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유진 당원’과 같은 ‘대중성’은 자신들을 지지해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들은 어디까지나 ‘지갑’의 영역에 머물러야 하는 ‘공부가 덜 된’ 자들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그들이 노린 것은 ‘활동가 당원’으로, 이 경우엔 각 부문위원회의 인사들이었다.
노동당에서 탈당한 PD 일파와 정의당의 NL 활동가들이 하나의 가치관, ‘여성주의’를 위해 뭉친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촌극이 연출된 가운데 ‘노유진 당원’은 점점 힘싸움에서 밀려나기 시작한다. 지도부와 대의기구 차원의 대대적인 ‘여성주의 강화’ 노선이 채택됐기 때문이다.
요약하자면, 기존 운동권 정파들은 각자의 이념도 전부 퇴색돼 단순한 당내 정파로 전락하고 말았으며 정의당의 새로 들어오는 ‘대중 당원’들과의 경쟁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정의당 메갈리아 사태’를 기점으로 ‘여성주의’ 담론을 통한 ‘진보 활동가’ 중심 세력을 구축해 ‘대중 당원’들을 쫓아내는 선택을 취했단 점이다.
이 과정은 그들의 정파 이익을 위한 일이었으며, 결국 필자가 밝힌 ‘대한민국의 적폐’, 특정 세력의 공적 영역 사유화가 진보정당에도 끝없이 반복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처 | http://realnews.co.kr/archives/38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