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 지구의 신비한 사실들.jpg
게시물ID : mystery_704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루리웹괴담러
추천 : 129
조회수 : 17668회
댓글수 : 76개
등록시간 : 2015/11/18 07:13:18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MGUl0


earth.jpg


지구
지구는 태양계에서 3번째 행성입니다

고대 지구의 어원.png


지구의 이름은 
신화에서 따오지 않았습니다

고대 게르만어의 'Erde' -> 
중세 앵글로 색슨어의 'Erda' -> 
중세 영어의 'Ertha'로 변천해왔으며 
모두 흙 또는 대지를 뜻합니다.

지구 자전 느려짐.jpg


지구의 자전속도는 
천천히 느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우 천천히 느려지기 때문에 
그 감속은 약 100년에 17밀리초에 불과합니다.
16억년이 지나면 지구의 하루는 
25시간으로 늘어납니다.

운석낙하.jpg


하루 100톤 이상의 운석이 
지구로 떨어집니다

다만 대부분 '엄청나게' 두꺼운 대기권에서 
마찰열때문에 내려오다가 불타서 사라지죠.

번개.jpg

지구에 하루동안 떨어지는 
번개의 횟수는 총 860만번입니다

지구 핵 금.jpg

지구의 핵안에 
지구상 금의 99%가 존재합니다

과학자들은 지구의 핵속에 
어마어마한 양의 금이 
녹아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그야말로 그림의 '금'이군요.

심해.jpg

인류에게 바다는 
우주보다 더 신비한 존재입니다

지구의 바다중 인류가 탐험을 
완료한 면적은 10%에 불과합니다.

테이아.jpg


지구와 같이 태어난 
자매가 있었습니다

그 자매별의 이름은 테이아. 
화성과 목성사이의 소행성대에서 
원시 지구와 함께 태어났고 
약 40억년전 원시 지구와 충돌하여 
일부는 지구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다시 뭉쳐 달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테이아는 달의 여신 셀레네의 어머니입니다.

가이아.jpg

일부 과학자는 지구가 
살아있는 생명체라고 주장합니다

지구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살아있는 하나의 거대한 '가이아'라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존재합니다.

크뤼트네.jpg


지구에는 달 이외의 
여러개의 '준달'이 존재합니다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은 달 이외에도 
크뤼트네라는 5km짜리 소행성과 
2002 AA29라는 돌덩어리등이 존재합니다. 
다만 크뤼트네는 지구 뿐만 아니라 
태양의 중력 영향까지 같이 받기 때문에 
사실 지구,태양,화성의 공동위성으로 봐야 합니다. 

크뤼트네의 정확한 분류는 
'준위성' 또는 '준달'입니다
참고로 크뤼트네의 이름은 고대 아일랜드에 정착한 
켈트족의 분파중 하나에서 따왔습니다.

소행성착륙시험.jpg


2002 AA29는 꼴랑 60미터짜리 
말굽모양 돌덩어리이며 
약 95년마다 한번씩 지구에 접근할 정도로 
길게 타원으로 지구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지구의 2,3번째 달이 
소행성 착륙실험을 하기에 
적합한 소행성이라고 합니다.

지구의 자기장.jpg



지구에는 크기대비 
가장 강력한 자기장이 존재합니다

지구내부에 니켈-철로 구성된 핵이 녹은 상태로 
빠르게 회전하면서 
강력한 자기장을 형성하였습니다. 
이런 강력한 자기장은 
살인적인 태양풍으로부터 
구의 생명체를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지구와 달 크기.jpg

사실 지구에 비해 
달의 크기는 너무 큰편입니다

다른 행성들의 위성에 비교하자면 
지구의 위성인 달은 크기가 지나치게 큰 편입니다.
이 것 때문에 일부 음모론자들은 
달이 고대문명의 위성병기라고 주장하죠 ㅎㅎ

하지만 절대적인 크기로 비교하면 
달은 태양계에서 5번째로 큰 위성입니다.

지구의 밀도.jpg


지구는 태양계 자매들중 덩치에 비해 
가장 무거운 행성입니다

지구의 내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핵으로 채워져있고 
그 덕분에 지구의 밀도는 
1평방센티미터당 5.52그램으로 
토성이나 목성보다도 밀도가 높습니다. 
토성은 물에도 뜬다니깐요.

