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비운의 웃는 전투기 X-32 JSF
게시물ID : military_5072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irForce
추천 : 10
조회수 : 1497회
댓글수 : 16개
등록시간 : 2014/11/12 19:46:36


f35b_c_line.jpg



F-16전투기 이래로 세계 최대의 베스트셀러 전투기가 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F-35 전투기는 합동공격전투기 .JSF) 사업의 결과물이다. 보잉 X-32 스텔스 전투기는 치열했던 합동공격전투기 사업 경쟁에서 록히드마틴의 F-35(X-35)에 패하여 사라진 기종이다.

boeing_logo.jpg        Lockheed-Martin-Corporation-LMT.jpg


 록히드마틴과 보잉의 경쟁은 보수와 진보의 경쟁이라 할 수 있었다. 록히드마틴은 기존 F-22 전투기에서 검증된 개념을 최대한 적용해 보수적인 설계안을 제시했다. 반면 보잉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대거 적용해 진보적인 설계안을 제시했다.



stovl_1.gifstovl_2.gif 
F-35B 전투기의 수직이착륙 원리


보수와 진보를 가르는 핵심적인 설계 차이는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추진 계통이었다. 
록히드마틴은 주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프트 팬을 조종석 뒤에 설치했다. 리모트 팬이라 불리는 이 설계방식은 수평비행에 필요없는 리프트 팬이 공간을 차지하는 만큼 중량·용적·성능면에서 손실이 발생한다. 하지만 기술적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었다.



stovl.jpgstovl_4.gif
X-32B 전투기의 수직이착륙 원리


 반면 보잉은 주 엔진 하나로 수직비행에 필요한 부양력을 얻는 다이렉트 리프트 방식으로 X-32를 설계했다. 다이렉트 리프트 방식은 리프트 팬과 같이 부가적인 장비 없이 주엔진의 배기를 직접 이용하므로 리모트 팬 방식에 비해 비행성능이 좋았다. 하지만 엔진의 배기 방향을 바꾸는 기술과 연소가스의 공기흡입구 재흡입을 통제하는 방식이 복잡해 기술적인 위험도가 높았다. 게다가 엔진의 추력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수 하부에 대형 공기흡입구를 필요로 했고, 수평미익이 없는 형상을 초기에 고려했기 때문에 전통적인 전투기 이미지와는 차이가 있었다.



314.jpg
x32_02.jpg

USAF_X32B_250.jpg
X-32B

이러한 설계 덕분에 X-32는 파생형간의 공통성이 80~90%에 이르러 비용이 적게 들 것으로 예상됐다. X-32는 대형의 삼각익 덕분에 연료 탑재량도 많아 경쟁기종이었던 F-35(X-35)보다 항속성능이 우수했고, 최대속도도 더 뛰어났다.





boeing-x-32b-patuxent-river-4.jpg
왠지모르게 웃고있는 주둥아리


그러나 독특한 설계방식 덕분에 동체 중앙에 엔진이 있어 외형이 뚱뚱했다. 게다가 대형의 공기흡입구를 기수 아래에 갖고 있어 턱 빠진 개구리를 연상시키는 형상으로 만들어졌다. 한마디로 겁나 못생겼다.



x32_schem_06.jpg
수평미익이 추가설계된 X-32B

 기술적으로 위험도가 높았던 X-32는 변화하는 군 요구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평미익이 최종적으로 추가되는 등 설계변경이 자주 이뤄졌다. 초도비행은 빨랐지만 개발지연으로 록히드마틴의 X-35보다 평가가 늦어졌고, 수직이착륙형의 기술적 문제 해결도 쉽지 않았다. 결국 최종 평가에서 보잉은 록히드마틴에 패했고, 21세기 하늘의 승자는 F-35로 결정났다.

 록히드마틴보다 위험도가 큰 기술을 적용한 것이 실패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면 X-32의 독특한 외형은 실패의 간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 ‘실실 웃는 전투기’ ‘스마일 펠리컨’ 등은 독특한 외형 때문에 X-32가 얻게 된 별명이다. 이러한 별명에서 X-32가 소요군에 어떤 이미지로 각인됐을지 짐작이 간다.



무장

기본 무장으로는 M61A2 발칸포와 AIM-120 암람 공대공 미사일이 있다.
내부 무장창 안에 AIM-120 암람 6발 혹은 AIM-120 암람 2발, 2000lb급 유도 폭탄 2발을 장착할 수 있었다.


aim-120-advanced-medium-range-air-to-air-missile-amraam.gif
ORD_M61A2_for_F-18_lg.jpgjs-boeingf_weapons.jpg

문제점

스텔스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내부 무장창의 경우 일단 미사일이나 폭탄을 외부로 꺼낸 다음에 투하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무장이 투하될 때, 동체 내부에 있다가 갑자기 동체 바깥쪽으로 사출되는 방식을 택하여 동체 내/외부의 전혀 다른 공기흐름 차이 때문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다만 무장발사에 걸리는 시간이 더 걸렸으며, 대형 폭탄이나 미사일 등의 장착에 제약이 있을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성에도 치명적이었을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

결국 이러저러한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X-32 전투기는 빛을 보지 못한 채 패자로써 쓸쓸히 퇴장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실 웃고있는 너란 녀석... 해맑은 녀석..




BoeingX32JointStrikeFighter2.jpg

web_1923119813_ab9fb406.jpg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