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전기요금측정기로 전기요금을 추적한다
게시물ID : science_4050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1052
추천 : 10
조회수 : 1581회
댓글수 : 43개
등록시간 : 2014/08/28 03:53:55

당췌 이글은 어느게시판으로 가야하나 궁리를 하다가

이것도 과학이 응용된것에대한 이야기이므로 요따가 헤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번달 전기요금이 320kw정도를 써서 55000원 가량 나왔다며 이사오기전 가족의 사용량대비 두배가까이 나와서


무슨 문제가 있는것이 아닌가싶어 한전에서 전화가 왔다고 합니다..




그리고 모든 일은 시작되었죠.




우리집이 사용하는 전기가 에어컨이 없고 엄마가 절약을 많이 하는편이라 코드도 사용하지 않을때는 항상 오프로 해놓음에따라


평생 4만원이 넘은적이 없고 평균 2~3만원꼴로 나왔다며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별일아니겠지 싶었는데 사실 생각해보니 이사온후로 딱히 전자제품이 늘어난것도 아님에 제가봐도 이상하긴 했지요.




한전에 문의를 해보니 계량기 이상유무 테스트를 위해 기사를 보내보고 이상이없다면


누전확인을 해야하는데 그건 따로 전기업체를 불러야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돈이 든다는얘기.




기다렸던 계량기 테스트는 역시나 이상이 없었고


문의를 다시해보니 누전이 되나 간이 테스트로


모든 전원코드를 뽑고 계량기가 돌면 그것이 누전이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해보니 역시나 내가봐도 정상.

한전의 기사분도 누전이 된다면 1~2만원 상승이 아닌 보통 10~30만원까지도 갑자기 상승하는경우가 다반사라 정상일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가능성은 전등의 과부하나


일부 전자제품의 이상으로 필요이상의 전기를 소모할거라 생각해서


전문지식이 없는 저로써는 전자제품을 하나씩 켜보면서 계량기가 한바퀴도는 시간을 스톱워치로 재며


적절한 양의 소모가 되는지를 확인하는것인데.


특이하게 냉장고+김치냉장고가 on일때와


모니터가 두대달리고 인터넷모뎀에 5.1채널 대형스피커가 연결된 컴퓨터 풀셋이 모두 on일때가 비슷한 속도로 가동이 된다는것.


내가 생각해도 컴퓨터는 전력소모가 클게 분명한거는 맞을것같고.


확인해보니 붙어있는 스티커의 설명이 절전1등급인 냉장고 두대의 공식 월간소모량이 38+18kw 해봐야 56인데 의문만 가중됩니다..


냉장고가 컴퓨터 풀셋과 동등하거나 더 많이 소모된다니???




그러고보니 좀 이상합니다 냉장고는 벽면과 좀 떨어져 있어야 하는게 아닐까? 한달전 이사올때 기사가 설치해준 냉장고가 벽에 붙어있습니다.


내용물을 모두 꺼내서 가볍게한뒤에 조금 떨궈놔 보고 계량기 돌아가는 속도를 확인해봅니다.


그러나 딱히 차이는 모르겠어요.



그래서 as센터에 전화를 걸어 냉장고가 전기를 많이 먹는것같다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달라고 기사를 보내달라고 하여

오신 기사분 냉장고 문입구쪽에 손을 대보더니 여기가 뜨겁다고 보통 적당량 열은 생기지만 열기배출이 제대로 안되는것같다고


뒤 환열팬에 먼지가 많이 쌓여있다고 하여 먼지제거 스팀청소를 하고 냉장고와 벽의 위치를 다시 잘 잡아놓고 기사분 설명을 들어보니


열이 환기가 잘 되어야 냉장고의 냉각온도가 맞춰지면 작동을 잠시 쉬고 온도가 높아지면 다시 사용되는건데


그게 상당히 잦거나 계속 돌아가는 상황이었을지도 모른다고 하는것.

문쪽에 다시 손을대어보니 확실히 차가워져있습니다. 뭔가 효과가 생긴것같습니다.



계량기의 속도를 체크해보니 역시나 좀 좋아진것같기는 하나 애매하다, 아니 비슷했습니다.