지각구성원소.jpg


지구는 철,산소,실리콘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철은 녹은 채로 
깊숙한 핵에 존재하고 지구 지각의 절반은 
산화된 산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구에서 산소가 사라진다면 지각이 붕괴된다는
다큐도 있습니다.

보라색 지구.png


지구는 한때 보라색이었습니다

과학자들에 의하면 과거 지구를 지배한 고생물중 
호염성세균은 태양빛중 녹색을 흡수하고 
적색과 보라색을 반사했다고 합니다.
이후 진화를 거듭하여 엽록소가 등장했고 
이 엽록소는 반대로 
파란색과 적색 파장을 흡수하고 녹색을 반사하기에 
우리가 알고 있는 '녹색'지구가 탄생했죠.

지구 물.jpg


지구의 물중 마실 수 있는 물은 
1%에 불과합니다

97%는 바닷물이며 
나머지 3%중 
2%의 물은 빙하로 존재합니다.
오직 1%만이 먹을 수 있는 담수이며 
강이나 호수 또는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마저도 태양풍때문에 
매년 조금씩 우주로 새어나가고 있죠.

end.jpg

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200년이 채 안될 수 있습니다

스티븐 호킹 박사의 주장에 의하면 
현재 환경파괴와 자원소모를 고려할 때
인류가 200년안에 다른 행성으로 이주하지 않으면 
인류는 지구에서 멸종될 수 있다고 합니다.




200년짜리 우주선을 타고
인류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요.


여러분의 추천이 후속편을 보장합니다 :)
출처 10 Quick Facts About The Earth (https://www.youtube.com/watch?v=aM5-abZjVkQ)
http://space-facts.com/earth/
https://ko.wikipedia.org/wiki/%ED%85%8C%EC%9D%B4%EC%95%84_(%EC%B2%9C%EC%B2%B4)
http://www.livescience.com/19102-amazing-facts-earth.html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5-11-18 07:23:27추천 4/14
근데 200년이면 충분하고도 남는 시간일듯;
댓글 8개 ▲
2015-11-18 08:06:47추천 22
요즘엔 100세시대라는데 아들 손주의 세대라고 생각하면 왠지 엄청 짧게 느껴져요ㅜㅜ 손주의 세대에 인류멸망이라면...
2015-11-18 08:07:47추천 80
200년이면 내가 죽기엔 충분하고도 남는시간이지만,,, 다른 거주가능행성으로 갈 준비를 하기엔 턱없이 짧아보여요
2015-11-18 10:25:38추천 34
지구에서 인류(100명? 1000명?)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넉넉한 시간일 수 있으나..

나머지 인구는...
.
.
.
.
매드맥스를 찍겟죠!!!

