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 달의 신비한 사실들.jpg
게시물ID : mystery_705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루리웹괴담러
추천 : 102
조회수 : 12935회
댓글수 : 73개
등록시간 : 2015/11/20 22:12:27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zubi6


달.png



달의 뒷편.jpg


달의 뒷편은 미스테리입니다

달은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지상의 우리는 오랫동안 
달의 앞면만 볼 수 있었습니다.
인류가 우주선을 타고 
달의 뒷편을 관측하기 시작한 것은
바로 최근부터입니다.

조석간만현상.gif


지구의 조석간만현상은
달이 범인입니다

지구가 달을 끌어당기는 힘과 마찬가지로
달 또한 지구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지구의 바다에는 밀물과 썰물이 존재합니다.

후손들중 절반.jpg


후손들중 절반은 이제 더이상 
달을 볼 수 없습니다

먼 훗날 달의 기조력 때문에
지구의 자전속도가 천천히 느려지면
달의 공전주기와 
지구의 자전주기가 일치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지구와 달은 항상
얼굴을 마주보며 빙글빙글 돌고
밤하늘에서 달을 보려면 지구의
'앞면'으로 날아가야만 볼 수 있습니다.

달은 지구를 떠나는중.jpg


달은 지구를 떠나고 있습니다

1년에 3.8cm씩 달은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500억년후에 달은 지구를 현재처럼
 27.3일마다 공전하는 것이 아니라
훨씬 더 느린 47일마다 공전하게 됩니다.

달에서의 덩크슛.jpg


달에 가면 누구나 
덩크슛이 가능합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1/6정도이기 때문에
작성자 같은 루저도 
덩크슛이 가능한 천국이 바로 달입니다.

달의 대기.jpg


달에는 대기가 없습니다

대기가 없기 때문에 달은 태양풍에 
무방비로 노출되어있습니다.
소리도 없고 하늘은 언제나 새카만 검은 색이죠.

월진.gif


달에도 지진이 존재합니다

달의 지진은 '월진'이라 부릅니다.
대부분 지구가 중력으로 달을 괴롭힐 때 일어나는데
한번 발생에 수십분간 지속됩니다.
과학자들은 달의 내부에 지구와 같은
녹아있는 핵이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달 핵폭발.png


미국은 달에 핵폭탄을 터트리려 했습니다

1950년대 냉전당시 미국은
'달 비행연구 계획(프로젝트 A119)'을 세우고
달에서의 핵실험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당시 우주개발에서 소련에게 뒤쳐진 나머지 
초조해서 그랬다는군요.

달 쓰레기.jpg


달에도 쓰레기가 있습니다

달 표면에는 인류가 탐사를 하며 남겨둔
약 18톤의 쓰레기가 존재합니다.
대부분은 과학기자재나 달 탐사차, 탐사선등이지만
진짜 '쓰레기'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똥 컨테이너'처럼 말이죠

달먼지.jpg


달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먼지'입니다

달의 먼지는 밀가루처럼 매우 곱지만
우주인의 신발에 묻거나 해서 
우주선 내부로 유입되면
심각한 기계고장을 유발하거나
심지어 우주인이 들이마시고
달먼지 알러지를 앓아서
나사가 '달먼지'때문에
무척 고생했다고 합니다.

Full-Moon.jpg


달은 숙면의 적입니다

과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만월이 뜨는 밤에 특히 숙면을 취하기가
불가능에 가깝다고 합니다.

