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인민해방군 지상군 대대적인 개편내용 (현재까지)
게시물ID : humorbest_145611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중동사람
추천 : 21
조회수 : 4415회
댓글수 : 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7/06/19 17:48:56
원본글 작성시간 : 2017/06/18 20:39:35

 인민해방군(PLA) 지상군의 작전 및 전술 부대는 대대적인 개혁의 시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2017년 4월 시진핑 국가주석의 발언으로 구체화되고 공식화됬습니다. 이미 2015년 말 부터 2016년, 2017년까지 주요 개혁이 시작되고 진행중이며 중앙 군사위원회(CMC), 사령부, 군구(이제는 전구)는 새롭게 재조직되어 새롭게 인원을 재배치하고 수많은(정확한 수는 알수없음) 현역인원들이 전역했습니다. 이미 진행중인 30만명 인원 감축중에 보통 대폭 감축은 사령부 단위로 진행되며 그보다 낮은 집단군/군단단위 병력은 아예 해체되거나 재무장, 재구성으로 감축되고 있습니다. 

1497714650.jpg

 2020년까지 진행중인 군개혁이 완료되면 인민해방군 지상군은 2백만명의 현역 구성원을 확보하게 됩니다. 2015년부터 진행된 개혁은 인민해방군이 창설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이후 이루어진 50년대 인민해방군 개편이후 인민해방군에 가장 중요하고 거대한 변화이지만 2020년에 목표치는 2006년에 처음발표한 인민해방군의 3단계 개발 전략에 중간 목표에 불과 합니다. 2008년에 수정된 최종목표에 따라 3단계 개발 전략의 마지막 목표는 21세기 중반까지 국방 및 군대 근대화 목표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중앙인민정부) 신문판공실(SCIO, 国务院新闻办公室) 공표 - 2008년의 중국 국방 / 2009년 1월 참고 : http://eng.mod.gov.cn/publications/2017-04/11/content_4778231.htm (2006년까지 최종 목표는 정보화된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젹혀있었으나 2년동안 인민해방군 지도부는 2049년에 전쟁이 본질적으로 크게 바뀜과 동시에 현재 인민해방군이 정의한 정보화된 전쟁으로 흘러갈지 예측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정확히 인민해방군이 싸워야할 전쟁의 정의를 공백으로 남겨둔채 작성했습니다. 

 이에따라 장기적인 인민해방군의 구조나 능력에 대한 세세한 조정은 21세기 중반까지 향후 30년동안 기술과 능력의 발전 중국 국내 상호아과 국제 상황이 바뀜에 따라 유연하게 바뀔 수 있음을 뜻합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인민해방군의 개혁은 중국의 핵심 안보 요구를 수호하고 방어할 수 있는 강력한 군대 건설, 정보화되고 하이브리드화된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 확보, 테러 방지, 중국 내부 안정 유지, 재난 구호, 국제 평화 유지 및 인도주의 구호 활동과 같은 물리적 전쟁이외에 군사작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충족하는지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중앙인민정부) 신문판공실(SCIO, 国务院新闻办公室) 공표 - 중국의 군사전략/ 2015년 5월 참고 : http://www.china.org.cn/china/2015-05/26/content_35661433.htm


"84 집단군"단위 재조정 발표

 2017년 4월, 시진핑 국가주석은 인민해방군은 84개의 집단군(군단급) 단위로 조정하고 새로 설립할거라고 이야기하면서 일련의 새로운 인민해방군 지휘 구성 단위에 대한 언급을 처음으로 공식석상에서 밝혔습니다. 그러나 자세한 세부 내용을 밝히지 않았으며 새 "집단군 단위"에 대해 세부 내용도 생략했습니다. 그 84개 집단군 단위에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그리고 새롭게 창설된 전략 지원군과 합동 군수 지원군이 어떻게 나눠져서 구성되는지도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전의 타국 분석가들은 이 집단군(군단급)에 18개의 기존 욱군 집단군과 톈진, 상하이, 충칭 경비구역(警备区), 베이징 경비구역과 티베트(西藏军区)와 신장 군구(新疆军区)[*일반적인 대군구가 아님]을 제외하고 대부분에 성군구/성급군구(省军区)가 포함된다고 생각했고, 해군은 3개의 함대가 위린, 푸젠, 뤼순 그리고 2개에 잠수함 기지를 포함하여 해군 항공대 사령부등 여러개 사령부를 보유하고 있는 구조로 생각했고, 공군은 제 15 공수군, 상하이, 난징, 우루무치, 다롄 공군기지를 포함하여 여러 지역 사령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로켓군은 6개의 미사일 사일로(51-56 미사일 사일로)를 포함하여 TEL을 보유한 발사 여단과 공병 사령부가 포함되어 있을것이며* 새로운 전략지원군은 기존 중앙군사위원회 4대 부서(현재 연함참모부/장비발전부/정치공작부/후근보장부)의 통제하에 있던 우주 발사체 발사/ 우주 물체 탐지 및 추적/ 사이버 및 정보 작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깁니다. 