2015-11-18 10:28:35추천 1
드래곤볼 손오공처럼 손자의 손자의 손자 보는게 꿈이었는데 ㅠㅠ
2015-11-18 10:47:16추천 10
한편으로는 요새 UFO가 자주 목격돼는 이유중의 하나가 우주선 실험이 아닐까 생각중. 82년생인데. 저희가 어렸을때 흙백티비에서 칼라티비로 바뀌는 세대이고. 문명의 속도가 빠르다는게 느낀게 우리 국민학교 4학년때 국민학교에 컴퓨터실 처음으로 생기고 그때 사용했던게 286컴퓨터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넣고 부팅하고 하다가 초등학교 6학년때는 386나오고 3.25인치 디스크나오고 DOS 명령어로 입력하고 했는데. 중학교 오르고나서부터는 컴퓨터 발전 속도가 장난아니였죠. 거기에 마쳐서 통신기기 까지 발전 속도가 어마무시 해줬어요. 초등학교6학년때 무선전화기 보고 우와 했는데 그때쯤 삐삐 나오고 3,4년 지나니 psc폰 그리고 폴더폰 지금은... 그게 불과 20년 사이에 일어난거죠
2015-11-18 10:52:28추천 0
멸종을 피하기 위한 이주는 가능하겠지만 그곳에서 번성하기위해서는 부족한 시간 아닐까요
모든 인구를 데려가진 못할테니,,,
2015-11-18 23:36:14추천 0
지금의 인류에게 200년이면 과분하다는 생각도 드네요.
제가 결정할 수 있다면 2년도 며칠 비게 주고 싶네요.
2015-11-20 16:47:59추천 2
100세 시대라고 한 세대가 100년이 아닙니다
요즘은 보통 30대에 자녀를 낳으니 30여년이지요
200년이라면
나의 아들에 아들에 아들에 아들에 아들에 아들에 아들이 태어난 때이니까
가깝지는 않지요
2015-11-18 07:24:28추천 10
첫댓! 매번 감사합니다. 근무시간에 보니까 더 재미나네요.
댓글 10개 ▲
2015-11-18 07:24:56추천 7
첫댓아니네요 ㅡ.ㅠ; 시무룩.
2015-11-18 07:25:11추천 2
댓글부터 남기고 볼걸.
2015-11-18 07:50:00추천 0
헿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2015-11-18 07:53:49추천 32
다음은 어디로 여행을 떠나볼까요?
쿨블루님께서 추천해주세요.
2015-11-18 08:12:47추천 32
멋있다. 어디로 여행을 떠나볼래요, 라니.
2015-11-18 10:18:24추천 1
알파 센타우리요.
[본인삭제]얼굴때문에
2015-11-18 10:28:27추천 83
[본인삭제]프렌즈
2015-11-18 11:36:11추천 2
2015-11-18 11:36:27추천 0
아..앙대
2015-11-18 23:32:16추천 2
롯데월드요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11-18 07:50:57추천 0
선추천 선댓글 후 감상
댓글 0개 ▲
2015-11-18 07:55:45추천 1
좋은 자료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과학지식 너무 좋아요 ~ ㅎㅎ

감사합니다 ~
댓글 0개 ▲
[본인삭제]꿀쟁이ʕᴥʔ푸
2015-11-18 08:04:55추천 8
댓글 1개 ▲
2015-11-18 13:36:27추천 4
200년 전에  겠죠
2015-11-18 08:06:56추천 2
1800년과 2000년, 그리고 15년 뒤인 지금을 비교해보면...

200년 결코 짧지 않은 기간인 거 같네요.
댓글 0개 ▲
2015-11-18 08:25:41추천 14
거 다른행성가면 그 행성도 결국엔 망하겠구먼
댓글 0개 ▲
2015-11-18 08:39:21추천 0
천왕성 어때요~
댓글 0개 ▲
2015-11-18 08:39:52추천 0
자매별 이야기 첨 들어봐요~~
댓글 0개 ▲
2015-11-18 09:14:32추천 4
심우주개발의 최대 난코스는 기술력이 아니라 인구와 경제죠. 450톤 규모의 국제우주정거장 건설에 약 15년의 공사기간과 100조원이 넘는 돈이 투입이 되었죠. 현재 나사의 1년 예산이 15조원 가량 되는데 나사 혼자서 ISS를 건조한다면 10년동안 운영비 십원하나까지 죄다 ISS에 투입이 되어야 한다는 얘기죠.

만약 화성 유인 탐사를 계획 한다면 마션 (마션의 실제 최대 에러는 미국 혼자서 화성 유인 탐사를 한다는 점이죠.;;;) 에 나온 헤르메스호 하나 건조 하는데 수백조원이고 만약 수년간 상시 거주하는 유인기지를 만든다면 1년 유지비가 수십조원 (2년마다 지구 화성간 거리가 가장 짧아지는 근접기외에도 수시로 보급선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죠.)  마션처럼 지구 화성간 최근접기에만 사람을 보내도 1회 탐사비용이 수조원은 들어가죠.

전세계 각국의 우주 개발 예산 죄다 끌어 모은다 해도 조도 아니라 경단위가 들어갈 테라포밍은 커녕 화성 유인 탐사 조차도 허덕일 수 밖에 없죠.

