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시민의 교양 - 채사장
게시물ID : readers_2531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뤠이첼
추천 : 2
조회수 : 752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6/05/29 23:22:57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권 / 2권 시리즈를 읽으면서 너무 만족하여,
최근에 나온 책인 '시민의 교양' 책을 읽었는데요.

지대넓얕 과는 다르게, 이 책에서는 우리 한국 사회에 초점을 맞추어서 세금 / 국가 / 자유 / 직업 / 교육 / 정의 / 미래에 대해서 얘기해주는데,
우리 사회의 병리적인 현상들이 왜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이해시켜줘서 좋은 것 같아요. 시각도 좀 더 객관화 되는 것 같고요. 


책 속에서 아래의 부분이 와닿에서 적어 봅니다.

*
모든 기준은 세계를 분석하기 위한 타당한 과점이다.
이렇게 다양한 기준들이 사회 안에서 공존하고 조율될 때, 그 사회는 열려 있는 사회가 된다.
하나의 관점만을 정상적인 관점으로 강요하거나, 자신과 다른 관점을 제거하려는 행위만큼 사회를 병들게 하는 행위는 없다.

(오유 댓글에서 종종 보이는 콜로세움들이 생각났어요......;-;)


*
"지금처럼 계속 걸어가야 합니다.
우리가 해야 하는 건 두 가지입니다. 나를 바꾸는 것과 세상을 바꾸는 것.

우선 나를 바꿔야 합니다. 나의 일에 열정을 쏟아 붓고, 사람들과 경쟁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을 돌보면서 그렇게 건강하게 나아가야 합니다.
다음으로 세상을 바꿔야 합니다. 하나의 경제체제를 선택하고, 이를 반영하는 하나의 정당을 지지해야 합니다. 나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정당을. 
신문을 접고, 티브이를 끄고, 타인의 말에 휩쓸리지 말고, 나의 현실을 직시한 후에 정말 나에게 이익이 되는 세계가 무엇인지 현명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세계를 복잡하게 이해하려다 지치지 말고, 세계를 관통하는 단순함에 집중해야 합니다.

내일의 세계를 시장의 자유로 나아가게 할 것인가, 정부의 개입으로 나아가게 할 것인가.
시민 각자가 현명하게 나의 이익에 따라 선택을 할 때, 그 선택은 사회 전체를 살 만한 사회로 만들 것입니다. 그렇게 해야 하고, 그렇게 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시민의 세상의 주인이고, 역사의 끝이며, 그 자체로 자유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결정의 시간이다.
당신에게 묻는다.
우리 사회는 어떤 내일을 선택해야 하는가?
출처 시민의 교양 - 채사장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6-05-30 01:11:33추천 2
엄격한 잣대보다 유쾌한 지식이 왜 효율적인지 잘 보여주는 작가라 생각해요
얕은 지식은 솔직히 전공 관점으로 보면 반박할 거리가 너무 많아서 부분부분 가볍게 읽었는데
이번 새 책은 작가가 원하는 깊이가 고스란히 전해질지 기대되네요
신간엔 관심 끄고 있던 터라 이런 책이 있었는지도 몰랐어요
댓글 0개 ▲
2016-05-30 01:57:21추천 3
팟캐스트를 들어 보시면 작가가 대충 어떤 사람인지 아실수 있습니다.
사고가 좀 있었고 그후
너무 불안해서 자기가 알고 있는 것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는데 그게 지대넓얕 1,2권입니다.  책은 한 일주일만에 금방만들었다고.
그런주제가 잘 팔릴줄은 몰랐고 친구들 지인 나눠 주려고 생각했다네요.
유머러스 하고 정리의 달인이기도 하고..
생각하는 방식이나 태도에 배울게 많은 사람인듯 합니다.
댓글 0개 ▲
2016-05-30 14:48:11추천 0
와우 제가 몰랐던 부분들에 대해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맛에 책게에 책 읽고 독후감 올리는군요.
댓글 0개 ▲
2016-06-01 17:21:05추천 2
지대넓얕1,2권과 시민의 교양 읽었고, 팟캐스트는 1화부터 지금까지 애청자 입니다.
채사장님의 팟캐스트와 책들 내용이 분명 깊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전공분야가 아니더라도 다방면에 걸쳐서 이런것들이 있다라고 알려주는 점이 참 매력적입니다. 그리고 예전에 알고 있었지만 너무 오래되서 생각도 못하고 있던 지식들을 복습하는데도 유용합니다. 어쩌면 지대넓얕 팟캐스트와 책들은 완벽하진 않지만 일상 지식들을 쌓아가는 베이스 캠프로도 활용 할 수 있을거 같아요. 일반인들도 여러가지 다양한 지식들을 맛볼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지식에 대중화에 앞장서 있는 느낌도 들구요. 시민의 교양도 복습하고 생각하면서 정말 신나게 읽었네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