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음향 장비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세팅법 (오디오믹서,인터페이스)
게시물ID : computer_26174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대봉스님
추천 : 7
조회수 : 18449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5/09/09 19:15:43
옵션
  • 창작글
  • 외부펌금지

안녕하세요.


취미로 간간히 방송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쉬는중...)


음향 장비를 다뤄보지 않으셨다면 좀 복잡할수도 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자금이 있으셔서


여러 장비를 투자해서 좋은 품질로 방송을 하실 예정이신...분들을 위해


제 세팅을 정리 해봤습니다.



2대 PC 구성입니다.



크기변환_IMG_2162.jpg

사용된 장비는 이렇습니다.



야마하 MGP 12X 오디오 믹서


스파르탄 큐 오디오 인터페이스


(마이크, 외장 사운드카드)



믹서는 꼭 위 제품을 안써도 되지만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믹서중에선 상위 모델 입니다.



크기변환_IMG_2636.jpg


캡쳐보드는 이 제품을 사용 했습니다.


생업으로 하는 방송이였으면... 고가의 캡쳐 보드(블랙매직디자인)를 썼겠지만 아직은 취미라 PCI 타입 중에서


FHD 해상도 60프레임 출력이 가능한 제품이 이거 밖에 없습니다. 


요즘 나오는 USB 외장형 캡쳐보드가 성능이 좋다곤 하지만... USB는 PCI의 전송속도, 안전성이 비교할게 못됩니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에서 60프레임을 지원 안하는데 이게 무슨 소용이냐고 그러실수도 있습니다.


게임 녹화를 해야죠 ! 유튜브에 1080p 60프레임으로 영상을 업로드 하기 위해선


FHD 60프레임 제품은 필수 입니다.


FHD 이상으로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은 아직 시기상조 입니다.


크기변환_IMG_2199.jpg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따로 레코딩을 하는게 아니여서 방송에 무난한 제품으로 골랐습니다.


실제로도 많은 BJ 분들이 사용중인 제품이구요.


레코딩용으로도 아주 크게 나쁘진 않습니다.

(하지만 레코딩용으론 그냥 포커스 라이트께 더 쓸만함...)



-------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흔히 오디오 카드라 불리는 기기 입니다.


사운드카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줍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줍니다.


ㄴㅇㄹㄹ2322.jpg

사람이나 동물 박수소리 전부다 아날로그 입니다.


디지털기기에서 나오는 신호는 모두 디지털이구요.


자세한건 넘어가겠습니다.



PC에 마이크를 연결할땐 꼭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 메인보드 사운드카드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품질이 좋지 않죠.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도 한정되어 있구요.


그래서 이렇게 외부 장치를 사용합니다.


일단 이건 넘어가고...

---------




세팅을


그림으로 보시겠습니다.



방송 세팅.jpg



좀 복잡하죠...?


신호가 흐르는 순서만 보면 간단 합니다.


목소리(마이크) -> 오디오 믹서 -> 오디오 인터페이스 -> B PC
A PC -> 사운드카드 -> 오디오 믹서 -> 오디오 인터페이스 -> B PC 



디스플레이 연결은 전부다 HDMI 연결 입니다.


캡쳐보드를 HDMI 오디오로 연결을 안하는 이유는 사운드를


영상과 따로 관리하기 위해서 입니다.


A 에서 나온 모든 오디오 신호들은 


오디오 믹서를 통해서


B 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전송 됩니다.



보통은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헤드폰으로 자신이 듣는 소리를 해결하지만


전 장기간 헤드폰 쓰는걸 싫어해서


그냥 스피커로 소리를 듣습니다.



이때 !


게임 소리가 마이크에 들어가서 피드백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하울링 또는 울림현상)


모니터링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자신의 방송 소리를 들으면서 피드백이 안들리는


적정 볼륨 값을 찾으시면 됩니다.


적정 값을 찾으시면 보통은 출력되는 게임 소리와 방송 멘트 소리에 다 묻힙니다.




크기변환_IMG_3777.JPG

오디오 믹서 세팅 입니다.


사용하는 채널은


1채널 , 9/10채널 입니다. 

(채널은 자유지만 PC연결은 스테레오로 연결해야 합니다.)


숫자가 단일로 써있는건 모노 채널이고


두개씩 묶여 있는건 스테레오 채널 입니다.



크기변환_IMG_3778.JPG

1번은 마이크를 연결 했고,


9/10 은 스테레오 입니다. A PC가 연결 되어 있습니다.





크기변환_IMG_3779.JPG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콘솔 GROUP 1-2 아웃에 연결 되어 있고,


STEREO (메인) 아웃엔 스피커가 연결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좀 복잡하지만...


일단 간단하게...


STEREO 라고 써있는게 이 믹서의 메인 아웃 입니다.


현재 메인 아웃은 스피커와 연결 되어 있습니다.


(제 구성은 PC->사운드카드->믹서->앰프->스피커)


그리고 스테레오(메인) 아웃 옆에 GROUP 1-2, 3-4 라고 그룹이 있죠?


이걸 써있는 그대로 그룹이라고 합니다.


녹음 또는 공연을 할때 피아노나, 드럼, 코러스처럼 마이크가 여러대 들어갈때


한 그룹씩 묶어서 사용하거나, 이펙터를 그룹 페이더로 묶어서 사용하거나... 등등에 쓰입니다.



그리고 !


BUS 아웃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버스도 말 그대로 버스를 태워준다~ 해서 버스 입니다.


