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랜만에 올리는 화성학 강좌 네번째.7화음
게시물ID : music_9639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슭슭
추천 : 24
조회수 : 3237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4/07/31 20:51:06
3화음에 이어서 바로 공부하면 의외로 쉽게 알기 때문에 바로 연달아 올리려고 했지만..

예상치 못한 술약속 크리;;;(몰리더라구요 항상;;) 에다가 작업하는것들 때문에 또 늦었습니다..
(맨날 핑계네요 ㅠㅠ 봐주세요 ㅠㅠㅠ ㅋ)

어쨌거나 오늘은 7화음을 다룰건데요.


3화음이 3개의 음으로 구성되는 화음이니깐
7화음은 7개의 음이냐? 라고 생각하실수 있지만
그게 아니에요 ㅋ;;
7화음은 7도 음정을 사용하는 화음을 뜻하는 말로서
4개의 구성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화음을 뜻합니다.(한국어 용어의 편의성상 4화음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영어로는 Seventh Chord 라고 하구요.



그럼 첫번째 다룰 세븐스 코드는
메이저 세븐스 코드 입니다.(Major 7th Chord)

이 코드의 구성음은 1도 장3도 완전5도 장7도 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메이저 트라이어드 코드에 장7도음을 붙인 코드입니다.
스크린샷 2014-07-31 오후 7.20.23.png
(이번 부터는 로직에서 악보를 만들었는데. 이게 더 잘 보이는거 같네요 ㅎ)

CM7 코드를 살펴 보자면 1도인 도, 장 3도인 미, 완전 5도인 솔, 장 7도인 시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코드는 항상 예전부터 말했듯이 기준이 되는 음(Root,근음)이 바뀌면 그거에 맞춰서 다른음도 바뀌게 됩니다.

예를들어 DM7 을 살펴 보면
스크린샷 2014-07-31 오후 7.23.11.png

1도(루트)레, 장3도 파#, 완전 5도 라, 장7도 도# 이런 구성음을 가지게 됩니다.
이 코드를 만드는건 항상 루트로 부터 시작해서 음정계산을 해서 쌓아 올리시면 됩니다.

이 메이저 세븐스 코드는 장 7도 음을 사용한다는걸 기억하시고
표기는 그림과 같이 CM7 으로 하기도 하지만
C Maj7, C △7 과 같은 식으로 하기도 합니다 ㅋ
여기서 중요한건 3화음 할때 메이저를 생략하는 이유가 7화음의 메이저 세븐스 코드 표기와 혼동이 올수 있기 때문에
장7도 화음인 메이저 세븐스를 쓸때 Maj, M 과 같은 식으로 뒤에 숫자를 가르키는 식으로 메이저 표시를 쓰게 됩니다.
CM7을 읽을때는 C 메이저 세븐 으로 읽으면 되요 ㅎㅎ



다음으로는 마이너 세븐스 코드(minor 7th chord) 입니다.

마이너 세븐스 코드의 구성음은
1도(루트) 단3도 완전5도 단7도 입니다.
마이너 트라이어드 코드에 단 7도를 추가한 화음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ㅎ
Cm7 코드를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스크린샷 2014-07-31 오후 7.33.53.png

1도인 도, 단 3도인 미b, 완전 5도인 솔, 단 7도인 시b 이렇습니다.

표기는 보통 Cm7 또는 C-7으로 하게 되는데
여기서 소문자m이나 - 기호는 단3도를 지칭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7도음은 특별한 표기(Maj 나 M표시)가 없는 이상 거의 항상 단 7도를 가르킨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장 7도를 쓸때는 항상 코드 표기에서 앞에 Maj 같은게 붙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메이저 세븐스는 CM7 으로 쓰는데 여기서M은 장7도를 가르킨다고 생각하면 되고(장3도를 가르키는 표기는 보통 생략하기에)
마이너 세븐스는 Cm7으로 쓰는데 여기서 소문자 m은 단 3도를 가르킨다고 생각하시고 7도는 특별한 표기가 없으면 항상 단 7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읽을때는 C 마이너 세븐으로 읽으면 됩니다 ㅋㅋ


그다음으로 살펴볼 화음은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Dominant 7th Chord) 입니다.

이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의 구성음은
1도(루트), 장 3도, 완전 5도, 단 7도 입니다.

