 원래 술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한동안 거의 입에도 안 대고 살았는데, 2015년 9월 6일에 우연히 와인을 한 병 마시고 미각의 문화충격을 받아 걷잡을 수 없이 와인의 세계에 빠져들었습니다.


아시다시피 한국에서 전업 작가로 산다는 것은 경제적으로 여유를 가지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제 경우는 인문, 사회과학 분야 책을 쓰다 보니 더욱 그러한 편입니다. 그런데 와인의 맛을 아는 몸이 되어버렸으니 얼마나 고민이 많아졌을까요. 호주머니 사정은 소작농 수준인데 혓바닥은 갈수록 합스부르크 왕가처럼 되니....


그렇게 맨땅에 헤딩하며 와인을 마시면서 그 매력을 깨닫다 보니, 사람들에게 와인의 매력을 전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오마이뉴스에 <임승수의 슬기로운 와인생활>이라는 글을 1년 넘게 연재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그 연재글을 토대로 책도 출간하게 되었고요. 바로 <와인에 몹시 진심입니다만,>입니다.


작가가 직접 자신이 쓴 책을 알리려고 이렇게 글을 쓰니 좀 민망하기도 하고 쑥스럽기도 합니다.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꿀잠을 자고 있는 두 딸의 모습을 보며 염치불구하고 용기를 내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코로나 사태가 저 같은 프리랜서들에게 특히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보니, 염치불구하고 이렇게 직접 제 책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출판계 상황도 녹록치 않아서 책을 알릴 수 있는 방법도 딱히 없기도 하고요. 그렇다 보니 남자는 약하지만 아버지는 강하다는 마음으로 글을 남깁니다.


요즘 와인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와인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아주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책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딱딱한 책도 아닙니다. 제가 겪은 일들을 소재로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와인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감히 말씀드리지만, 와인을 무척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는 책이라고 말씀드립니다.


아래에 책의 프롤로그 부분을 옮깁니다. 아무쪼록 재밌게 읽어주시면 좋겠어요. 글의 말미에 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주소를 남기겠습니다. 관심 있는 분은 참고해주세요. 바쁘실 텐데 시간을 내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표지_인터넷홍보용.jpg

 

 

프롤로그


한동안 술에 대해 좋은 기억이 없었다. 첫 만남부터가 그다지 유쾌하지 않았으니까. 1993년에 대학교에 입학하니 신입생 환영회에서 ‘사발식’이란 걸 했다. 일종의 통과의례였는데, 거대한 짜장면 사발에 막걸리를 넘칠 듯 말 듯 찰랑찰랑 채워놓고는 단숨에 들이키라는 게다. 내가 마시는 척하며 술을 흘릴까 봐 한 선배가 능숙하게 사발 하나를 밑에 받치던데, 당신들은 다 촘촘한 계획이 있었구나. 바로 이어진 소주 삼배주. 에휴… 글을 쓰면서 당시 장면을 떠올리니 당겨진 방아쇠에 총알이 튀어 나가듯 장탄식이 나온다.


은연중 그 문화에 젖어 든 나는 이듬해 사발식 시범 조교로 활약했지만, 솔직히 술이 맛있다고 느껴본 적은 없었다. 그냥 분위기 맞춰 취하게 만드는 게 술의 기능이자 역할이라고만 여겼다. 대체로 맛은 쓰고 불편했지만, 뭐 얼큰하게 취해서 왁자지껄 떠드는 것 자체는 나름 흥겨웠으니까. 하지만 공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적성에 맞지도 않은 직장생활 및 사회생활을 하면서 각자도생의 스산한 인간관계에 치이니, 알코올 기운 빌린 억지웃음이 난무하는 분위기에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되었다.


안 그래도 맛있다고 느껴본 적도 없는데 그 사회적 기능성과 역할까지 상실하니, 술은 내 인생에서 그 존재감을 시나브로 상실해갔다. 그동안 내 인생도 많이 달라졌다. 대학원에서 반도체 소자를 전공한 경력을 살려 연구원으로 일하던 나는, 5년 남짓의 직장생활을 그만두고 사회과학 분야의 책을 쓰는 작가로 변신했다. 직장 시절만큼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지는 않지만, 좋아하는 일을 하니 다행히 삶에 활력이 넘치기 시작했다. 삶의 지향과 가치관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들과 새로이 인간관계를 맺으니, 알코올 기운이 넘치는 술자리에서 다시 흥겨움을 발견하게 되었다. 다만 여전히 술이 맛있다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그저 휘청휘청 흐느적거리는 분위기에 젖어 들 뿐.


그러다가 서력 2015년 9월 6일(나에게는 와인력 1년 1월 1일) 우연히 한 와인을 만나고 그 풍미와 매력을 아는 몸이 되었다. 성경에 따르면 사도 바울은 원래 예수 믿는 이들을 비난하고 핍박하던 사람이었다고 한다. 그랬던 이가 신비로운 종교 체험 후 목숨을 걸고 예수의 복음을 전파하는 사도로 변신했다는데, 와인이 종교라면 내가 딱 사도 바울이구나. 신(술)을 믿지 않고 꺼리던 내가 특정 신(와인)을 접하고 신비로운 체험을 통해 진심과 성심을 다해 귀의하게 되었으니.


이 책은 와인교에 귀의한 한 사내의 좌충우돌 신앙생활을 솔직담백하게 담고 있다. 첫 만남의 그 신비로운 체험에서 시작해 고진 박해(아내의 등짝 스매싱)와 경제적 어려움(가산탕진)을 이겨내며 자신의 믿음을 견지하는 신실한 성도의 모습을 거짓 없이 유쾌하게 그려낸다. 우리가 믿는 신(와인)은 극도로 섬세한 쾌락주의자이기 때문에 그 은혜를 온전히 영접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할 교리와 십계명이 있다. 그것을 제대로 따르지 않으면 신은 절대로 우리에게 진정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을 수백 회의 영적 체험을 통해 몸소 확인했다. 이미 신을 영접한 이들에게는 이 책이 훌륭한 간증서가 될 것이며, 이제 갓 신도가 된 이들에게는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안내자가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대학 시절 공학도였던 나는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읽고 천지가 개벽하는 충격을 받았다. 그 영향이 학창 시절을 넘어 직장생활 내내 계속되어, 결국에는 연구원 생활을 때려치우고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사회과학 서적을 저술하는 작가가 되었다. 그런데, 그 마르크스 《자본론》에 버금가는 충격을 준 것이 바로 와인이다. 내가 마르크스주의자로서 말과 글로 진보적인 사상을 전파하듯, 와인교 사도가 되어 신의 매력을 알리려 책까지 쓸 것이라고는 단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내 인생, 내가 생각해도 참 재밌다.


이 책이 독자들의 슬기로운 와인 생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저자로서 그보다 더 큰 기쁨은 없을 것이다. 마음 같아서는 독자 한 분 한 분과 와인으로 건배를 나누고 싶지만, 여건상 그럴 수 없음을 이해 부탁드린다.


어젯밤 마신 피노 그리지오의 여운을 음미하며

임승수



예스24: http://www.yes24.com/Product/Goods/97966164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6760449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90382359 



K602730880_01.jp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