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머아님)베스트 간 이우환씨 그림에 대한 이야기
게시물ID : humordata_78390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D.D
추천 : 5
조회수 : 998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1/05/08 14:00:50
우선 유머가 아닌점 죄송합니다.
 
덧글의 '점하나 찍는데 왜 예술이냐?' '예술은 사기다.' '브랜드 가치다.' 사실 다 맞는 말입니다. sdfsdfgsg님 께서 이야기 하는 '이우환은 대단한 사람이다. 너희 같은 범인이 속단 할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라는 식의 태도 역시 맞다 틀리다를 떠나서 이우환 그림을 인정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나올 법한 태도입니다. 

별로 예술에 관심이 없으신 분들이나 이우환씨의 그림을 보고도 아무런 느낌이 없고 오히려 멍~하거나 '저게 예술이야?' 라고 반감을 가지신다면, 그건 그대로 개인의 고유한 그림 감상입니다. 전혀 침해되거나 힐난 받아야할 감상이 아닙니다. 

-저급한 취향과 고급한 취향이 나뉘는 방식은 '몰이해'를 비난하는 '이해'의 태도에서 비롯되는 것이니까요. 사실 '이해'는 그림을 보는 행위의 종착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자신 역시 잘못된 감상을 하고 있음에도 '이해'와 '몰이해'의 이분법으로써 자신이 고급취향임을 드러내는 방식은 참 안 좋은 관습입니다.-

저는 미술대학을 재학 중 임에도 이우환을 이론적으로 비난 할 수도 완전히 가치 절하 할 수 있습니다. 이우환의 빛나는 광휘 뒷 편에는 우리나라 근대미술사의 어두운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우환은 한국 근대미술의 두 메인 스트림(앵포르멜 추상, 모노크롬 추상)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작가입니다. 이것이 당시 한국 화단의 주요 담론 '한국 미술의 한국성 찾기' 와 맞물려 굉장히 주목을 받았습니다.

보시면 이우환 선생의 그림은 '획'입니다. 붓의 자국이죠. 이것이 우리 한국/동양 전통의 미감이라며 칭송했으며 당시 세계 주류미술 이었던 미국적 모더니즘 미술의 '모던함'을 함께 드러냈다는 이유로 대대적인 '스타작가 형성'을 한국화단과 정부에서 이끌어 냈습니다. 

이로 부터 우리는 두 개의 자긍심을 획득했습니다.
1.우리나라 미술의 '전통성'을 이우환이 정말 잘 표현했다.
2.우리나라 미술은 세계화에 발맞춰 최신의 모던미술과 한국성을 이우환의 그림에서 찾아냈다. 

고 하는 '거짓 자긍심' 입니다. 90년대까지 재대로 된 미술사/미학/철학 연구가 없었던 한국사회에서 '이우환의 서체적 추상'은 정부와 한국 화단에 의해 '한국성'과 '현대성'의 첨탑으로 추앙받았습니다.

이후 이우환의 그림은 포스트모던/구조주의 철학이 들어오는 9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조금 씩 까이기 시작했고 이우환 작가의 '억지 한국성 만들기'를 일각에서 비판적으로 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도 이우환의 그림은 엄청난 고가에 그림이 팔리고 있죠. 이유는 앞서 말한 '자긍심'에 고취된 일부 엘리트 계층들이 이우환의 그림을 자신의 '고급취향'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발소 그림과 미술관 그림을 나누는 '아방가르드와 키치의 이분법'은 이우환 작가의 그림을 두고 자주 언급되는 부분입니다. 당연히 오늘날 젊은 대중들에게는 이우환 그림의 현대성과 한국성이 받아들여 지지 않고 단절되었죠. 거칠게 얘기 한다면 다 늙은 송장들 만이 이 그림을 두고 칭송합니다.

그림의 가치가 돈으로 매겨지는 방식은 '돈 많은 사람이 그 가치를 칭송하느냐'가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많은 대중들과 젊은 세대들이 한국의 현대미술을 "까 줬으면" 좋겠습니다.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비난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좀 정신 차릴테니까요. 귀막고 눈막고 사는 늙은 한국 예술가들이 보수성을 띄는 것은 이런 비난으로부터 도피하고 싶어하기 때문이지요. 

반박하실 분들은 반박하셔도 됩니다. sdfsdfgsg님 환영입니다.

3줄요약.
1.이우환 회화의 가치는 만들어진 것이다. (자연스럽게 인정받은 것이 아니다.)
2.이우환 회화가 비싼 이유는 돈 많은 사람들이 만들어진 가치를 인정하고 사재끼기 때문이다.
3.한국 미술은 대중들에게 좀 많이 까일 필요가 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