메이저 트라이어드 코드 위에 단 7도음을 쌓은 코드 입니다.
(메이저 세븐스와의 차이는 7도음이 다르단걸 알수 있네요 ㅎ)
C7의 구성음을 알아보겠습니다 ㅋ
스크린샷 2014-07-31 오후 7.41.23.png

1도(루트)도, 장3도 미, 완전 5도 솔, 단7도 시b 입니다.

코드 표기는 C7과 같은 식으로 하게 되고
읽을때는 C세븐 으로 읽으면 되는데요.
아까 설명한대로 특별한 표시가 없는 7은 단 7도음을 뜻하고 메이저 트라이어드 화음 표기인 C 옆에 7이 있으니 트라이어드+단7도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는 앞으로 음악할때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코드인데요 보통 해당 조성의 다섯번째 음에 위치한 코드가 이 도미넌트 코드가 됩니다.
(예를 들자면 C Major key 에서 5번째 코드는 G7 입니다.)
다이어토닉을 나중에 다루면 이해가 되실 부분이라서 지금을 일단 넘어가지만 이 도미넌트 코드는 트라이톤이란걸(감5도간격인걸 뜻하는데 굉장히 불안한 울림링데 자세한건 나중에 다이어토닉이나 섭스티튜드 도미넌트에서 다룰게요 ㅎ) 가지고 있고 이넘 덕분에 조성음악(Tonal Music)이 힘을 갖습니다 ㅎ

일단은 중요한 넘이란것만 알고 있고 구성음과 만드는 방법, 표기 읽는 방법 정도만 알고 넘어갈께요



다음은 마이너 세븐스 플랫 파이브 코드 입니다(minor 7th b5 chord) 하프 디미니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름 참 엄청 길죠;;;;;;
근데 사실 코드 네임에서 모든 코드톤을 다 알려주고 있어요 ㅋㅋ
이 코드의 구성음은 1도(루트), 단3도, 감5도, 단7도 입니다.
Cm7(b5)를 먼저 살펴볼게요
스크린샷 2014-07-31 오후 7.52.22.png

1도(루트) 도, 단3도 미b, 감5도 솔b, 단7도 시b 으로 구성된
Cm7(b5) 입니다.
표기는 Cm7(b5), C-7(b5), CØ 와 같은 식으로 하고
읽을때는 C마이너 세븐 플랫 파이브, 또는 C 하프 디미니쉬(특수 기호 들어간거) 라고 읽습니다,

요녀석의 특징은 감3화음(디미니쉬 코드)에 단7도음이 붙은건데 그럼 왜 이걸 디미니쉬 세븐이라고 안하냐? 라고 물어보신다면..
디미니쉬 세븐 코드는 따로 있거든요;;; ㅋ 이게 아니라;;
1,3,5 코드톤의 울림은 디미니쉬와 같지만 7도음이 단 7도음이 붙으면 마이너 세븐 플랫 파이브 또는 하프 디미니쉬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코드 네임 에서 보여주듯이 괄호 안에 플랫 파이브는 5도를 플랫 해줘라(감5도로 만들어라) 라는 뜻이고
소문자 m은 아까 말한듯이 단3도를 말하고 특별한 표기가 없는 7은 단 7도를 뜻하니 코드 네임 안에 모든 구성음이 다 표현되어 있네요 ㅎ


7화음은 3화음에 비해 종류가 좀 많습니다;; 아직 외울게 좀 남았어요.. ㅋㅋ;;;;


그 다음은 마이너 메이저 세븐스 코드 입니다.(minor Major 7th chord)
이놈도 참 이름이 깁니다;;;
하지만 별거 없습니다 이거 역시 코드 네임안에 코드 톤이 다 표현 되어 있네요 ㅋㅋ
일단 구성음은 1도(루트), 단3도, 완전5도, 장7도 입니다.
CmM7 코드를 그려 볼게요~
스크린샷 2014-07-31 오후 8.05.59.png

루트인 도, 단3도인 미b, 완전5도인 솔, 장7도인 시
이런 구성음을 가지고 있는데요.
마이너 트라이어드 코드에 장 7도 음이 쌓여진 코드입니다.
코드 표기는 CmM7, C-M7, Cm(Maj7), C-(Maj7)과 같은 식으로 하게 되고
C 마이너 메이저 세븐 으로 읽으면 되는데요
코드 표기안에 보면 처음 나오는 소문자 m은 단3도를 가르키고 대문자M은 장 7도를 가르킵니다.(여기엔 7도에 관해 따로 표시를 해주죠? 단7도가 아닐때는 이런 특별한 표시들이 있습니다 ㅎㅎ)