* 미 국방부, 국방 정보국(DIA), Directory of PRC Military Personalities, Washington DC, 2016, pp. xxxv, xxxvi, and 177.


1497533648.jpg

  시진핑 발표 이후 홍콩 기반의 Ming Pao 신문에서는 이 새로운 84개 집단군 단위를 육군은 15개 집단군(13개의 집단군과 2개의 실험 기지 )과 28개 성군구가 될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해군은 10개에 사령부로 구성되어 이곳에 3개의 해군항공대 사령부, 5개의 해군기지, 실험 기지와 한개에 새로운 해병대 사령부가 될 것이며 공군은 12개에 사령부를 가지면 10개에 공군기지와 1개의 실험 기지 그리고 15공수군이 포함될 것이며 로켓군은 7개의 발사 여단과 2개의 추가적인 기지 마지막으로 전략지원군은 7개의 우주관련 기지와 3개의 사이버 및 정부 기지가 있을 거라고 예측했습니다. 현재까지 중국 공식 언론들은 시주석의 발표에 대한 세부적 내용을 새로운 무기나 시스템 개발과 다르게 거의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발표까지는 시간이 걸릴것으로 예상됩니다. 약 몇개월남짓한 기간동안 84개의 새집단군 단위로 개편되면서 공식 인민헤방군 매체는 2013년부터 관행처럼 부대가 속해있는 집단군을 자주 부르는것과 달리 그저 어느 전구 소속 혹은 전구 소속 무슨 부대 수준으로 언급하기 시작했습니다. 

전구군 사령부

 기존 7개 군구가 폐지되고 5개 새로운 합동 전구사령부(TC) 구성이 완료되면서 새로운 조직이 창설되고 있습니다. 각 전구마다 전구 육군사령부와 함께 전구 해군과 전구 공군 사령부가 새롭게 창설됬습니다. 아직까지 전구 로켓군 사령부는 창설되지 않았습니다. 이들 사령부는 기존의 육군 집단군/ 해군 3개 함대*/ 공군 군구가 했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중입니다. 중앙군사위원회가 전반적인 행정을 담당하는 원칙하에 전구는 전투에 집중하게 되며 전구군 사령부는 구성에 집중하게 됩니다. 전구군 사령부는 베이징에 본부를 둔 합동 전구 지역 사령부와 합동 전구군 지역 사령부 2개의 공동 사령부 지휘하에 들어가 있습니다. 

* 인민해방군 3개 함대 즉 동해,북해,남해함대는 각 해당되는 전구의 전구 해군 사령부로서 기능을 유지합니다. 



 전구군 사령부는 전구안에 직접 속해있는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전구 담당 구역안에 위치한 작전 부대에 직접적으로 명령을 내릴 권리와 전구와 작전 부대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식으로 작전부대는 전구군 사령부 하나로 이루워진 명령쳬게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구군 사령부는 전구와 군 사령부에 명령을 전달할 책임과 동시에 좀 더 상위 사령부에 각 부대에 상황과 작전 정보를 전달할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옛 군구 시스템과 비슷하게 전구 해군과 공군 사령부는 이러한 두개로 분산되어 공동으로 지휘하는 사령부 통제가 익숙하지만 국가단위 군 사령부에 보고할 필요없이 각 전구 사령부에만 보고하면 되는 육군은 이러한 새로운 구조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이 새로운 구조상 모든 조직은 과거와 달리 서로 상호작용하고 합동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이 새로운 구조가 익숙해지고 교육받을때까지 합동 전구 사령부, 전구 육군 사령부, 육군 사령부간의 시스템이 완성되는데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전구 육군 사령부는 형성초기에 분명치 않은 책임 범위에 대한 혼란을 감당해야할 겁니다.