일단 상황을 지켜보기로 하고.




매일매일 계량기의 수치를 확인해보니 역시 사용량이 상당히 낮아진것같습니다.


이상태라면 200kw이하로 사용할수 있을것같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몇주간 계속 스트레스를 받고 컴퓨터를 사용하는것이 눈치가보일정도인데다

아직도 뚜렷하게 수치적인 확인을 하지 못해 안심이 안되어


찾다찾다 발견한 가정용 전기요금 측정기!




그리고 즉각적인 측정에 돌입




aul~* DIARY - romeo1052.byus.net : IMG_0773_1_1.JPG

외부이미지




모든 전자 제품을 개별적으로 하나하나 테스트를 해봅니다.


사용이 어렵지도 않습니다.

사용 전력, 전압, 전류, 누진구간별 측정요금, 측정시간등이 나오지만 다 필요없고 그냥 사용전력량만 보시면 됩니다.




aul~* DIARY - romeo1052.byus.net : IMG_0774_1_1.JPG

외부이미지



측정기를 먼저 꼽고 그다음 측정을 요하는 전자제품을 그 위로 꽂으면 바로 여러가지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모든 전자제품코드를 제거해도 스위치가달린 멀티탭이 0.3w를 사용하는군요.




측정된 여러가지 전자제품의 전기 사용량을 알려드립니다.

aul~* DIARY - romeo1052.byus.net : 074.gif

외부이미지



컴퓨터 (모니터2, 5.1채널중형스피커)


27인치 LED모니터                       / OFF 1,      ON 24


오래된 구형 19인치 LCD모니터 / OFF 6.5, ON 35  - 크기가작아도 구형이라 전기효율이 적은것인지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합니다. 대기전력이 6.5라는것이 충격


5.1채널 중형스피커                      / OFF 7,     ON 13 - 음량을 최대로 올려도 전기를 더 소모하지 않는다는것 또한 새로 알게된 사실


그리고 최근 논란의 중심이었던


인터넷 모뎀!                                   / OFF 0,     ON 8.8


와이파이공유기!                            / OFF 0,     ON 4


대망의 데스크탑                            / OFF 1.5, ON 130~240 - 전원을 입력하고 부팅을 하는순간부터 제자리로 돌아오기까지의 최소와 최대수치입니다.



그리고 위의 모든 제품을 풀 로드시(부팅만시켜놓고 아무것도 실행하지않음) 225 

거기에다가 1080P 고화질 영상을 플레이하여 CPU사용량을 올린뒤 260~270 어마어마 하네요.


화면보호기 검은화면 작동시 변화없음


윈도우의 모니터절전기능시 114


최대절전모드 26(모뎀과 와이파이-13W는 사용중)     


그러니 여러분들 전기를 절약하고 싶다면 모니터 절전을 5~10분으로 해두시고 최대절전모드를 30분 이내로 설정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어차피 응용프로그램은 원래상태로 바로 전환이 됩니다.




기타 가전제품


32인치 브라운관TV     / OFF 2, ON 화면이 검은색일경우 50W 방송시청중 90W 


전기홈매트                    / OFF 0.1 , ON 5


일명 도란스 라고 불리우는 110V변환기(트랜스)  / OFF 5.5 , ON 10 - 소형진공청소기 충전할때


핸드폰충전기              / OFF 0 ,    ON 8


DSLR 충전기               / OFF 0.2 , ON 12


이온수기(정수기)       / OFF 6 ,    ON 30  - 참고로 냉온수기나 얼음이 생성되는 정수기는 엄청나게 많이 먹는답니다. 하지만 우리집에 없어서 확인못함


전자렌지                      / OFF 0 ,    ON 1100  - 용량에따라 틀릴테고 강중약에따라 저하됩니다.


드라이기                     / OFF 0 ,    ON 냉풍110 약온풍600 강온풍1200


선풍기                         / OFF 0 ,    ON 미풍 39 , 중풍 52.5 , 강풍 72.5

대략 벽걸이 소형 에어컨이 600정도라고 하니 선풍기 15대를 동시에 켜거나

에어컨1시간 돌릴 전기로 선풍기 15시간을 돌릴수있다는 얘기네요.