단 EM 드라이브가 실용화 된다면 미국, 중국 둘이서 화성 개발 하겠다고 설치겠지만요.
댓글 2개 ▲
2015-11-18 18:54:04추천 8
사대강 사업 앞으로 6번 정도 더 하면 우리나라도 우주정거장
2015-11-18 19:57:13추천 0
관련 인프라가 깔려 있다는 가정하에 얘기지만 ISS 규모만큼은 안 되더라도 22조원이면 모르긴 몰라도 러시아 미르라든가 중국 톈궁 규모의 독.자.적 우주정거장 하나는 만들고도 남겠죠. 인프라가 없다 하더라도 22조원이면 모든 로켓 관련 인프라 다 깔고 화성 탐사 한 번 생각해 봄 직한 돈이고요.
2015-11-18 09:20:34추천 8
코프룰루 구역으로 가야죠!
댓글 0개 ▲
[본인삭제]PIGLET
2015-11-18 09:27:53추천 0
댓글 0개 ▲
2015-11-18 09:45:52추천 0
200년 뿐이라구요 ??????????????

아..급 맨뭉 ㅠㅠ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11-18 09:52:10추천 0
200년후라..
인류는 멸망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게 아니길..
댓글 0개 ▲
2015-11-18 09:52:26추천 0
보라색맛났어!
댓글 0개 ▲
2015-11-18 09:59:16추천 8
지구는 참 신기해요 위(우주)아래(심해)가 미지의 구역들이니..ㅎㅎ
댓글 0개 ▲
[본인삭제]텅장은앙대영
2015-11-18 10:00:08추천 39
댓글 0개 ▲
[본인삭제]풍악을울려
2015-11-18 10:01:33추천 0
댓글 0개 ▲
2015-11-18 10:03:56추천 43
200년 안에 이주해야 한다는 건 200년 안에 환경을 위해 뭔가를 해야 한다는 경고죠

테라포밍을 할 기술력 자원이면 지구를 수십번 정화할 수 있어요

하도 테라포밍 관련된 영화가 인기있어서 그런지

테라포밍에 대한 환상들이 많으심 ㅎ
댓글 2개 ▲
2015-11-18 10:17:57추천 0
사실 에너지만 풍족하다면 지구에서의 인구압은 어떻게든 해결이 가능하죠.

석유 다 캐내면 인류멸망이라고, 하도 그런 영화가 나오지만 실제로는 현 인류가 지구에서 나오는 에너지 100%를 활용하지도 못하고 있죠. 더군다나 지금의 화석에너지 사용은 문명 발전도로 볼 때 과도기에 불과할 수 있어서 지구 내에서 자체적으로 새로운 에너지 개발에 성공할 가능성도 여전히 많이 남아 있죠.

현실적인 테라포밍을 해야 하는 이유로는 기실 현실적인 이유라기 보다는 좀 더 관념적인 이유일 수 있죠.(실제로는 뜬구름 잡는다는 얘기죠.)

일단 지구내의 생물 다양성을 보존 하기 위해 인류 스스로가 우주로 진출한다든가 인류가 대비하지 못하는 위험(테라포밍이 가능한 기술력이면 대체 뭔짓을 해야 인류가 멸종 당할지 심각한 의문이지만요;;;;; 지금도 어지간한 운석이라면 충분히 조기에 발견만 하면 궤도 꺾는것도 가능하고 심지어 공룡 멸종 시킨 운석이 지구에 충돌해도 인류 문명 한세기 뒤로 후퇴시키면 끝이 아닐까 싶죠) 을 분산하기 위해 테라포밍이 필요하죠.

게다가 기술적인 관점을 벗어나서 테라포밍이 가능한 인류 사회라면 현시점에서는 SF에나 나오는 지구통합정부라든가 독재 없는 공산주의가 가능할 정도의 유토피아에 가까운 사회가 될 텐데 굳이 우주로 나갈 필요가 있나 싶기도 하지만요.
2015-11-18 19:15:36추천 0
사실상 테라포밍이 뜬구름인걸 알아도 ㅇ어쩔수없는 인류의 꿈인거같아요 ㅎㅎ 언제나 인류는 새로운 곳을 개척하고 싶어하잖아요.
2015-11-18 10:08:27추천 0