여기서는 사람이 아니라 소리를 버스 태워주는거겠죠?



각 채널 페이더를 보시면 1-2 , 3-4 이렇게 있습니다.


이 버튼이 각 버스(그룹) 페이더와 연결이 됩니다.



신호가 들어오는 채널의 1-2 버튼을 눌러주면


그룹 1-2 로 소리가 들어갑니다 !


숫자가 1-2 이렇게 나뉘어져 있는 이유는 스테레오로 쓸 수 있게 보통 이렇게 묶여 있습니다.




만약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헤드폰을 사용하신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ST(메인) 아웃 단자에 연결 하시면 됩니다.



또!


이 제품의 장점은 아이폰을 콘솔과 연결시켜서


스테레오 채널로 음악을 재생 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폰과 연결된 채널 역시


버스를 태워주면 방송에서도 간편하게 음악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페이드를 내리면서


자연스럽게 음악을 종료할수도 있구요.


DUCKER 이라해서 말을 할때 노래 소리가 저절로 작아지는 기능이 있습니다.


전 아직 안써본 기능이지만... 음악 방송도 같이 하시는 분께서는 유용하게 쓰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기본 멀티이펙터 내장 믹서라서 내 목소리에 리버브, 딜레이 등을 걸 수도 있습니다.



크기변환_IMG_3774.JPG


믹서 그룹1-2 채널에서 나온 소리(OUT) 는 이렇게


오디오 인터페이스 라인 (IN) 으로 들어갑니다. (디스플레이처럼 사운드의 흐름 역시 IN - OUT)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IN 만 받고 


따로 출력은 하지 않았습니다.



크기변환_IMG_3773.JPG

IN PUT 소스는 


라인 게인으로 설정 했습니다.


이렇게 설정 한 이유는 믹서의 마이크 프리가 생각보다 출력이 약합니다.


이 경우 마이크 프리앰프를 따로 구매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연결을 하면...


크기변환_IMG_3772.JPG

게인1 과 게인2 를 볼륨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각각 좌우 볼륨 입니다.


제일 오른쪽 마스터 레벨은 헤드폰으로 모니터링을 할때 볼륨 입니다.




저는 총 3개의 헤드폰으로 소리를 모니터링 합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 헤드폰


오디오 믹서 - 헤드폰


휴대폰이나 모니터링 PC로 방송 시청 - 헤드폰



크기변환_IMG_3776.JPG

디스플레이는 


4x2 매트릭스로 연결을 했습니다.


IN 4개


OUT 2개 입니다.



아웃1 은 메인(A) 모니터와 연결


아웃2 는 캡쳐보드와 연결 했습니다.



IN 1번은 A PC 와 연결 했습니다.




-----------------------------------------------------------------



만약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으실거면 게임용 PC 디스플레이 설정을


1 (1).jpg

이렇게 디스플레이 복제로 설정 하셔야 합니다.



------------------------------------------------------------------------------



화면 송출로는 다음팟 플레이어를 사용합니다.



1.jpg

HDMI 로 연결을 했으니 HDMI 로 설정을 하고...




2.jpg

오디오는 따로 빼놨으니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라인으로 설정 해줍니다.




3.jpg


와 마이크의 소리를 콘솔을 통해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소리를 받는거니까


녹음 탭에서 라인을 기본장치로 해줍니다.





5.jpg


윈도우 스테레오 믹스는 따로 설정 할 필요 없습니다.


스파르탄 큐 장점이 자체 프로그램으로 시퀀스(큐베이스,프로툴즈,로직 등) 프로그램 없이


소리를 띄울 수 있습니다.


WDM PLAYBACK CAPTURE 는 스테레오 믹스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윈도우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캡쳐하는 기능 입니다.




게임, 마이크 볼륨은 전부 콘솔에서 조절 합니다.



4.jpg


방송 제어판에서 오디오 장치를


[라인] 으로 설정합니다.




해상도를 더 높게 안잡은 이유는


720p 의 적정 비트레이트는 3000k 이상 입니다.


2000k 로... 저것보다 더 높게 잡으면 깍두기가 난무 합니다.


플레이어도 구형인점을 생각하면...ㅎㅎㅎㅎ




여튼!


다음팟 영상 녹화도 문제 없이 진행 가능 합니다.





크기변환_IMG_3080.jpg

B PC 입니다. (송출용)


i7 - 4770k (4.3 오버)

R9 라데온 퓨리X

아벡시아 8GB 램





말이 송출용이지...원래는 그냥 세컨입니다. 조만간 방송용 PC를 아예 한대 만들어야 겠어요.



크기변환_IMG_2578.jpg


A PC 입니다. (게임용)


i7 - 5960x (4.5 오버)

GTX 타이탄X x 2 SLI

DDR4 32GB 램






IMG.jpg


크기변환_IMG_2633.jpg


크기변환_IMG_2950.jpg


(아프리카로는 저 다음팟 플레이어 창을 캡쳐하게 됩니다.

다음팟 방송도 동일 합니다.)



전체적인 모습 입니다.








본문 내용으로 세팅한 뒤 게임을 녹화한 영상 입니다.


60프레임으로 영상 음성 싱크 어긋나는거 없이 녹화가 잘 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OBS 나 Xsplit 는 안써봐서 잘 모르겠고...


저처럼 하드웨어를 사용할 예정이시라면 제가 아는 선에서 


질문 답변 해드리겠습니다.

출처 내 뇌. 내 지갑. 내 시간

http://tuiom012.tistory.com/217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