육군 

 1980년대 중반 인력 감축과 군 구조 개혁에 따라 인민해방군 육군은 24개 집단군 규모로 새롭게 재조직됬습니다. 이 제병합동화된 구조를 가진 집단군은 포병, 방공, 공병, 통신 등 여러 조직의 지원을 받은 수개의 보병[* 기계화.차량화 포함], 기갑 사단이 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각 군구에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1997년 군 감축전까지 인민해방군 육군은 100여개가 넘는 보병[* 기계화.차량화 포함], 기갑 사단으로 구성된 거대한 육군 기동 전투 조직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오직 20여개의 보병과 기갑 여단이 존재했고 육군항공대나 특수전 부대는 겨우 7개밖에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 2003년이 끝낼쯤에는 집단군 사령부 갯수는 18개로 감축되었고 2017년까지 이를 유지하였습니다. 이 감축 과정에서 수많은 사단은 제거되거나 여단급으로 재편성되었고 (초기에는 한개 사단을 1개 여단급으로 최근에는 1개사단당 2개 여단급으로), 14개 사단은 인민무장경찰(무경) 조직으로 옮겨갔습니다. 하나는 해군으로 이동하여 인민해방군 해군에 두번째 해군 여단으로 재조직되었습니다. 몇몇은 인민무경이나 예비역으로 옮겨갔습니다. 해산된 집단군하에 있던 병력중 일부는 다른 집단군 산하에서 새롭게 재창설되기도 하였습니다. **



 이러한 감축 결과, 18개 집단군중 두개(40,44 집단군)만이 보병[* 기계화.차량화 포함]과 기갑부대 비중이 비슷하게 변했습니다. 다른 집단군들은 베이징 경비구역(베이징 주둔군) 사령부나 신장 군구, 티베트 군구{* 일반적인 대군구가 아님] 직속 독립 부대와 비슷하게 각각 특색에 따라 새롭게 구성됬습니다. 2017년 초 기준으로 독립부대와 함께 집단군에 활당 된 작전 부대는 숫자는 21개 사단[* 20개의 기계화/차량화 완료된 보병사단과 1개의 기갑사단]과 65개 여단[* 48개 보병(기계화와 차량화 완료)여단과 17개의 기갑여단], 그리고 12개의 육군항공대 [7개의 여단급과 5개의 연대급], 11개의 특수전 부대[9개 여단급과 2개의 연대급 그리고 일부 사단이나 여단사령부는 사령부 직속으로 특수전 부대와 비슷한 작전을 수행하는 대대급 이하 특수전 부대를 가지고 있음)입니다.*** 현재 인민해방군 보병사단과 여단의 절반은 전부 기계화가 완료된것으로 간주되며(궤도, 차량형 IFV 포함) 나머지들도 4~5개의 산악 여단도 포함하여 모두 차량화가 완료된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6개의 집단군과 신강, 티베트 군구에서만 육군항공대와 특수전 부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 20여년동안 인민해방군 사단의 감축수는 그 기간동안 늘어난 인민해방군 육군항공대 여단이나 특수전 여단 수와 비슷하며 그만큼 엄청난 변화입니다.


1497525712.jpg

 인민해방군 국방부 대변인은 2017년 4월 말에 18개 집단군을 13개 집단군 체제로 감축하고 번호 역시 71번부터 83번까지 부여하도록 하였습니다. **** 이는 1927년 인민해방군 창군이후로 가장 거대한 변화중 하나로 1948년 11월 1일에 공표된 전군조직과 부대 번호 통일에 의한 규정에서 지정되었던 집단군 번호는 70을 넘길 수 없다는 규정이 70여년만에 사라지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과거의 명칭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종의 새술은 새부대에 성격이 크며 해체된 집단군에서 부대원들은 퇴역하거나 나머지 집단군에 재배치될 것입니다. 홍콩 신문에서 나온 정보상 과거의 집단군과 새 집단군 번호는 이렇게 구성될것으로 보이며 새 집단군의 구성이나 위치, 조직은 공개된게 그리 많지는 않지만 이 구조 자체는 거의 확실한것으로 보입니다. ***** 오직 넘버원 타이완과 접한 동부 전구만이 단 한개의 집단군도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 최근 대변인은 부대에 대해 군단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과거에는 제병합동화된 군단이라는 표현이 쓰였습니다. 

** “The PLA Army/Ground Forces,” in The PLA as Organization v2.0, 페이지 263, Dennis J. Blasko / 모든 부대가 이런거는 아닙니다. 편제와 장비를 모두 갖추지 않은 부대도 있기 때문에 상태를 3단계로 구분하여 일부 부대는 국경 경비나 해안 방어부대로 이동시켰습니다.