두개의 달.jpg


달은 원래 2개였습니다

44억년전 달 지름의 1/3정도 되는 작은 달이
옆에 같이 있었지만 서로 충돌하였고
지금의 달이 되었다고 합니다



여러분의 추천이 마지막편을 보장합니다 :)
출처 http://space-facts.com/the-moon/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76/n7358/full/nature10289.html
http://listverse.com/2013/12/04/10-strange-secrets-of-the-moon/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5-11-20 22:23:59추천 0
첫댓이라니 행복하다
댓글 0개 ▲
2015-11-20 22:26:24추천 1
오예~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11-20 22:30:33추천 0
흥미로운 글이네요! 처음안 사실들이 많아요! 이용기록 때문에 추천을 드릴수가없어요ㅜㅜ
댓글 1개 ▲
2015-11-20 22:30:59추천 0/4
처음안>처음알게된
[본인삭제]레몬립밤
2015-11-20 22:30:41추천 76
댓글 0개 ▲
2015-11-20 22:30:57추천 1
만월의 밤이 항상 소재로 마오는 이유가 이거였군요 허호
댓글 0개 ▲
2015-11-20 22:31:36추천 5
헉 벌써 마지막편이라니 ㅠㅠ
댓글 0개 ▲
[본인삭제]샹그렐라
2015-11-20 22:33:08추천 1
댓글 0개 ▲
2015-11-20 22:33:30추천 0
추천드려요
댓글 0개 ▲
[본인삭제]복숭아씨
2015-11-20 22:38:30추천 1
댓글 9개 ▲
2015-11-20 22:42:34추천 2
현재는 달이 밤에만 뜨기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달을 볼 수 있지만

먼 미래에서는 지구의 절반은 달이 낮에떠서 보이지가 않게된다는 소리 같네요
2015-11-20 22:45:57추천 8
간단하게 달이 한국만 바라보면서 지구가 자전할때 같은 속도로 공전하여서 한쪽에서 24시간 떠있는겁니다
2015-11-20 23:33:07추천 11
예를 들어서 남십자성 같은 별자리는 북반구에서는 절대 안보이잖아요? 달도 그렇게 된다는 뜻입니다. 먼 미래에는
2015-11-20 23:55:54추천 0
지금 막 태어난 사람까지 합쳐서 절반은 달을 보지 못한다는건지?

절반이라는 말 뜻을 잘 모르겠어요
2015-11-20 23:59:39추천 1
반쪽은 달을 볼수 있고 (밤에만 뜨니)
반쪽은 달을 볼 수 없으니 (낮에만 뜨니)

절반이란 뜻인것 같아요
2015-11-21 00:03:28추천 11
수적으로 절반이 아니라 지구 면적으로 절반이요~
2015-11-21 09:44:55추천 0
그냥 반은 보이고 반은 못본다는건가
2015-11-21 10:39:55추천 1
지구의 자전주기와 달의 공전주기가 일치해서
지구의 한쪽면에서만 항상 달이 떠있고, 반대편에서는 달이 항상 없다는 얘기입니다.

달을 해로 바꿔서 얘기하자면 지구의 한쪽 면은 항상 낮이고, 반대쪽 면은 항상 밤인셈이지요

그래서 지구면적의 절반에 살고있을 우리 후손의 절반만이 달을 볼 수 있다는겁니다
2015-11-21 12:09:42추천 2
지금은 지구가 달의 공전속도(27.3일) 보다 빠르게(1일) 자전을 하기 때문에
지구가 돌면서 모든 지구인들이 달을 볼 수 있지만

달의 공전주기와 지구의 자전주기가 언젠가는 일치하게 되고, 그러면 달은 항상 한국 위에만 떠 있게 됩니다.(달이 한국 위에 있다면..)
그러면 한국 반대편의 지구인들은 밤에도 달을 볼 수 없게 되죠.
2015-11-20 22:44:12추천 0
다음편이 마지막인가요.. 항상 재밌게 봤습니다.
지금 추천을 하고 싶은데 ㅜㅜ 이 컴퓨터로 접속하는게 처음이라서 추천을 못하네요
마음만은 전해지기를...ㅜㅜ
댓글 0개 ▲
2015-11-20 22:45:24추천 0
헉 벌써 다음이 마지막 편인가요 아쉽아쉽 ㅠㅠ
댓글 0개 ▲
2015-11-20 22:51:47추천 0
마지막편 하지마루요 ㅠㅠㅠ
댓글 0개 ▲
[본인삭제]마포대교
2015-11-20 22:55:26추천 4
댓글 1개 ▲
[본인삭제]마포대교
2015-11-20 22:56:27추천 0
2015-11-20 23:01:29추천 0
마지막편이라니ㅠㅠ
추천 안할꺼양 ㅠㅠㅜㅠㅜ
가지마루욧 ㅠㅠㅜㅜ
댓글 0개 ▲
2015-11-20 23:02:27추천 2
왠지 마지막편은 태양이될것같다
댓글 0개 ▲
2015-11-20 23:16:26추천 0
헐 다음이 마지막편!?
우주 시리즈 좋았는데 아쉽네요ㅜㅜ
댓글 0개 ▲
2015-11-20 23:18:26추천 1
달 편에서
브금은 이게 될줄 알았는데.. https://youtu.be/tWsRSSDnY08