기둥형 대형 에어컨은 2000까지 소모된다고 하니 참고.



냉장고(1등급전기효율 월사용량 38KW라고 써있는 522리터 문1개짜리) / OFF 0.4 , ON 155


김치냉장고(1등급전기효율 월사용량 18KW라고 써있는 문2개짜리 한쪽 김치 강, 한쪽 냉동)  / OFF 0.5 , ON 180

참고로 냉장고는 냉각온도가 기준치에 도달하면 아이들링상태를 유지하다 온도가 올라가면 다시 작동을 하게됩니다. 그때 작동하는 전기가 위 수치입니다.)


그리고 가정내 낭비전력의 1등이라고 방송에서 연일 때려댔던 대망의 셋톱박스!

 / 아이들링9 , 방송출력시9.5


30일 내내 켜놨을경우 9x24시간x30일 = 6480w

누진세가 계산이 안된 단일금액 1130원이 월 사용료로 지급됩니다 여러분!

가정에 엄청난 전기세가 추가된다고 정부에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니

셋톱박스를 모조리 망치로 박살을 내버리세요! 이건 요금 폭탄입니다! 으하하 개새끼들



이상입니다.

나름 여러가지 전기사용에대한 궁금증을 해소할수는 있어 좋았는데

3만원돈 주고 산 측정기를 하루 써보고 이제 쓸일이 없겠구나 생각하니 좀 허탈하네요.

뭐 앞으로 두고두고 쓸일이 생기기야 하겠죠.

투자할 가치는 있는것 같습니다.


언젠가 무한도전에서 노홍철집을 방문했을때에 다른 멤버가 노홍철에게 안쓰는 코드를 뽑으라고 하자

노홍철이 하는말이 그거 뺏다꼈다하다 감전이 일어날수도 있는데 푼돈에 목숨걸지않겠다 뭐 이런얘기를 한적이 있는데요.

그말이 맞네요.

물론 다 뽑는것보다는 절약이 되긴 합니다만.

그렇게 걱정할만큼 가계에 큰 도움이 될만큼의 절약은 아닙니다.


전원코드를 뺐다 꼈다 할시간에 적절하게 잘 사용하는법을 습관을 들이고 아이들링이나 오프상태로만 변경시켜주시면 충분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정부는이개새끼들아  개수작부리지말고 중서민 이하 가정요금이나 깎아줘라. 우리가 써봐야 얼마나 쓰냐 대기업한테 더 받으면 되잖어

      좀 깎아줘! 우리집도 내년엔 에어컨좀 놔보게!

      더워죽겠다.aul~* DIARY - romeo1052.byus.net : 015.png

외부이미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Asky
2014-08-28 06:26:57추천 2
그래서 결국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온 원인이 뭔가요?????? 궁금하네요....
댓글 0개 ▲
2014-08-28 10:15:00추천 22
요새 고화질로 많이 보신 듯...
댓글 0개 ▲
[본인삭제]잣수정과
2014-08-28 10:42:20추천 0
댓글 0개 ▲
2014-08-28 11:03:24추천 9
뭐..결론은 토렌토 이용을 자제하자 인가요..음...
댓글 0개 ▲
2014-08-28 14:53:34추천 13
가장 큰것은 역시 냉장고였구요.. 열기배출이 안되어 24시간 돌아가게 된것같습니다.
그다음은 콤퓨타가.. 그리고 여름이라 선풍기를 상시 중풍으로 풀가동을 했던것도 있겠고 별거아닌것같은데 50kw정도가 더 사용되면서 누진세가 붙어
갑자기 확 뛴것같습니다.

320kw면 55천원인데 50kw만 적게써도 3700원이 부과되거든요.

