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누카맛 항공기 프로젝트 - Tu-119
게시물ID : military2_31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중동사람
추천 : 11
조회수 : 1576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16/09/20 23:03:21
119_c.jpg
119_3.gif
tu119-i.jpg

 1955년 8월 12일. 소련 각료회의는 원자로와 원자력 에너지를 이용한 항공기 개발을 위한 명령과 동시에 관련 법령을 정비함에 따라 비행기 엔진 개발국인 NPO Saturn[Сатурн (НПО)], 쿠조네초프 엔진 설계국[OKB-276, СНТК им. Н. Д. Кузнецова]이 주축으로 원자로 추진 엔진 설계 및 연구, 디자인이 시작됬습니다. 항공기 원자로는 아나톨리 알렉산드로프 감독하에 쿠르차토프 연구소에서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투폴레프 역시 원자로가 탑재 가능한 항공기 설계 임무가 맡겨졌고 이 대형 프로젝트에 소련 정부는 약 20-30년 기간을 둔 장기 프로젝트로 염두를 둬 장기적으로 프로젝트가 긍정적으로 진행되면 모든 항공기에 원자로 탑재 엔진으로 교체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56년 3월 28일 투폴레프는 실험용 원자로 탑재 항공기는 기존에 존재한 전략 폭격기인 Tu-95M을 바탕으로 설계하기로 결정하였고, 실험용 항공기에서 원자로에 대한 환경적 및 승무원에게 받는 영향과 기기및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새롭게 재탄생되는 실험용 비행기 설계작업에서 가장 중점으로 둔 점은 바로 승무원들의 안전으로 비행중에 승무원들이 허용수치 이상의 방사능의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및 격리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에 따라 방사능 차폐 성능 및 승무원에 건강상태를 체크를 중심적으로 연구할 실험용 항공기 Tu-119는 방사능 차폐에 모든 심혈을 기울었습니다. 


 이 항공기 수석 디자이너 И.Ф. Незваль 는 원자로와 그와 관련된 시스템을 동체 중심부에 모조리 집중해서 배치했고 거기서 오는 방사능으로 부터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때까지 항공기에 사용되지 않았던 재료 까지 사용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과 핵물리학자와 화학자를 동원하여 다양한 비금속 재료를 지상에 설치된 반응로에 테스트하여 승무원 보호를 임무를 수행할수 있는 물질을 찾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도록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58년도 초 실험장비와 원자로 그리고 Tu-95LAL( Tu-119)이 세미팔라틴스크 실험기지로 이동하여 지상에서 원자로가 가동하는 테스트 준비를 시작하였습니다. 원자로는 기체에 설치되어 실제 가동준비를 시작하였고 1959년에 필요한 출력에 도달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지상에서 가동을 통해 실제 파일럿에게 필요한 정보나 원자로 운영대한 상당한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확신이 든 팀은 추가적으로 기존의 NK-12M 엔진대신 열교환기가 장착된 2기에 NK-14A 엔진을 교체하여 및 보완점을 수정해왔고 1961년 5월 첫 비행에 성공하였습니다. 그리고 8월까지 총 34번의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일단 대체로 원자로 냉각에 대해서는 비행중에 낮은 온도 덕분에 큰 문제가 없었으며 승무원 상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었는데 Tu-119는 앞부분에 큰 가압 캡슐에 승무원을 넣어 방사능으로 부터 승무원을 보호하도록 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실시간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는 모니터링 센서가 여러개 설치되어있고, 추가적인 방호를 위해서 승무원 비행석 뒷자리에는 납과 기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큼지막한 코팅막이 존재했습니다. 이 캡슐은 실험요원까지 9명이 탑승했기 때문에 매우 거대했습니다. 


 70년대 초에는 본격적인 비행테스트 및  Tu-119를 바탕으로 70년대 후반에 대잠수함용 대잠 초계기로 사용하기 위해서 NK-14A 엔진을 추가적으로 2기 더 교체하여 총 4기가 설치되도록 하였고 여러 제한적인 비행 테스트를 시행하였습니다. 145톤이 넘는 이 항공기는 원자로만 45톤이였지만 원자로의 힘 덕분인지 순항속도가 800Km를 돌파하였고 항속거리고 5,000Km를 넘겼습니다. 동체 중심부는 금속으로 전부 교체하였고 추가 냉각을 위한 대형 공시기 순항기 2기와 이를 조절하는 특별한 콘솔이 조종사석에 추가됬습니다. 덕분인지 항공기 자체는 매우 안정적으로 별다른 사고 없었고 48시간 연속 비행에서도 승무원들 방사능 수치는 안정적이였습니다. 


 동시기 미국도 역시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중이였으나 이 둘 모두 같은 운명을 맞이 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안정적이니 격추나 추락시 이러지는 끔직한 재앙이나 근본적으로 항공기 자체에 위험성은 묵과할 수 없었고 소련 정부는 기존 원자력 추진 항공기보다는 ICBM이나 원자력 추진 잠수함에 더더욱 관심을 기울였고 자금 지원은 중단되었습니다. 결국 전체 프로젝트 역시 항공기 한대만 남긴채 중단되었습니다. 


- 참고자료 - 


- Авиация и Космонавтика. Владимир Ригмант. Рождение Ту-95 Крылья Родины. 

- Николай Якубович. Межконтинентальный бомбардировщик: Еще раз о Ту-95 и его модификациях Роман Астахов. 

- Русская Сила. Стратегический бомбардировщик и ракетоносец Ту-95 

- Владимир Ригмант. Под знаками "АНТ" и "ТУ"

- Gordon, Yefim and Davison, Peter. Tupolev Tu-95 Bear. — North Branch, MN, USA: Specialty Press, 2006. — 104 p. — (WarbirdTech Series. Vol. 43). — ISBN 1-58007-102-3.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