아직 남았습니다.. (몇개 안남았어요! 힘내요 ㅋ)


그 다음은 디미니쉬드 세븐스 코드 입니다.(Diminished 7th chord)

이 녀석은 아까 마이너 세븐 플랫 파이브 코드에서 생겼던 의문을 해소할수 있어요 ㅎ
코드의 구성음, 코드톤은
1도(루트), 단3도, 감5도, 감7도 입니다.
아까 마이너 세븐 플랫 파이브와의 차이가 바로 7도인데요.
디미니쉬 트라이어드 + 단7도=마이너 세븐 플랫 파이브
디미니쉬 트라이어드 + 감7도=디미니쉬드 세븐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Cdim7을 알아볼께요.

스크린샷 2014-07-31 오후 8.22.42.png

악보에 더블플랫이 있다고 헷갈리시지 마세요. ㅎ 7도음이란걸 이해하기 위해서 더블플랫을 써놓은거에요. ㅋ
구성음은
1도(루트)인 도, 단3도인 미b, 감5도인 솔b, 감7도인 라(시 더블 플랫인데요. 시에서 반음 두번,즉 온음을 내리면 라죠? ㅎ 딴이름 한소리인 경우거든요 시 더블플랫=라 인데 라는 도에서 장6도 인 동시에 감7도음이 되니깐요;; ㅋ)

이렇게 됩니다.

코드 표기는 Cdim7, Cº7 과 같은 식으로 표기 합니다.
(혹시 또 모바일에서 특수문자가 깨질수도 있겠네요..;;; 디미니쉬드에는 특수문자가 좀 들어가요 ㅎ)
읽을때는 C 디미니쉬 세븐 으로 읽으시면 되구요.


이제 어그먼티드 메이저 세븐스와 어그먼티드 세븐스 코드, 그리고 도미넌트 세븐 서스포, 메이저 6 코드, 마이너 6코드가 남아 있는데요.
활용 빈도로 따지면 도미넌트 세븐 서스포는 좀 자주 쓰이는데 어그먼티드는 빈도가 좀 낮고..
메이저6, 마이너6코드는 메이저7의 대리, 마이너 메이저7의 대리의 역할을 하는거 인데요..

이 코드들은 위에 코드들처럼 다 외우고 설명하는 것 보다는 간단하게 이해만 하고 넘어갈게요.

나중엔 실제로 쓰기도 하지만 일단 초보인 분들이 이거까지 다 외우면 머리가 너무 아플것 같아서 위에서 설명한 코드의 응용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가면 될꺼 같네요.

어그먼티드 메이저 세븐스(Augmented Major 7th)는 
어그먼트 코드에 장 7도 음을 더한건데요
이넘은 성향이 어그먼티드에 뭔가가 더해진 느낌이 아니라(이 앞의 코드들은 기존 코드에 7도음을 더함으로 음색이 확장되는 느낌인데 반해 이넘은 좀 달라요)

어그먼트 메이저 세븐이 되는 순간! 메이저 세븐스 코드와 비슷한 성향을 가지게 됩니다.
즉 메이저 세븐스의 변형으로 생각하시면 되요.(코드의 느낌 자체가)
표기는 CaugM7 이나 간단하게 걍 C+M7이라고 하거나 C+Maj7, CMaj7(#5)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ㅎ
(앞에 3개는 C어그먼트 메이저 세븐이라 읽고 맨 마지막꺼는 C 메이저 세븐 샾 파이브 라고 읽으면 되요)

어그먼트 세븐스 코드는
어그먼트 코드에 단 7도음이 붙어서 만들어지는 코드인데 이넘은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의 변형으로 간주합니다.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거든요..