*** 사단 편제도 기존 쏘오련식 4개의 기동연대에서 3개의 기동연대로 교체되었음.

**** http://eng.chinamil.com.cn/view/2017-04/28/content_7582014.htm

***** http://www.mingpaocanada.com/tor/htm/News/20170411/tcab1_r.htm


집단군.png

군 개혁전에 남아있던 5개의 집단군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가 존재했습니다.


14 집단군 : 31 기계화 보병 여단, 42 차량화 보병 여단, 32 산악 보병 여단, 18 기갑 여단 

47 집단군 : 139 기계화 보병 여단, 55, 56 차량화 보병 여단, 9 기갑 여단 

40 집단군 : 118 기계화 보병 여단, 119, 191 차량화 보병 여단, 5 기갑 여단

20 집단군 : 58, 60 기계화 보병 여단, 13 기갑 여단

27 집단군 : 188, 235 기계화 보병 여단, 80, 82 차량화 보병 여단, 7 기갑 여단


 전체적으로 약 16개의 보병 여단과 5개의 기갑 여단과 추가적으로 각 집단군의 포병 여단, 방공 여단, 공병, 통신, 화학전 방호, 지원 및 보급 부대도 이번 감축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부대중 일부는 완전히 해체 될 수 있습니다. (오래되어 교체가 필요한 장비나 물자를 많이 가지고 있는 부대일 가능성이 큼) 다른 부대와 그들의 장비들은 다른 집단군에 새롭게 재배치될 가능성이 크고 일부는 예비역등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원들 역시 적절한 과정을 통해 많이 있는 인원은 퇴역시키고 부족한 인원들은 다른 집단군에 재배치될것입니다. 


1497605437.jpg

 이번 감축에 주목해야할 점은 해체된 집단군은 육군항공대나 특수전부대가 없는 부대이며 해체된 집단군 부대 구성을 볼때 인민해방군 육군은 집단군 조직을 서로 비슷하게 만들려는 목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경우에는 남은 집단군에 사단을 해체하거나 나눠서 다른 집단군에 나눠서 조직을 일체화해야합니다. 결국에는 인민해방군 육군에 모든 집단군은 모두 육군항공대와 특수전 여단과 추가적인 지원 부대를 받을것으로 보입니다. 

전구

 기존의 군구구조하에는 성군구[* 省军区, 각 성마다 1개씩 있는 군구 - 전시시 성 방어와 예비군 소집, 징집, 물류지원등 2선급 임무 수행]/분구[* 分区/ 성군구 아래단계]예비역/민병은 각 군구 사령부와 군구[* 대군구 아님]/경비구역[* 警备区)] 사령부와 인민민병[* PAFD, PLAM/ 中国民兵] 사령 지휘하에 있었습니다. 군구 사령부는 자기 지역에 예비역 부대에 명령을 내렸고 각 군구와 경비구역 사령부는 국경 및 해안 방어 부대를 지휘했고 인민민병 사령부는 민병 부대를 지휘했습니다. 다만 중앙군사위원회[* CMC] 조직 개혁에 따라 중앙군사위원회의 동원 부서는 성군구 지휘 및 관리임무*가 새롭게 생겼고 다른 성군구보다 조직면에서 한단계 더 상위였던 베이징 경비구역(주둔군)과 티베트, 신장 군구는 국가단위로 육군 본부의 관리하에 놓였습니다. ** 다만 공식적인 인민해방군 자료상으로는 관리하에도 해당 지역 전구 사령부에 먼저 보고하고 베이징의 육군 본부에 보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497630182.jpg

 최근의 군구 사령부는 이런 변화에 따라 더이상 육군 출신만 맡지 않고 있습니다. 공군부대 출신이 허난성군구 지휘를 맡은것을 보도가 존재하며*** 이와 함께 군구/성군구/경비구역이 맡고 있던 국경 및 해안 방어 유닛에 대한 지휘 책임역시 점차 전구 사령부로 변해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헤이룽장성의 국경 수비대의 지휘권은 육군 사령부로 이전중이며 산터우시에 해안방어부대의 지휘권 역시 육군 사령부로 이동하였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베이징 육군 본부와 각 전구의 사령부 내에 국경 및 해안 경비 부서나 국이 새롭게 생겨났고 점차 지역마다 나눠져 있는 국경 및 해안 방어 부대에 통합된 명령을 내릴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보고로는 광둥성 예비역 부대가 전구 육군 사령부로 명령권이 이동하였다는 뉴스가 있으나 전구 사령부나 베이징 육군 본부에 예비역을 관리하고 지휘하기 위한 동원 조직이나 부대 조직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군구 사령부가 맡는 책임범위가 크게 줄어들고 대부분 전구로 이동함에 따라 기존의 군구 본부의 구조 변화가 예상되며 규모역시 현저히 감소할것입니다. 이제 군구는 지휘 책임보다는 전구 사령부에 현장 예비역이나 민병, 방어부대 지휘와 감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중간 조직으로서 위상이 더 커질것으로 보입니다. 

