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리 원전 단지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올해 6월 영구 가동중단에 들어간 고리 원전 1호기를 뺀 고리 원전 2~4호기와 신고리 원전 1~3호기 등 6개인데 신고리 원전 3호기만 내진성능 0.3g(지진 규모 7.0 해당)이고 나머지는 내진성능 0.2g(지진 규모 6.5 해당)이다. 만약 경주·포항 지진 규모에 견줘 0.7~1.1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부산에서 발생하면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최수영 탈핵부산시민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규모 7을 기준으로 원전을 다시 설계해야 한다. 결국 규모 9 이상의 내진설계를 해야 하는데 경제성이 없다”며 신고리 원전 5·6호기의 백지화 논리를 폈다. 원전 내진설계에 대한 우려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 쪽은 “후쿠시마 사고 뒤 내진성능 0.2g인 나머지 원전들에 대해서도 안전정지유지계통의 내진성능이 0.3g 수준이 되도록 설비 보강을 진행해왔다”고 말했다. 원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정하는 방사선비상계획구역도 논란이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원전에서 반지름 8~10㎞였다가 2014년 법률 개정으로 20~30㎞로 확대됐다. 원전을 반대하는 부산의 시민·환경단체들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주민대피령이 내려진 30㎞까지 설정하라고 요구했지만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5년 5월 원전운영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안을 그대로 수용해 20~21㎞로 설정했다. 이 때문에 현재 부산의 인구 350만명 가운데 50만명만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됐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30㎞까지 넓히면 부산·울산·경남의 주민 380만명이 대피훈련을 하고 방사선에 피폭되면 요오드 약을 2정씩 받는다. 김아무개(48·부산 연제구)씨는 “원전사고가 잦으니 불안감을 덜어주기 위해 부산 전역을 방사선비상계획구역으로 설정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