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나쁜 사람' 노태강의 눈물…"더럽혀진 문체부 하루빨리 정상화되길"
게시물ID : sisa_8362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상식과정의
추천 : 2
조회수 : 409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7/01/18 08:02:41

어느 날 찾아온 후배 "사표를 내셔야할 것 같습니다."

국립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으로 일하던 지난해 4월 문체부의 한 과장급 후배가 던진 말이었다고 한다. 노 전 국장은 "그렇게 내가 꼴보기 싫으면

안보이는 곳으로 인사를 내 달라. 아직 할 일이 남아있다고 항변했지만 돌아온 답은 '안 될 것 같다. 장관(김종덕)도 어디서 전화를 받은 모양'이라는

내용이었다"고 기억했다. 84년 3월 시작한 공무원 생활의 마지막 장면이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대해 노 전 국장은 "예술혼을 불태우기 위해 가난하게 사는 것을 훈장처럼 생각하는 문화예술인들을 돈 앞에 줄세우려 하는

것은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비열하고 치졸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지난해 3월 김영나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박근혜 대통령이 관심을 표명한 프랑스장식미술전 개최를 반대하다 청와대 압박으로 전격 경질된 사건과

관련해 노 전 국장은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실에 700만~800만원 짜리 원피스 등 프랑스 명품을 전시하라고 했다. 전시관 앞에서 판촉 행사까지

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나친 상업성에 박물관 직원들이 나자빠졌다. ‘병인양요’에 빗대 ‘병신양요’라고들 했다”라며 “김 관장이 끝까지 반대

하다가 잘렸다”고 말했다. 한-프랑스 교류 130주년을 기념해 프랑스와 공동으로 준비하던 이 전시에 노 전 국장은 김영나 당시 국립중앙박물관장과

함께 반대 의견을 냈다. 노 전 국장은 "까르띠에 등 명품브랜드 제품을 전시해달라는 프랑스의 요구가 부적절하다 판단했다. 특정 사치품을 전시하는

것은 국립박물관의 성격과도 맞지 않고 자칫 국립박물관이 명품 브랜드 홍보관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었다”고 말했다.자신의 권고 사직이 대통령의

하명이란 건 나중에 알게 됐다고 한다. 지난해 3월 전시회 무산 경위를 보고 받은 박 대통령은 노 전 국장을 콕 찝어 "그 사람 아직도 (문체부에) 있어

요?"라며 사실상의 경질 지시를 내렸다는 게 복수의 문체부 관계자들의 증언이다.

조사 직후 흘린 눈물에 대해 노 전 국장은 "가족들 생각에 울컥해서"라고 설명했다.

그는 "집사람은 남편이 공무원이라는 자부심 하나로 살아온 사람이다. 체육국장직에서 경질될 때 가장 큰 고민은 초등학교, 중학교에 다니는

두 딸에게 어떻게 설명해주느냐였다. 아빠는 공무원인데, 아빠보다 높은 사람하고 의견이 조금 다른 상황이다. 생각을 굽힐 수 없어 다른 곳으로

가는거지 절대 잘못한 일은 없다. 아빠는 너희들 앞에서 언제나 당당하다’고 말해줬다"고 했다...

출처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5&aid=0002677050&date=20170118&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12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8&aid=0002350193&date=20170118&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9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