댓글 0개 ▲
2015-11-18 10:12:26추천 0
200년 흠

화성에 인간이 완전 정착하는데
최소 400년걸린다고 하지 않았던가여
댓글 0개 ▲
[본인삭제]Beestox
2015-11-18 10:15:01추천 3
댓글 0개 ▲
TAI
2015-11-18 10:15:43추천 0
저 크뤼트네와 2002 AA29 를 제2의 달 제3의 달로 부르기에는 무리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
준위성이라는 호칭에 대해서는 물론 분류하기로 비슷한 천체들이 계속 발견되거나 기존 발견된 소행성들 중에서 파악되고 있는 걸로 알고 있구요
제 2의 달이나 제3의 달로 부른다면 그와 유사한 분류에 있는 소행성들이 모두 제4의 달 제5의달 이 되어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정보는 조금만 검색해보시면 유사한 분류들의 천체들 이름들이 나옵니다 ㅎ
아시겠지만 연도와 알파벳은 소행성발견한 연도와 월일 별로 부여되는 것은 알고 계시겠지요? ㅎ
그 부여된 것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처음부터 준위성으로 분류되었다기 보다 발견된 이후 소행성으로 (당연히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죠)
분류해놓고 번호 부여 되고 나서 궤도 분석을 통해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가 지구의 궤도나 글쓴이님께서 말씀해주신 여타 다른 행성들의 궤도와도
관련이 있도 영향을 받는다는 분석에 따라 특히 지구의 궤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들이 그렇게 분류되고 있다고 하네요 ㅎ
살펴보시면 아시겠지만 이들 천체들도 각각 조금씩 궤도에 영향을 받는 형태가 제각각이어서 ㅎ 아주 재밌는 궤도를 갖고 있습니다 ㅎ
이상 걍 별을 사랑하는 지나던 옛 별덕후였습니다 ㅎ 항상 올려주시는 글 잘 보고 있습니다.
댓글 0개 ▲
2015-11-18 10:18:51추천 1
저도 과학이랑 특히 환경에 관심있는데 200년도 가기 힘들것 같습니다.
당장 석유만 봐도 50년을 넘게 못쓸 것 같은데(중학생때 40년 좀 넘게 쓸만큼 남았다 함) 아무리 오일샌드니 개발해봤자 유한된 자원이랑건 확실하죠.
그리고 숲을 없애고 공장 짓는것만 봐도 얼마나 오염을 심화시키는지 생각할 수 있을겁니다.
이러다가 어느 순간 훅하고 비율이 넘어가 더이상 지구는 쓸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자정작용도 자연이 있을때 이야기지 우리는 오염시키는 뿐만 아니라 자연도 파괴하잖아요.
댓글 0개 ▲
[본인삭제]쟈오
2015-11-18 10:22:45추천 18
댓글 1개 ▲
2015-11-18 17:00:04추천 2
자연은 많은 실험을 하는군요.
인류를 탄생시키고서 그 후자를 언제든 생각해놓은거 같아요.

유전자 자가회복이 가능한..미생물이라니..
2015-11-18 10:35:58추천 23
그거같은 느낌이에요
엄마가 화나셨을 때 '너 그럴거면 집 나가!!' 라고 하시는 건
진짜 나가란 뜻이 아니고 '너 그러지 마, 고쳐.' 라는 뜻인데
표면적인 표현만 읽고 우린 나갈 생각부터 하고 있는 느낌...;
지구 밖으로 나갈 생각보다 지구 내에서 우리 생활태도를 개선하며
환경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게 훨씬 현실성있고 맞는 일 아닌가요..
댓글 2개 ▲
2015-11-18 10:36:34추천 29
엄마 : 아닌데? 진짜 나가라고..
2015-11-19 23:17:38추천 0
1 단호해ㅋㅋㅋㅋㅋㅋㅋㅋ
2015-11-18 10:36:43추천 0
재밌습니닷~ 다음편도 기대되네요 ^-^
댓글 0개 ▲
2015-11-18 10:38:40추천 0
이 노래 오랜만이네요
공각기동대 티비판 1기 ost중 하나였던걸로 기억해요.
노래 제목에 아마 solar라고 태양과 관련된 단어가 들어가있던걸로 기억........
제목이 정확히 기억이 안나네요. 오랜만에 들으니 감회가 새록새록
댓글 1개 ▲
[본인삭제]뀨앙뀨아앙
2015-11-18 14:18:17추천 1
2015-11-18 10:42:01추천 0
잘봤습니다.
댓글 0개 ▲
2015-11-18 10:49:44추천 0
이런신비로운글 너무조하♡
댓글 0개 ▲
2015-11-18 10:51:59추천 0
그러게요 범세계적인 환경 아끼기 운동이 되어야 할텐데` 그나마 부탁되는 재활용도 잘안되는건 참 아쉽죠.

