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월드워Z : 스포 포함, 개인적 평가
게시물ID : movie_1236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지방공대생
추천 : 1
조회수 : 76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6/23 19:52:46
영화를 본 사람만 읽기 바랍니다.





영화는 질질 끄는거 없이 시작 하자마자 달리기 시작한다.

무너진 사회, 망가진 치안, 사라진 정부, 그 와중에 아직 남은 인간의 온정 등등이 잘 표현된다.

과장과 억지 없이 무력한 개인의 한계를 덤덤히 잘 보여준다.

입에 피가 튀자 자살 준비를 하며 10을 세는 장면으로 마무리 하며 깔끔한 좀비와의 술래잡기를 마친다.

10점 만점에 10점짜리 좀비 영화다. 


이후 '어리버리한 과학자'를 보호하는 속터지는 식상한 전개에 헤드샷을 날리지만

좀비의 기원을 명쾌히 설명하지도 않고 이스라엘로 공을 넘긴다.

한국은 왜 나오는지? 빼 버려도 줄거리 전개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때, 탈영한 군인을 군의관이 치료하다 물린 장면이 나오는데

원작에서는 이 부분이 중국 시골의 청년과 보건소 의사이다.

이거 잘 보면 군의관은 중국어로 중얼거리는 수염 긴 노친네고, 탈영병은 장발에 군복도 아니다.

영화 찍다 시나리오 작가가 2번이나 바뀌었단다. 

원작대로 찍다가 뒤집어 엎어 중국대신 한국이 튀어나왔고 장면은 재활용 한 것이다.

(한국 장면은 컨테이너 박스 몇개에 비행기 하나로만 가능한 저예산 제작 구간이다)


이스라엘의 장벽의 건설과 9대1 원칙(보고서를 제작할 때 한명은 무조건 반대한다) 생존을 위해 적이였던 팔레스타인까지 받아들이고 여군이 나오는 현실감 넘치는 설정들은

사실 죄다 원작에서 나오는  것들이다.

월드워Z는 소설을  영화화 한 것이다

소설이 너무 현실적이였고 잘 팔렸기 때문에 영화화 된 것이다.

원래 이건 좀비 영화가 아닌, 좀비가 창궐했을 때 인간들이 어떻게 살아남고 반격을 했는가?에 관한 재난영화이다.

영화는 원작의 사실감 넘치는 소재들을 차용해서 땔감으로 써 버린 격이다.

(원작에서 이스라엘은 끝까지 살아남고
한국은 북한때문에 군부대 절반이 묶인 와중에 예비군에게 총기 푸니깐 깔끔히 해결되는 장면이 나온다)


이스라엘이 사실 제작비가 터지는 하이라이트인데

화려한 전투도 아니고, 처절한 숨바꼭질도 아니며, 목적지 까지 달리는 밋밋한 진행이다.

좀비 웨이브를 투모로우에서 파도 몰아치는 장면으로 바꿔도 똑같다.(이러한 맥락에서 이 영화는 재난영화다) 다만, 주인공은 파도에 발끝 한번 담그지 않는다.


비행기 초반부에 개 한마리가 세번쯤 짖는 장면이 나오는데, 사실 이게 비행기 안에 감염자가 있다는 중요한 복선이다(원작에서 감염자들을 색출하기 위해 개들을 이용함)

이 복선은 원작 읽은 사람들만의 복선으로 잊혀지고, 나중에 개는 관객이 민망할 정도로 너무 노골적으로 '좀비 여깄음^^'을 보여준다. (여기서부터 뭔가 잘못되었다)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나 기대 만빵인 관객들에게 시원하게 수류탄을 하나 던져주시고 브레드 형님은 인간을 초월하신다.

원작 소재에서 100만 광년 떨어진 스토리가 시작되며, 
주인공 일행은 차를 훔쳐 타지도 않고 아무런 집에나 들어가 최소한의 소독도 생각 안하며 
걷고 걸어 앞으로 1시간동안 뺑이 칠 지루한 건물에 들어선다


이제 공포영화로 장르를 바꾸는데, 소리 죽이고 술래잡기하는 장면을 1시간이나 보며 좀비를 소리에 반응하는 귀신으로 바꿔도 무리가 없다는 생각을 했다.

좀비와 유기적인 교류(죽이고, 몸싸움학고)도 적고, 매우 우발적인 사건의 연속으로 긴장감을 모아 공포영화를 완성한다.

그리고 대망의 바이러스 주입으로 원작 작가도 상상도 하지 못한 결말을 이끌어 낸다
(넘치고 넘치는 좀비 영화에서 새로운 결말을 시도했다는 점에서는 높은 점수를 주지만...)

즉, 정리하자면 1/3 좀비에게 쫒기는 좀비영화에
1/2 공포 좀비 귀신이랑 숨바꼭질하는 이야기
사이사이 1/6쯤  휴먼드라마

장르는 크게 재난영화인데 너무 중구난방이다. 어찌보면 전형적인 재난영화 구성이다.

그러나, 원작의 좋은 소재를 이렇게 낭비했다는 점에서 영화는 좋은 소재를 망친 졸작이라 본다.

좀비 영화의 흔한 감정이입 장치들

예를들어 인간이였던 좀비를 사살하는 주인공의 고뇌,
가족이나 동료를 잃는 고뇌,
미션 수행 중 팀을 위한 숭고한 희생 

이 모든 것을을 빼버리며 뜬금없이 바이러스 주입 전 '가족에게 사랑한다고 전해줘요'이 강조되고

가족간의 뜨거운 사랑이  그리 비중이 높지도 않은 어중간한 영화였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