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민주당 이동학 상위 10% 들기위한 공정성? 80% 청년들 위한 공정성
게시물ID : sisa_117429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marcy
추천 : 2
조회수 : 565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21/06/01 04:58:04
옵션
  • 펌글

민주당 이동학 “상위 10% 들기 위한 공정성? '80% 청년들’ 위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김상범 기자 [email protected]

 

이동학 더불어민주당 청년최고위원이 31일 국회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권호욱 선임기자

이동학 더불어민주당 청년최고위원이 31일 국회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권호욱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의 힘은 다양성이다. 지금은 논의 자체가 금기시되니 국민들이 거리감을 느끼고 있다.”

이동학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39)의 말이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지난 21일 그를 청년 최고위원으로 지명하면서 “현재의 불공정을 넘어 ‘미래’를 함께 공감하고 세대 간 소통의 다리를 이어줄 청년”이라고 소개했다. 이 최고위원은 실업계 고등학교를 나와 노점상과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정치에 발을 들였다. 20대 총선에서 낙천한 뒤에는 2년간 세계를 돌며 쓰레기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열린우리당 시절부터 19년간 당적을 보유했던 그는 31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민주당을 향해 “위선적”이라며 쓴소리를 했다. 지난 2015년 ‘김상곤 혁신위’ 혁신위원으로서 당내 기득권인 86그룹의 용퇴를 촉구했던 그는 6년 뒤 ‘위기의 민주당’을 향해 재차 고언을 던졌다. .

떠나간 ‘2030 민심’을 되찾기 위한 해법으로 이 최고위원은 “젊은 세대가 다시 공정한 판이라고 인정하고 신뢰할 만한 체계를 갖추는 것이 과제”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서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일으키는 ‘돌풍’을 두고는 “세대교체의 흐름은 긍정적”이라면서도 “그가 말하는 ‘공정한 경쟁’이 완성된다고 해서 사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청년 최고위원으로 임명된 소회는.

“젊은 층에서의 민심 이반을 회복하는 과제가 부담되기는 한다. 당이 이동학에게 기회를 준 것이 아니라, 젊은 세대의 운명과 미래를 개척하는 기회로 써보자는 차원에서 선택했다고 본다.”

- ‘꼰대 정당’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실제로 위선적이라고 생각한다. 당 일각에선 박원순 전 시장 피해자를 고소하자는 이야기도 있다. 수용할 수 없는 주장이다. 사회 보편적인 원칙은 명확히 정리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들을 당내에서는 거침없이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다. 민주당의 힘은 다양성의 힘이다. 하지만 논의 과정 자체가 금기시되니 국민들이 거리감을 느끼는 것이다.”

- 2030 민심이 떠나간 계기는 무엇인가.

“언행 불일치다. 국민들이 ‘왜 못하냐’고 했을 때 ‘저쪽은 더 잘못’이라는 태도 자체가 매력이 없다. 정책적 무능은 둘째 문제다.”

-조국 사태로 인한 불신은 어떻게 극복해야 하나.

“조국 전 장관이 잘했는지, 잘못했는지 더 이상 논쟁할 이유가 없다. 젊은 세대가 다시 공정한 판이라고 인정하고 신뢰할 만한 체계를 갖춰야 하는 것이 과제다.”

- 야권에서 ‘이준석 돌풍’이 일고 있다.

“세대 교체의 흐름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 전 최고위원이 ‘공정한 경쟁’만 강조한다고 해서 사회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공정한 경쟁까지 가는 과정에서의 불공정 문제도 적극 논의해야 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결과가 ‘올 오어 낫띵(All or nothing)’이다. 이 전 최고위원 본인은 사실 어디를 가든 살아남을 수 있는 엘리트다. 상위 10% 안에 들어가기 위한 진입 장벽에서의 ‘공정 원칙’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80%의 청년들이 박탈감을 느끼지 않고 행복을 누리면서 살게 해주는 게 우리의 방향이 돼야 한다”

- 지명직 청년 최고위원으로서 역할은.

 

“나이가 젊다고 청년 정치가 아니다. 앞 세대가 발견하지 못한 일들을 사회적으로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장유유서 헌법, 레임덕 촉진 헌법을 고치자고 했다. ‘뜬금포’가 아니다. 미래를 좀더 장기적 관점에서 디자인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안한 것이다. 젊은 사람의 피선거권을 제한하는 낡은 제도, 5년 단임제 일회용 정부. 이 체계를 깨야 미래세대의 기후위기, 고령화, 노동의 변화 등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길게 보고 대처할 수 있다.”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5311742001&code=910402#csidxfa38314a2e5aea698b5541c77d1e50e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