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눈이 오면 따뜻한 이유 by 문과생
게시물ID : humordata_18077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호우호우
추천 : 8
조회수 : 4918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19/03/31 22:38:10
옵션
  • 창작글

먼저 제 소개를 하면 저는 전문가는 아니고 잠깐 기상 관련된 일을 했던 사람입니다. 사실 문과 출신이구요.. 

그런데 최근에 눈이 오면 따뜻한 이유에 대해 조금은 잘못된 이야기가 나오는 것 같아서 글을 한번 남겨봅니다. 

혹시 과학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ㅎㅎ 



fe80_5287_i1.jpg

 먼저 눈이 내리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눈이 내리기 위해서는 먼저 상반된 성질(찬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서로 만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 만나는 면을 전선이라고 하고, 이 전선에서는 차가운 공기와 만난 따뜻한 공기의 상승이 이루어 집니다. 그리고 이렇게 상승하게 공기덩어리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냉각 되게 되고, 그 결과 공기 안의 포화 수증기량은 점차 줄게 돠고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선 수증기는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액화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만약 상층 대기의 온도가 충분히 낮다면 액화된 수증기는 다시 고체의 형태인 눈으로 응고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러한 물의 상태변화가 지표면이 아니라 상층대기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입니다. 일반적으로 눈이 내리는 구름의 경우 고도가 1km 정도이고,  낮은 경우에도 7~800m 이상이 됩니다. 따라서 비가 눈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응고열이 방출되어 기온이 올라간다 하더라도 이 현상은 지표면이 아니라 고도에서 이루어므로  영향이 지상에까지 미친다는 것은 힘든 일이 됩니다.

 오히려 지표면에서는 내린 눈이 녹기 시작하면서 오히려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주변을 냉각시키게 됩니다. 마치 우리가 얼음을 만지만 얼음이 녹으면서 우리 손을 차갑게 하는 것처럼 말이죠! 따라서 눈이 오면 응고열 때문에 따뜻하게 된다는 것은 사실 말이 안되는 사실입니다. 이는 상층 대기에서만 이루어지는 일이고,  또한 오히려 지표면에서는 반대 현상인 눈이 녹으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눈이 오면 따뜻하다고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에 대해 우리는 가지를 생각해 필요가 있습니다

 그 중 첫번째는 위의 그림에서 나온 것처럼 한랭 전선 전면에 있는 따뜻한 공기 덩어리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랭 전선 전면에서는 따뜻한 남서풍이 불기 마련입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눈이 오기 전에 조금 더 따뜻하게 느끼게 됩니다. 이는 사실 여름철에 비가 오기 전에 더 습하고 덥다는 것에서 더 잘 느낄 수 있죠. 

 두번째는 바로 두꺼운 구름입니다. 구름은 마치 이불과도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표에서 복사 냉각으로 인해 빠져나가는 열을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이 두껍게 낀 눈이나 비가 오는 밤에는 온도가 덜 내려 가게 됩니다. 다만 이 경우에 반대로 낮에도 구름이 햇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다음에 있습니다. 눈이 오기 전과 눈이 내리고 있는 중에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평상시 보다 따뜻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눈이 그치고 난 다음에는 어떻게 될까요? 눈이 그치고 난 다음에는 지표는 완전히 차가운 공기 덩어리인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권 아래 들게 됩니다. 또한 맑은 날씨는 복사 냉각이 훨씬 더 잘 이루어지므로 밤이 되면 기온이 극심하게 떨어집니다. 그리고 앞에서 잠깐 설명했듯이 눈이 녹으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것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러므로 눈이 오고 난 다음에는 훨씬 더 춥죠. 사실 이러한 영향은 눈이 녹고 얼고 이러한 것보다는 기단의 영향이 훨씬 더 크고, 무섭습니다. 


사람들은 눈이 오면 따뜻하다고 느낍니다. 실제로 따뜻하기도 하죠. 하지만 눈이 그친 다음에는 어떨까요? 실제로는 온도가 떨어지고 차가운 북서풍이 불어오지만 사람들은 그래도 따뜻하다고 느끼는 듯 합니다. 그것은 과학적 사실 보다는 눈이 우리에게 주는 이미지 때문일 것 같습니다. 힘들기만 한 세상을 포근하게 감싸주는 그런 포근한 이불과도 같은 그런 눈 말입니다. 


스크린샷 2019-03-31 오후 10.36.09.pn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