http://www.81.cn/zgyby/2016-02/04/content_6899576.htm

** http://english.chinamil.com.cn/news-channels/china-military-news/2016-01/12/content_6854444.htm

*** http://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1660971

**** http://pic.gmw.cn/channelplay/12052/5300867/0/0.html


해병대

 현재 조직 개혁 이전에는 해군은 남해 함대에서만 6,000여명 규모로 추정되는 2개의 해병 여단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여러 보고로는 해병대는 늘어나는 중국 해외 해군 기지 경비와 상륙 역량 강화 필요성으로 인해 최대 10만명 규모로 대규모 확장될 것이라는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북부 전구 산둥에 주둔중인 77 차량화 보병 여단은 해병대 3번째 여단으로 전환될것이라는 보도가 있으며 아마 북해함대에 첫번째 해병대 조직이자 북해함대가 해병대 조직을 창설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1497702757.jpg

 다만 10만명의 해병대 규모 확장에 대해서는 여전히 모호함이 큽니다. 보도상으로는 6개 여단에 10만명 인력이라는데 이는 여단당 16,000여명 이상의 병력으로서 현재의 해병대 여단보다 10,000명이 넘는 규모로서 이는 육군 사단보다도 더 큰 규모입니다. 게다가 현재 군 개혁상 해군은 현재 235,000여명에서 270,000여명으로(해병대 포함)으로 늘어날것이라고 하는데 이는 당장 늘어나는게 전부 해병대라고 해도 10만명에 해병대 규모 확장은 불가능한것으로 둘은 서로 충돌하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해병대 확장 방안은 인민해방군 소장 웨이핑이 작성한 제안안에 있으며 그는 3개의 함대에 각각 해병 여단과 항공 여단 그리고 지원 및 특수전 여단을 두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각 함대에 추가되는 여단들은 기존 해병여단보다 훨신 작지만 매우 효율적인 구조이며 이 구조는 전체적으로 약 4만명의 군단급 병력을 요구할것이며 독립된 본부를 필요로 할것이라고 여겨집니다.

1497756128.jpg

 또하나의 현실적인 해병대 규모 확장 방안은 육군 수륙양용 보병 사단 하나 혹은 둘다 모두 해군으로 이동 시켜 해병 여단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어떤 방안이든 해병대 규모는 증가할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해병대 규모 증가는 해군에 071급 LPD나 075급 LHD, 기타 상륙함, 보급함과 LCAC, 헬리콥터 전력의 증가를 요구할것이며 현재 인민해방군 해군은 지속적으로 상륙전력을 늘려가고 있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http://cnitsec.org/index.php/index/articontent/menuid/61/tabid/113/id/3648/type/0.html

공수군

1497762356.jpg

 4월 19일, 중앙 군사위원회에 명령에 따라 기존 15 공수군이 사단/연대급에서 여단급으로 재편성되어 각 127, 128, 129 , 130 , 131 , 132 , 133 ,134등 6개공수여단에 추가적으로 항공 여단과 특수전 여단 그리고 지원 여단(통신, 보급, 공병등)이 새로 추가되어 총 9개 여단으로 새롭게 구성되었으며 15 공수군 사령부가 이를 모두 지휘및 관리한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구체적인 구조는 확실치 않지만 15 공수군은 규묘면에서 늘어날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 현 공군이 보유중인 수송기 전력보다 더 많은 가량 Y-20 같은 수송기가 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http://www.81.cn/tzjy/2017-04/28/content_7582148.htmhttp://tv.cntv.cn/video/C10334/251ae6087736452d8ad72df1f8da9933

주목할점

 위에서 육군, 해병대, 공수부대의 전투 서열 변화는 미래의 인민해방군 작전과 능력의 큰 영향을 끼칠겁니다. 다만 이러한 변화는 하룻밤사이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수많은 부대와 인원은 새 위치로 이동하며 부대들은 이전에 지휘받아본적없는 본부나 같이 싸워본적 없는 부대와 같이 협동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이것은 많은 인원들과 지휘부에게 시행착오와 노력이 요구될것이며 현재 종이위에 구성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되고 어떻게 고쳐나갈지 역시 알 수 없으며 이 과정은 불가피할것으로 보입니다. 