그래도 너무 좋아요.
댓글 0개 ▲
2015-11-20 23:25:43추천 0
앙대ㅜㅠ 마지막편이라니ㅠㅠ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11-20 23:34:14추천 10
와 달이 두개였었다니!!! 판타지 소설에서 나오는 그 달인가!
댓글 2개 ▲
2015-11-20 23:48:58추천 0
루미너스랑...머 이런거요?? 저도 이런거 생각함 ㅋㅌ
2015-11-21 00:18:06추천 0
셀레나였던가요??ㅎㄷㄷ
드래곤 라자 오랜만이네요 ㅎㄷㄷ
2015-11-20 23:34:44추천 0
아니 벌써! 다음이 마지막편이라니?????
댓글 0개 ▲
2015-11-20 23:38:27추천 3
다음편이 마지막이 아니게 하기 위해 추천을 안하겠습니다.
댓글 1개 ▲
2015-11-20 23:41:56추천 38
다음편이 '태양계 시리즈'의 마지막편은 맞습니다.
2015-11-20 23:39:15추천 1
질문하나 해도 될까요??
조석간만의 차가 달의 인력때문이라고 하면서 나온 사진에서요..
달쪽으로 바닷물이 끌리고,
옆쪽으로는 상대적으로 바닷물이 얕아지는것 까진 알겠는데,,
달쪽이 아니라 그 반대편은 왜 바닷물이 더 깊어지는 건가요???
너무 궁금하네요....^^;;
댓글 1개 ▲
2015-11-20 23:48:21추천 4
반대편은 오히려 중력이 적어져서 평소보다 중력이 더 약하기 때문에 물이 지구를 벗어나기 위해 만조가 되는것입니다. 원심력을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될수도 있겠네요.
2015-11-20 23:40:30추천 12
약간의 수정을해드리면, 달에는 대기가 있습니다.
너무 소량이여서 태양풍을 막을 수 없고, 지구나 화성같이 바람이나 기상현상을 일으킬 수 없지만, 없지는 않습니다.
달의 공기는 He4, Ne20, 수소, Ar40, Ne22, Ar36,메탄,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의 순으로 많이 존재하며, 달표면에서 1입방cm당 약 20만개의 입자가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나사에서 8월 즘에 발표한 새로운 발표에 따르면, 달의 대기에 네온이 발견되었다고 나사에서 발표했었으니 달에는 대기가 미약하지만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
[본인삭제]나른한오후..
2015-11-20 23:40:54추천 0
댓글 0개 ▲
2015-11-20 23:43:42추천 0
저 죄송한데요
달의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이라는 부분이
달 표면기준이 아니라 예전에 우주선에서 달 주변을 돌때 ㅌ측정한것이라고 정확히는 6분의 1이 아니라고 하던데...어떤게 맞는건가요?
댓글 0개 ▲
2015-11-20 23:44:57추천 0
말없이 추천만 하다가 댓글 남겨요~
마지막편 하지마요..ㅠㅠ
태양계 끝났으면 우주에 관한 다른것들이라도ㅜ해줘요~~
시간 날때마다 천천히...
기다릴께요..ㅠㅠ
댓글 2개 ▲
2015-11-20 23:49:57추천 10
우주는 넓죠.
태양계 시리즈 다음은 아직 미정입니다.
2015-11-21 10:08:04추천 1
오빠 미정이가 누구야??
2015-11-20 23:54:37추천 0
더더더 올려주세용 ㅠㅠㅠ
댓글 0개 ▲
2015-11-20 23:56:08추천 3
https://youtu.be/OnQg0xn78q0
배경음악으로 달빛천사... 응?
댓글 0개 ▲
2015-11-20 23:57:05추천 0
다음편은 천왕성인가요??ㅜ가지마요ㅠㅠㅠㅠㅠ
댓글 0개 ▲
2015-11-21 00:01:15추천 5
매년 3.8센티씩 멀어지는거면 몇십년전, 수백년전에는 달이 훨씬 더 크고 밝았었겠군요. 아.. 한번 보고싶다.
댓글 1개 ▲
2015-11-21 05:29:36추천 10
해발 천미터 짜리 산에 올라가서 보면 약 2만6천년 전 달의 크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20층 짜리 아파트 옥상에만 올라가도 약 천오백년전 달의 크기를 느낄 수 있겠네요.