윗분이 말씀하신것처럼 토렌트때문에 종일 컴터만 켜놔도 확실히 전기는 많이 먹게될것입니다.
일반적인 문서작업만 하는것과 거기에 토렌트를 사용하면 선풍기 하나를 추가하는것과 비슷한 전기사용이 됩니다.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4-08-28 22:34:15추천 1
토렌 많이 쓰려면 토렝이 머신이 필요한 이유죠 ㅜㅜ
댓글 0개 ▲
2014-08-28 22:36:07추천 1
셋톱박스 제조일자 확인 가능한가요?
옛날것은 꽤 많이 먹는걸로 알고있어여. 최근것은 하도 대기전력이 크다고 떠들어 대서 절전형으로 나오는 듯.
댓글 0개 ▲
[본인삭제]이현식
2014-08-28 22:40:03추천 0
댓글 0개 ▲
2014-08-28 22:45:20추천 10
에어콘 하루8시간 사용  컴퓨터 두대 풀가동 했더니 이번달 사용량이540kw..전기세 대략 17만원 나왔네요.  힝 ㅜㅜ
댓글 0개 ▲
2014-08-28 22:53:15추천 0
전기 많이 먹기로는 전기밥솥도 만만치 않죠,
가스보일러 구동도 그렇고요
댓글 0개 ▲
2014-08-28 22:57:38추천 1
셋탑박스 구형이랑 신형이랑 전기 비슷해요ㄱㅡ

전기 많이 처먹는다고 뉴스때리는데 고객들 그걸로물어보면
아주 친절하게 지금 보고있는 티비가 더 먹는다고 설명드림..

그래도 이해못하시는분들은 셋탑에 새겨진 삼성글자보면 믿으심....

무슨 생각으로 뉴스 저리 보낸건지 이해안감
댓글 0개 ▲
2014-08-28 23:00:01추천 2
측정기는 어디서 팔아요? 일반 철물점에도 파나요?
댓글 0개 ▲
2014-08-28 23:10:46추천 1
전등도 생각보다 전기 많이 먹습니다 ㅎㅎ.

36평 아파트라 가정하고

거실등 55WX5 = 275W
방등 36WX3 = 108W
주방등 55WX2 = 110W

거실 다켜고 방2개 불켜고 주방에 불켜면 275+216+110 = 600W 입니다.

안쓰는 방 불은 끄도록 합시다.

특히 백열전구는 하나에 60W 먹으니까 쪼매난 베란다등이라고 얕보시면 안됩니다 ㅋㅅㅋㅋ
댓글 0개 ▲
2014-08-28 23:49:02추천 0
32인치 브라운관에서 놀라면 되는 건가요 ㅋㅋ
댓글 0개 ▲
2014-08-28 23:54:51추천 0
브라운관 티비 선물받은거라 버릴수도 없고 그렇다고 고장도 안나서요..............

셋톱박스 제조일자는 모르겠고 작년에 새로 교품받은겁니다. 딱 봐도 신형같아 보입니다.

위 제품은 그냥 검색창에 "전기요금측정기"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전등은 저희집 대형 전등이 LED로 되있어서 자세한 사용량이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
댓글 0개 ▲
2014-08-28 23:58:50추천 0
개별로 끌 수 있는 멀티 탭을 사용하면 전기세가 어느 정도 줍니다.
물론 안 쓰는 제품은 꺼야 하는 귀찮음이 있지만, 코드를 빼는 것보다 편하더군요. ㅎㅎ
댓글 0개 ▲
[본인삭제]털보산도적
2014-08-29 00:00:37추천 34
댓글 0개 ▲
2014-08-29 00:11:18추천 0
11>>아 전등이 LED면 뭐... 전등으로 전기세 걱정은 거의 안하셔도 됩니다.. 거실등이 LED면 100~150W 정도일거에요
댓글 0개 ▲
2014-08-29 00:32:58추천 0
에어컨에연결해서쓰면좋겠네요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4-08-29 01:10:48추천 3
제 컴텨 본체 피크전력.........하....내 등짝은 이미 내것이 아니야