저도 지구관련글 보면서 오늘하루의 소중함을 다시 배우고 갑니다.
댓글 0개 ▲
2015-11-18 10:55:51추천 7

이제 현실에서 실행해봅시다....ㅋㅋ
댓글 0개 ▲
2015-11-18 11:02:06추천 0
현재 기후변화 속도를 보면 200년이 아니라 50년만 지나도 작살날듯....
댓글 0개 ▲
2015-11-18 11:08:08추천 0
살아있는 행성 가이아 했을때 나만 아비가일이 있는 행성퀑 가이아 생각한건가요? 덴마 요즘 재미있어요!

아 물론 작성자님 글도 너무 재미있어요!
댓글 1개 ▲
2015-11-18 11:25:17추천 0
저는 베르나르배르베르소설 제3인류가 떠올랐어양ㅋㅋ
2015-11-18 11:11:59추천 0
다음.

글리제 581g 요!!!!!!
댓글 0개 ▲
2015-11-18 11:33:01추천 0
아 이거 너무 좋잖아!!!!!
댓글 0개 ▲
2015-11-18 11:35:20추천 2

이런 게시물 아주 좋습니다
댓글 0개 ▲
2015-11-18 11:36:53추천 0
이상하게 우주사진보면 소름끼치면서 무섭당ㅠ
댓글 0개 ▲
2015-11-18 11:42:09추천 1

지구상에 담수가 전체 물의 2.5%

이 중에 99%는 지하수나 빙하고

2.5%의 1%...즉 지구상 물의 0.025%만이 강, 호수, 하천임..

바닷물의 위엄 ㄷㄷ
댓글 0개 ▲
[본인삭제]테르나
2015-11-18 11:44:04추천 0
댓글 0개 ▲
[본인삭제]239rf9f
2015-11-18 11:47:00추천 0
댓글 0개 ▲
2015-11-18 12:57:51추천 0
이런글 너무좋아요 신기하면서도 재밌는 그런 느낌..!
글쓰시느라 수고하셨어요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ㅡ+
댓글 0개 ▲
2015-11-18 13:24:22추천 0
재미있게 잘봤습니다.후속 기대할께요.
댓글 0개 ▲
2015-11-18 13:38:46추천 1
지구가 살아 있다는거에 저도 왠지 공감..지구뿐 모든 항성 과 행성이 생명체일지도 몰라요.. 그게 사람들이 말하는 신일지도..라는 야매 기독교인 나 ㅜㅜ
지구 물속 조차 모르는게 많다니 우주로 나가는거 천년은 빠른듯!!
인어공주가 있을지도..심해애.. 원피스도 헤헤..
즐거운 글 정말 감사해요
댓글 0개 ▲
2015-11-18 13:42:59추천 0
ㅋㅋ일부 과학자의 가이아 이론 나름 그럴만하다 싶기도 하네요.
지구상에 있는 모든 미생물들이 가이아라는 군체를 이루고 있는 것일지도...
댓글 0개 ▲
2015-11-18 14:09:30추천 0
아름다워요! 태양계하면 다른 행성에 가려졌지만 지구도 다른 행성 못지 않게 놀라운 힘을 가졌고.. 자체가 기적이었네요
댓글 0개 ▲
2015-11-18 14:14:02추천 0
지구 언제나오나 기다렸어요~ 싱기방기. 이런 지식들을 갖추고 계신 글쓴이님 대단해요-
댓글 1개 ▲
2015-11-18 14:51:27추천 2
저의 천문학 지식은 보잘것 없답니다.
단지 인터넷에서 여기저기 긁어모은 사이트에서 복붙한 것 뿐입니다.
다른분들도 같이 즐기자는 의도로 시작했습니다 :)
2015-11-18 14:55:08추천 2
가이아 이론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고 해요

