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지주택]부동산게시판이 없어 여기로 찾아왔습니다.
게시물ID : interior_1479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kariust
추천 : 1
조회수 : 510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25/03/27 10:33:53
옵션
  • 창작글
  • 베스트금지
  • 베오베금지
  • 본인삭제금지

지역은 전남광주 입니다. 

가족분중에 신축 아파트 매매를 진행하고있고 나중에 알게되어
낮은가격에 의심되어 알아보니 지주택이라는 형식으로 진행한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지주택이 무엇인지 유투브나 블로그를 찾아보니 매우위험하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가족분께  지주택이라는 제도가 안좋을 뿐더러 나중에 큰 후회로 남을듯 하니 
신축아파트 매매를 접자고 얘기를 해볼려고 합니다. 며칠 걸리지 않았지만
제가 알게된 사실 2개는 처음 알게된 금액보다 나중에 추가비용이 발생한다 입니다. 
모델하우스 직원이 추가비용이 없다고 하였고 계약서에도 조항이 들어가있는 사항이라 
안심? 할수도 있지만 추후에 발생되는 금액이 무조건? 있을 거라, 그리고 그 추가비용에 대한
금액은 조합원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두번째로는 약속된 공사기간에 신축이 완료되지 않는다. 라는점 이였습니다. 인터넷으로 
확인했을때 대략 착공일기준 3년후에 신축이 완료된다고 소개를 하더라구요. 하지만.
카페나 주변인들 (광주분들)에게 물어보니  3년안에 지주택아파트가 완공될수 없다고 
동일된 답변이 왔습니다. 또한 중간에 건설사가 바뀔수도 있다고 하고. 이러한 내용때문에 
큰 리스크를 안고 가지 어려워 가족분께 설득하고 발을뺄려 하는데 중간에 궁금한점이 생기더라구요
[건설사는 두산위브 이빈다.]
신축아파트 기준으로 지주택으로 진행하여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약속된 기한에  맞춰 입주 된
사례가 있는지 궁금하더라구요. 두산을 떠나 전국적 지주택을 시행하여 다른 조치없이 약속되로 
이행이 되었던 곳이 있는지 궁금해져서 이런 경우가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제가 부동산쪽으로
문외환이라 오프라인에서 물어야하는곳이 따로 있는지도 궁금하구요. 글 읽어주셔 감사하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25-03-27 10:41:15추천 1
요즘은 지역주택조합을 지주택이라 하나보네요.

조합아파트의 단점, 리스크는 너무 유명하니 찾아보시면 많을꺼에요. 그래서 주변분들이 말리시는거고요.

장점은 계획데로만 되면 이득이 크다는 건데....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잔형적인 방식 이죠.

계획데로 잘된경우 찾아보기 어려울꺼에요. 계약서는 주택 계약이아니라 조합 가입계약 아닌가요?

지역주택조합의경우 시공사는 나중일이고.... 조합의 상황에 더 관심을 갖으셔야 해요.

여튼 잘 알아보고 하시란 말 밖엔 드릴 말이 없네요.
댓글 1개 ▲
2025-03-27 14:30:15추천 0
답변 감사합니다.
2025-03-27 11:02:13추천 1
절대 하지마세요. 일사천리로 진행되면 괜찮지만 그런경우 거의 없어요.
저희는 지주였고 계약서에 조항넣어서 도장까지 받았어도 추가분담금 다 내라고 하더라구요
저희 동네 말고 옆동네는 빨리 진행되서 잘된 케이스 있긴한데 거기는 주택지가 아니고 공장?부지 같은데라서
이사도 빨리나가고 하니 일 진행이 빨랐던거 같네요.
댓글 1개 ▲
2025-03-27 14:31:44추천 0
공장부지에서 하는 신축아파트는 진행이 좀 빨랐었다 . 라는거군요
저희 가족이 들어가는곳은 주택이에요 완전 동네사람들 사는곳이여서 .. ㅠ 아무튼 답변 감사합니다.
2025-03-27 11:44:32추천 1
보통 지역주택조합 사업은  원수에게 권하라는 말이 있지 않나요? 제대로 되는 경우가 극히 드문 사업이죠
댓글 1개 ▲
2025-03-27 13:29:31추천 0
저도 이 말 하려고 왔는데
화사 동기 중에 신입 사원때 시작 했는데 그 당시 토지 매입율 꽤 높았었는데 이제 삽 뜬다고 들었습니다. 대충 10걸린듯. 그 앞에 시간은 얼마나 걸린지는 몰라요.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