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영화 "제 7의 봉인"을 보고 난 후 짧은 감상문
게시물ID : phil_486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우울몽
추천 : 1
조회수 : 71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2/09 03:58:21
제 7인의 봉인이란 제목은 '요한 계시록'의 한 소절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다.

종말의 날에 죽음의 천사들이 일곱번의 나팔을 불면, 마치 신이 천지를 창조했던 -일곱 번의 밤과 낮에 걸쳐 -그때처럼
세상의 종말이 온다.

배경은 흑사병이 창궐하는 유럽 - 어딘지 2차 세계 대전 후의 유럽의 풍경과 닯아있다. -
십자군에 가담했던 한 사람의 기사(안토니오스 블로크) 가 귀향길을 가던중 '죽음'을 만난다.

아직 자신의 죽음이 준비되지 않은 기사는 '죽음'에게 체스를 한판 두는 것을 제안한다.
체스 게임에서 죽음이 승리한다면 기꺼이 그를 맞이하겠지만, 게임이 끝나기 전까지는 자신을 살려두라고.
마음의 한 축에서 체스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마음의 한 축에선 죽음이 '유예된 시간' 동안, 기사 안토니오크 블로크의 오디세우스적 귀향이 계속 진행된다.

(더 이상의 스포는 금지...)





영화가 내내 우울한 것만은 아니었다. 확실히 순진무구한 젊은 광대 부부에게선 잉게르 바르만이 그렸던 희망의 전언이 담겨 있다. 하지만 순교자들이 마을을 통과하는 장면이나, 광대가 술집에서 조롱당하는 장면은 그 어떤 호러 무비를 본 것보다 충격적이었다.


인간성의 어두운 심연을 예술이 비출때마다, 그 빛은 결국 인간에게 구원은 가능한가, 라는 질문일 터. 그런데 왜 신은 대답이 없는가? 대답은 결국 자기 자신이 찾아야 하겠지만, 혹시 그 침묵은 현실에 대한 메타포이지도 않을까 하는 생각. 이 영화가 제작된 시대는 냉전의 최첨단이 진행되던 시기. 단지 버튼하나만 누르면 수백, 수천만의 인류가 사라지는 시대였다.


지금, 냉전은 끝났는가? 보드리야르가 지적한 대로 현실과 허상의 경계는 그 어느때보다 무의미하다. 걸프전, 이라크 전쟁, 아프간,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미사일 공습, 최신 비디오 게임과 전쟁은 그다지 다르지 않다. 단지 우리는 유예된 시간속에 살고 있는게 아닐까? 선고는 이미 내려진 것이 아닐까?(물론 그렇게 믿고 싶지는 않다.)


---


마음만 먹는다면 더 자세한 리뷰도 쓸 수 있겠지만,


지금은 그저 잠시 슬퍼하고 싶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