1497672776.jpg

 인민해방군은 지난 10여년간 사단에서 여단으로 규모가 감소되어왔으며 그에 따라 현장 훈련 양과 수준은 꾸준히 늘어갔습니다. 더 적은 부대가 더 많은 구역을 감당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부대들은 장거리 이동에 대한 준비와 훈련이 필요할것으로 에상되며 보급 및 지원 역시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습니다. 모든 부대는 멀리 떨어진 새로운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하고 단기간동안 해당 부대 지휘부와 부대와 협력하고 협조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할것입니다. 해군과 공군부대는 해외에서 여러 외국 부대와 더 많은 훈련을 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육군 정예화와 첨단화에 따라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하고 유지보수 요구역시 더욱 커질겁니다. 이에 다라 더 많은 유지 보수 부대 창설과 기존 유지보수 부대에 대한 시간과 투자가 소요될 것이며 최신 첨단 장비를 운용할 더 교육 받은 인원이 필요합니다. 다만 군 규모 감소로 인해 필요로 하는 인원이나 장비 숫자는 감소될것입니다. 인민해방군 전문 군 교육 시스템은 군 변화와 함께 더욱 커지고 첨단화에 따라가고 선두에 위치하기 위해 이미 변화중이지만 진보화되고 복잡해지는 전장에 따라갈 장교와 부사관을 준비하기 위한 많은 변화가 있을 겁니다. 


1495871854.jpg

 작아지는 육군은 국방비가 커지더라도 육군 가는 예산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함을 뜻합니다. 현재 중국 예산의 비투명성에 따라 전체 국방비중 얼마가 각군에 가는지 확실치 않지만 육군은 감축되더라도 가장 큰 군일겁니다. 그러나 인민해방군이 전통적으로 고수해왔던 대형 육군 개념을 깨트리는 것은 중국이 향후 진행할 인민해방군 원양 작전이나 항공 작전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건입니다.

 해병대와 공수군 확장이 현실화되면 인민해방군의 원정 작전 잠재력은 현저하게 증가할 것이며(중국은 이미 중국 국경을 넘어 해양, 하늘의 선을 건설하기 위해 노력중입니다.) 이런 원정임무는 기존의 인민해방군 물류/지원 능력에 새롭고도 큰 부담이 될것이며 이는 새롭게 창설된 인민해방군 합동 군수 지원군이 해결할 문제일겁니다. 그러나 이외에도 중국은 중국 외부에 군수기지같은 새로운 운영 개념을 필요로 할것이며 이러한 원정 작전은 기존 인민해방군이 상정한것 이상의 지휘 및 통제, 정보, 우주 및 지역 정찰 지원같은게 필요하며 이는 새롭게 창설된 인민해방군 전략 지원군에 통합될것이며 관리해 나갈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의 발전은 엄청난 개혁과 시행착오가 필요로 하며 인민해방군판 꼬리에서 이빨로가 될것입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인민해방군에 새로운 조직과 운영, 훈련 수준 향상이 얼마나 기능적이고 능숙하게 동작하든 인민해방군 작전 및 전술 제대, 각 전구간의, 각 군 본부와 참모 본부간에 협력, 계획, 명령 및 통제를 보여주며 얼마나 높은 리더쉽을 발휘하는냐가 중요합니다. 인민해방군 군 개혁의 성공의 열쇠역시 이와 동일할겁니다. 여기에는 인민해방군이 2015년에 처음으로 발표한 자기 평가에 대한 보고서에서 불안한점 또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부 지휘관들은 1) 상황 판단을 적절히 하지 못했으며 2) 상부의 지시를 이해하지 못했으며 3) 그에 따라 제대로된 작전 결정을 내리지 못해 4) 군을 적절히 배치하지 못했고 5) 결국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응할 수 없었다." 인민해방군의 지도부와 지도부의 리더쉽이 새로운 도전의 대비하고 맞받아칠수 있는지는 인민해방군 현대화의 가장 큰 불확실성이 될것입니다. *

Dennis J. Blasko, Lieutenant Colonel, U.S. Army (Retired), is a former U.S. army attaché to Beijing and Hong Kong and author of The Chinese Army Today (Routledge, 2006).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