1. 지구 전체(무생물 포함)가 하나의 생명체이다.
- 이건 말 그대로 지구의 무생물적인 요소까지 포함해서 환경을 유지한다는 이야기에요.
어찌보면 지구 자체에 의지가 있다는 의미인데... 사실 제대로 된 이론은 아니고 소설등에서 많이 가져다 쓰는 소재고요
대표적으로는 영화 파이널판타지 (게임X  파이널판타지7 영화X) 에 나오는 가이아가 이 형태에요.

2. 지구의 모든 생물체가 하나의 집단을 이룬다.
- 지구의 모든 생물은 장기적으로 봤을때 전체 환경을 유지하는 쪽으로 행동한다는 이론이에요.
생물의 행동들이 모여서 지구 전체를 봤을때 결과적으로 현상 유지를 위해 작동한다고 설명하고 있고요.
인류의 행위도 알게 모르게 이 현상에 기여한다고 해요
창세기전에 나오는 음... 태초에 있었던 검이... 더말하면 스포니 패스

3. 지구의 생물체중 집단을 이루는 생물종이 따로 존재하며, 나머지 생물은 그 위에 기생하고 있다,
이건 말 그대로 가이아가 만들어놓은 환경위에 나머지 생물이 기생하고 있다는 거에요
세균+일부 식물종+일부 하위 동물종이 가이아라는 집단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인간, 포유류, 조류, 파충류 등과 같은 고등 생물이 살고있다는 거에요.
영화나 만화에서 많이 나오는 "지구가 인간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정이 이에 부합하는 이론이에요.

뭐 다들 아직 밝혀진건 없는 이론이라...
댓글 0개 ▲
2015-11-18 16:54:54추천 0
그다음 행성은 아제로스로!!
댓글 0개 ▲
2015-11-18 17:56:58추천 0
가자 깐따삐야로~~~~~!!!!!???
댓글 0개 ▲
2015-11-18 18:52:56추천 0
으아 꾸르잼
댓글 0개 ▲
2015-11-18 20:04:25추천 0
잘 봤습니다..~~
댓글 0개 ▲
2015-11-18 20:50:53추천 1
지구는 생명체가 살기에 정말 너무너무 적합한 조건을 갖춘 행성인 것 같아요. 마치 신이 창조한 것인양.
우주가 무한한 공간이기 때문에 그 안에서 정말 희박하고 희박한 확률로 지구가 탄생할 수 있었겠죠...
댓글 0개 ▲
2015-11-19 22:24:14추천 0
어제 읽었는데 너무 피곤해서 읽다가 잠들어서 이제서야 추천+댓글 남깁니다. 힝.. 태양계 다 끝나면 우주에 대한 것 소소하게 가끔 시간이 나실때 하나씩 보여주셨으면 좋겠네요..ㅎㅎ 저의 욕심이겠지만...ㅠ 게시글 읽으면 행복해여...ㅎㅎ
댓글 0개 ▲
2015-11-21 10:17:45추천 0
와 근데 번개가 저렇게 많이치는지 몰랐네요..
다른행성들에 번개 치는이미지가 인상에남았었는데 저 숫자를 보니 생각보다 큰차이 없겠구나 싶어요
댓글 0개 ▲
2015-11-30 15:05:56추천 0
우리의 100년전이면.. 조선시대입니다..
발달 속도에 가속이 붙는다고 생각하면..하하..
댓글 0개 ▲
2015-12-13 07:42:51추천 0
재밌게 잘 보고 가요~
댓글 0개 ▲
2015-12-21 00:09:46추천 0
작성자님!!!!!!!!!!!!
"지구는 철,산소,실리콘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실리콘이 아니라 실리카 인 것 같습니다 :)
Si, 규소 (그림의 원 그래프에 나온거), 실리카 모두 같은말이구요, 산화규소는 우리가 흔히 아는 모래의 주성분입니다.
산화규소는 유리의 성분이기도 하고, 세라믹 성분이기도 합니다.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