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매미의 생태주기
게시물ID : science_1945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rsMagna
추천 : 1
조회수 : 809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5/10 01:52:15

매미가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이
종에 따라 5년, 7년, 13년, 17년 등
모두 소수래요


베스트 갔던 "yomomo"님의 "그거 아세요?" 글의 부연설명을 해보자 합니다.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best&no=669798&s_no=669798&kind=humorbest_sort&page=2&o_table=science


댓글을 보다보니 매미가 소수해의 주기를 가져서

천적과의 만남을 피함으로 인해 생존하게 되는 현상에 대해 딱히 효익이 크지 않다

라는 댓글이 많은데요

저도 얼핏 그렇게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천적의 개체수가 일정하다면 사실상 효익은 크지 않습니다만


매미의 개체수 변화의 관점이 아닌 천적의 개체수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매미와 천적이 만나는 해에 천적은 먹이가 많아서 개체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다음 천적의 생태주기에 왠걸 그 많던 먹이는 어디가고

먹이가 될 만한 매미를 제외한 다른 곤충을 먹고 다음 매미의 생태주기와 겹칠때까지 

천적들은 그들의 생태주기를 버텨내야 합니다

따라서 천적들은 개체수가 줄어들게 되죠

이렇게 개체수가 적당히 줄어들었을때 다시 매미가 우르르 몰려나오게 되면

개체수가 줄어들어버린 매미의 천적은 한번에 몰려나오는 많은 수의 매미의 생존에 주는 영향이 적어질것입니다.


따라서 종의 번식을 위해 천적을 덜 만나기 위해서 소수해의 생태주기를 가진다는 것은

충분히 납득할만한 주장이라고 생각합니다.

매미의 개체수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게 아닌 천적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전략이기 때문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