표기는 C+7, Caug7 과 같은 식으로 해주면 됩니다ㅋ


도미넌트 세븐 서스포 같은 경우에는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에서 장3도음을 완전4도음으로 변형 시켜주면 되는데요.
이전에 서스포 코드와 마찬가지로 원래의 도미넌트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표기는 C7sus4 와 같은 식으로 해주고 C세븐 서스포 라고 읽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메이저 6, 마이너 6코드 같은 경우엔
메이저 6는 메이저 세븐스 코드에서 장7도 대신 장6도 음을 써준 코드이고
마이너 6코드 같은 경우엔 마이너 메이저 세븐스 코드에서 장 7도 대신 장6도를 대신 써준 코드입니다.
메이저 6 코드는 메이저 세븐스의 대리로, 마이너 6 코드는 마이너 메이저 세븐스의 대리로 많이 써줍니다.
(6도가 들어가는 식스 코드는 세븐스가 아니잖아요? 라는 질문이 나올수가 있네요. ㅋㅋ 그럼 7화음이 아니...ㄹ 수도 있겠죠? ㅋ
근데 그냥 편의상 4개의 구성음으로 들어가고 세븐스의 대리로 많이 쓰이니 걍 세븐스에 합쳐서 공부하는 편이 낫..겠죠? ㅋ 그냥 세븐스라 생각하시면 편해요 ㅋㅋ)

이 6 코드는 나중에 텐션의 개념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어요(6도음 자체가 텐션이니..) 다만 텐션으로 들어가는 것과 애초에 6코드로 세븐스를 대리해서 들어가는건 느낌이 조금 다르게 때문에.. 어디까지나 어떻게 사용할지는 작곡자 맘대로 입니다 ㅎ..

세븐스는 뭐 만들기 나름인데.. 잘 사용하는 세븐스 코드들인 이정도 고요..

이제 세븐스 코드까지 왔으면 코드톤 이라는 거에 대한 개념을 좀 잡고 넘어갈 필요가 있겠네요.


코드톤이라고 하면 코드의 구성음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보통 1(R)-3-5-7 이 4개의 음, 세븐스 코드의 코드톤을 항상 기본적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이 코드 톤이 아닌 음들은 나중에 텐션에서 배우개 될거고. 그 코드를 구성하는 코드톤들은
1도, 3도, 5도, 7도가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그 코드 네임과 성격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까지 다룬 7화음에서 기본적인 코드톤은 외워두시는게 앞으로 조금;; 편하게 공부하는 지름길 이구요..

3화음에서 다뤘듯이 7화음도 인버전(자리바꿈)이 가능합니다.

CM7 코드를 인버전 해 보겠습니다.
도-미-솔-시 로 쌓아올려서 만든 CM7 코드를 자리 바꿈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시-도-미-솔
솔-시-도-미
미-솔-시-도
이런 식으로 화음의 위치를 바꿔보면 그 느낌이 약간씩 차이가 오게 되는데요.

이걸 코드의 인버전이라고 하고 자리바꿈을 해서 코드의 보이싱(음의 구성)을 원하는대로 만들어 사용하면 같은 코드라도 좀 더 다른 울림을 얻을 수 있고
좀 더 자연스럽게 연결할수 있습니다.

일단은 오늘 나온 세븐스 코드를 외우고 나서 피아노를 통해 한번씩 인버전해보고 옥타브 위치도 바꿔보고 하면서 쳐보면 이해가 빠르실 건데요.

화성학을 할때 정말 중요한 한가지는
이걸 이론으로만 외우기만 하면 안된다는 겁니다.

오늘 세븐스 코드를 알았다면 기타든, 피아노든, 한번 쳐보세요.
그리고 그 코드의 느낌들을 몸이 기억해야 됩니다!
아~ 메이저 세븐스는 이런 느낌의 울림이구나
아항~ 마이너 세븐스는 이런 딥다크(?) 한 울림이 있네.
뭐야 도미넌트 세븐스는 왜 이도 저도 아닌 느낌이지? 똥마려운 강아지 같잖아!!
라는 식의;; ㅋㅋㅋ

자기 자신이 직접 그 코드의 울림들을 느끼는것! 그것이 화성학을 이론으로 남기지 않고 실제로 남기는 방법인데요.
화성학 이론 엄청 어려운 파트까지 다 공부해도 실제 그 소리들의 느낌이 어떤지 몸이 전혀 모르면 좋은 곡을 쓸 수가 없어요.

그러니 일단 한번.. 직접 악기를 연주해 보세요 ㅋ
몇번 하다보면 이 느낌은 몸이 금방 기억하니깐요! ㅋㅋ



다음번에는 아마도.. 음 다이어 토닉 이었던가?;;; 그럴텐데요 확인해 봐야 겠네요 ㅋㅋ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