댓글 0개 ▲
2014-08-29 01:12:25추천 6
컴퓨터  켜놓으면 안되겠다 ㅜㅜ
댓글 0개 ▲
2014-08-29 01:13:40추천 0
..
댓글 0개 ▲
thom
2014-08-29 01:23:55추천 0
한푼이라도 아쉬운때에 유익한정보 감사드려요
댓글 0개 ▲
[본인삭제]중구히메
2014-08-29 01:28:08추천 2
댓글 0개 ▲
2014-08-29 01:56:07추천 0
예전에 학교에서 들은 이야긴데요
거리상?으로 한전 ~~~~~~~가정 ~ 공장 이렇게 거쳐서 전기를 공급하는데 전신주설치 같은 비용의 원가 배분을 거리상으로 했다고 ...
전체 거리가 8~ 인데 가정이 7~, 공장은 1~ 이런식으로..ㅠㅠ
댓글 0개 ▲
2014-08-29 02:23:39추천 1
고사양 게임할때 풀옵션과 옵션타협의 차이는 어마어마 합니다.
직접 전기세 내보면 풀옵션 고집 못하죠

그리고 냉동실 벽이나 바닥에 얼음이 생기기 시작하고 냉장실 야채가 얼기 시작하면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가는 통로가 얼음에 막혔거나 좁아져서 과냉이 되는겁니다.
이거 방치하면 계~~속 돌아가서 전기세 확 올라가니 빠른 조치 요망
댓글 0개 ▲
2014-08-29 02:23:58추천 4
작성자 수고 하셨는대 박수좀~~~ㅎㅎㅎㅎㅎ
댓글 0개 ▲
2014-08-29 02:56:26추천 2
1 // 감사감사 흨흨
댓글 0개 ▲
2014-08-29 02:57:42추천 0
새벽 두시밖에 안됐는데 고작 이미지 두개 올린 계정 트래픽이 초과라니 오유는 어마어마하네요..
댓글 0개 ▲
2014-08-29 03:23:45추천 0
전 그래서 의자에서 떨어지면 모니터를 끄는 습관을 가지게 됐습니다.
댓글 0개 ▲
2014-08-29 03:28:21추천 0
허헣.. 구형 19인치 LCD모니터 요거부터 바꿔야겠네요 .. ㅠ 전기가 은근 쥐도새도 모르게 여기저기 많이 새나가네요.
전자렌지는 어느정도 예상은 했었지만 드라이기는 저정도까지 일줄이야.. 충격이다 ㅠㅠ
댓글 0개 ▲
2014-08-29 03:30:30추천 1
저희집은 콩나물공장이라 농사용인데도 월 백만원은 기본 깔고가네요.. 내부 물 주는기계랑 심야전기보일러랑 8톤짜리 냉장창고에 나머지 가정용 일부.. 에어컨은 업소용 3상(380V)짜리 쓰긴합니다.
댓글 0개 ▲
2014-08-29 03:33:09추천 0
네 lcd모니터 갖다 버리고싶은데 작업할때 필요해서 버리지도 못하고 새로 사자니 힘들고.. 꼭 필요할때말고는 꺼놓고 살아요 ㅠㅠ

열기를 생성하는 전자제품이 주로 전기를 많이 사용합니다.
전기밥솥, 드라이기, 전자렌지, 전기오븐 같은것이지요.

