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금이 위험한 이유.
게시물ID : sewol_1090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컴포지트
추천 : 9
조회수 : 714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4/21 09:16:40
한국은 특히나 자본주의 경향이 강하죠. 미국처럼.
하지만 기부문화는 미국과 너무나 다릅니다.
자세한 얘기는 뒤로 미루고 본문으로 들어가서,
모금의 위험성을 알리려 했는데 이제서야 알리는군요.
한국에서 모금하는게 얼마나 위험한 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가해자(사,국가)의 책임이 무마된다.
예전에 천안함 사건 아십니까? 천안함으로 인해 희생된 병사들을 위해 모금 활동을 벌였고,
연평도 등 사람들을 죽이고 울리게 만든 큰 사건들을 겪고 지나갔습니다.
이들 사건은 모금운동이 한창이었는데, 다들 아시겠지만, 모금받은 피해자는 국가보상을 못받는다는 법원 판결 사례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책임져야 할 국가 및 기업의 보상금액은 적어지고, 모금액이 더 클수록, 그들의 책임은 점점 사라지죠.
이번 세월호 사건의 책임은 당연히 업체에 있습니다. 이건 개인이 보상해야 하는게 아니라 세월호 관리 기업이 보상해야 합니다.
그들이 보상하게 하려면, 그들을 자극시키고 촉구해야지, 피해자들을 위해 모금하는 건 세월호 업체에게 이건 인재가 아닌 자연재해라는 핑계를 대기 쉽게 만듭니다.
그들은 죄값을 치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피해보상을 그 업체가 하게 해야 합니다. 슬픔은 이해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냉정하게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2. 한국의 모금활동을 이용한 바퀴벌레들.
이 게시판에 "모금" 검색하면 나오는 이유입니다. 모금활동 뒤에는 바퀴벌레가 있다는 것을. 모금액을 개인용돈처럼 쓰거나 회식에 이용한 사례가 적지 않죠. 심지어 적십자도, 구세군도요. 더 얘기하면 제가 감정적으로 글을 쓸 것 같아 패스하겠습니다.

자유에는 책임이 뒤따른다는 것. 여러분만이 지켜야 하는 건 아닙니다. 그 업체도, 국가도, 자유롭게 활동했으면 그에 마땅한 책임을 져야 하죠.
세월호 업체는 돈을 탈탈 털어서라도, 없으면 배를 팔아서라도 피해보상을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모금은 지양하시기 바랍니다.

모금문화가 한국 자본주의를 너무 변질시켰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