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약 10개월간 진행된 이번 조사결과, 원자력연이 2015년 이후 경주 방폐장으로 인도한 방폐물 2600드럼 중 2111드럼에 기재한 일부 핵종농도 정보에 오류가 발견됐다. 또 한수원이 의뢰한 원전 방폐물 분석과정에서도 3465개의 분석 대상 데이터 중 167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음이 확인됐다. 다만 오류 값을 정정해 비교한 결과, 원자력연 방폐물의 핵종 농도는 경주 방폐장의 처분농도제한치 이내이며, 원전 방폐물 척도인자의 경우에도 한수원이 사용 중인 값이 유효한 것을 확인했다.
오류 내용은 업무 수행과정상에서의 다양한 실책과 원자력연이 자체개발한 SW(데이터 관리시스템) 관련 등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시료데이터 값 또는 측정·분석 결과를 잘못 기재하거나 유사하지 않은 드럼을 함께 분석하는 등의 절차상 문제와 데이터 관리시스템 운영과정에서 수식적용 오류가 발생한 사례가 나왔다.
원안위는 “이번 오류 발견은 전체적으로, 계측기에서 도출된 측정값 관리부터 각종 분석·계산을 거쳐 최종 인수의뢰를 위한 정보기입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수준의 관리부실에 기인한 사안”이라며 “이런 관리부실을 발생시킨 근본 원인으로 핵종분석 업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체계화된 업무처리절차와 규정 마련이 미흡했다”고 밝혔다.
실제 자료관리 편리성만 고려, 유효성 검증을 거치지 않은 자체개발SW로 인해 1560여건 오류를 야기했고, 수회 분석이 원칙임에도 임의로 1회만 분석, 연구원 내 자체 검증 및 외부전문가 검증 의뢰 등 기관의 일반적 품질보증체계는 일부 단계에만 적용한 것이 확인 됐다.
방폐물 핵종분석은 원자력연이 거의 유일한 전문기관이다 보니 처분 책임이 있는 원자력환경공단조차도 과정검증 또는 결과 교차검증에 한계가 노출된 것이다.
원안위는 원자력연, 공단 등 관련 기관으로 하여금 철저한 자체 분석을 통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청하고, 제도적 개선사항에 대한 검토도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또 조사결과에 따라 공단에서는 확인된 드럼의 오류정보를 정정하고 처분방사능량을 재평가하는 등 방폐장 안전운영을 위한 후속조치를 즉시 이행하도록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