다른건 몰라도 전기밥솥은 압력밥솥으로 바꿔보세요. 익숙해지면 전기밥솥보다 더 빠르게 더 맛있는 밥을 지을수 있어요~
댓글 0개 ▲
2014-08-29 03:42:41추천 0
우리집도 냉장고가 오래되서 그런가..2명이 살면서 전기 뭐쓰지도 않는데 보통 4만8천원식 나오는데 ...냉장고가 문제인가..
댓글 0개 ▲
[본인삭제]자의누리
2014-08-29 04:28:43추천 0
댓글 0개 ▲
2014-08-29 04:29:53추천 0
컴퓨터관련 커뮤니티에서 토렌트전용 토렌트머신이라고 저전력머신을 따로 셋팅하는 이유가 다 있는겁니다.
특히 그런 커뮤니티에선 단순 토렌트머신뿐만 아니라 클라우딩을 비롯한 다양한 서버활용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니 더욱 가정용서버가 필요한거죠
참고로 그런 곳에서 셋팅하는 저전력서버용 컴퓨터는 아이들전력 40~70정도에 풀로드가 100을 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일부는 서버컴에 연결하는 전원부가 최대사용전력 60W이하의 노트북용 어댑터같은걸 쓰는 경우도 더러있죠
게다가 서버컴이라 본체만 켜놓고 모니터는 당연히 연결이 안되있거나 대부분 모니터를 꺼두죠
댓글 0개 ▲
2014-08-29 06:45:20추천 0
정리를 눈에 띄게 잘해놓으셔서
머리속에 쏙쏙 들어오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4-08-29 08:57:04추천 0
어...음...사람들이 이상하게 오해했어 ㅠㅠ
제 말은 동영상 재생시 전력소모가 심하다는 글을 보고...말한건데..ㅠㅠ
그..그거 있잖아요 그거 그거  너무 고화질로 보고 감상하면...아..하긴 스킵으로 보면..한 10~15분정도지..
댓글 0개 ▲
2014-08-29 09:07:24추천 0
컴터 절전모드26이란게 1시간기준인건가요?  저러면 보통요금이 1시간 얼마쯤 나오는지 알려주실수잇나요
댓글 0개 ▲
2014-08-29 09:42:57추천 0
에어컨 하루 세시간 에서 네시간씩 거의 매일 틀었는데...
저번달에 174kw 인가...사용량이 그랬고 전기요금은 18000원인가 나온거 같네요...
물론 에어컨 외 다른 전기 사용량이 거의 없다보니(맞벌이 부부...) 전기세가 많이는 안 나왔지
만...
겨울철 난방비 생각하면 이 정도는 크게 부담은 안되는거 같네요...

잘때도 에어컨 1시간 있다가 자동으로 꺼지게 꼭 해놓는데...선풍기를 같이 틀고 자니 더 시원
하고...또 1시간만 틀어도 냉기가 꽤 오래 지속되더군요...

저희집 에어컨은 평형수 낮은거 산거라...계산해보니 시간당 1kw 정도 되는거 같아요...
집은 24평...
댓글 0개 ▲
2014-08-29 10:01:59추천 0
그나저나 스위치 있는 멀티콘센트 사용중인데 그것도 빼놔야 하나요?
댓글 0개 ▲
[본인삭제]Yunocchi
2014-08-29 10:10:13추천 0
댓글 0개 ▲
2014-08-29 10:31:19추천 0
혼자사시는분은 나갈때 입구에있는 두꺼비집 내리고 가면 꽤 편리하니 참고하세요~~ ^^. 단 냉장고쪽은 제외한 쪽만 내리셔야 합니다~
댓글 0개 ▲
2014-08-29 10:50:31추천 0
진짜 완전 유용한 정보네요
컴터 안쓸때 꼭 꺼야겠어요 ㅜ
동생이 맨날 켜놓는데 ㅜ
게임한다고 놋북이랑 동시에 돌리는데
혼내줘야겠네요 ㅠ
댓글 0개 ▲
2014-08-29 11:23:48추천 0
근대 정작 현실은 대기업은 깎아주고 서민들한테는 더 올려받는게 함정...
댓글 0개 ▲
2014-08-29 11:57:06추천 0
그러고보니 전기 이제 안부족하고 넘친다는데 누진세는 왜 안내리지?
댓글 0개 ▲
2014-08-29 13:09:46추천 0
누진세를 왜 받는지 도저히 모르겠다. 쓴만큼 내겠다는데 왜 더 받지?
댓글 0개 ▲
2014-08-29 14:18:01추천 0
저기 나와있는 사용량 정보는 1시간 기준 소모량입니다. 단위는 w고요 kw가 아닙니다.

멀티콘센트 0.3w 밖에 먹지않으니 켜 놓으셔도 무방할것같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콘센트가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오프되는 콘센트타이머도 있으니 필요하신분은 이용해보세요
댓글 0개 ▲
2014-08-29 19:23:33추천 0
정부개새끼들.
기업에서 전기료로 손해 존나 많이 보고, 가정에다 바가지 겁나 씌워서 손해 메꾸려고 하는 병신들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