아니 제자리에서 점프만 해도 10년전 달의 크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2015-11-21 00:04:18추천 0
마지막편이라니 ㅠㅠㅠㅠㅜ 더 해주세요 ㅠㅠㅠㅜ
댓글 0개 ▲
[본인삭제]푸름허늘
2015-11-21 00:05:55추천 2
댓글 0개 ▲
2015-11-21 00:11:23추천 0
조석 간만 이라구요?
댓글 1개 ▲
[본인삭제]프로앵거러
2015-11-21 03:23:07추천 1
2015-11-21 00:15:42추천 1/3
요약:작성자는 루저다.
댓글 0개 ▲
2015-11-21 00:21:17추천 0
다음은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나 카이퍼 벨트.. 소행성대.. 오르트 성운 정도 순으로 가면 좋을듯 해요..
댓글 0개 ▲
2015-11-21 00:22:00추천 0
달이 두개라... 라데카와 이웨카가 떠오르네요.
댓글 0개 ▲
[본인삭제]빽똔
2015-11-21 00:25:24추천 1
댓글 0개 ▲
2015-11-21 00:27:19추천 0
달이 두 개라... 부딪쳤는데 다른 한 쪽은 어찌된건가요???? 튕겨져 나갔다던가 산산히 부서졌다던가 그런건가요??
부서졌다면 지구인력안에 둥둥 떠다닌다거나... 파편이라도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달에 안착할 정도로 작았을라나요? 달이 젤리도 아닌데 둘이 뭉쳐져서 합쳐졌을리도 없을테고.... 궁금해요오!!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가요?
댓글 0개 ▲
2015-11-21 00:28:19추천 0
태양 남은건가.. ㅠㅠ
댓글 0개 ▲
2015-11-21 00:30:13추천 0
작성자에게 추리를 틀어서 시리즈를 더뽑아내자!!
댓글 0개 ▲
[본인삭제]유아인
2015-11-21 00:31:29추천 0
댓글 0개 ▲
2015-11-21 00:33:16추천 0
달이 2개 였다니 ㄷㄷ와 보고싶다
댓글 0개 ▲
[본인삭제]땅콩멘탈
2015-11-21 00:33:19추천 0
댓글 0개 ▲
2015-11-21 00:48:52추천 0
마지막이라니ㅜㅜㅜㅜ
계속 써줘요ㅜㅜㅜㅜ
댓글 0개 ▲
2015-11-21 00:55:56추천 1
이 브금.. 에스카플로네 에 나왓던 건가.. 왜케 낮익지..
댓글 1개 ▲
2015-11-21 06:46:02추천 2
에스카플로네 ost가 맞으니까 낮익은 거죠 ㅇㅅㅇ!
2015-11-21 01:01:16추천 0
어디보자.. 이제 천왕성, 명왕성, 소혹성대, 태양...... 그리고 혜성편도 나오려나?

마치 미드보면서 지금 시즌 남은게 몇 편이려나 하는 아쉬운 느낌이네. ㅋㅋ
댓글 0개 ▲
2015-11-21 01:18:28추천 8
ㅎㅎㅎ 500억년 후 달의 공전주기를 걱정하기보다
당장 100억년 뒤에 태양이 적색거성이 되는데..
댓글 0개 ▲
2015-11-21 01:44:18추천 0
게임이나 소설에서 달이 두개라는 설정이 종종 나오는데 그냥 설정이겠지 했는데.....
진짜 두개였던적이 있구나....
댓글 0개 ▲
2015-11-21 02:03:32추천 0
판타지 세계관에선 달이 엄청나게 크게 보이는데(보름달보다 지름이 열 배도 더 될 것 같은) 달도 지구가 가지기에는 굉장히 큰 편이니 크기 자체가 늘어나긴 어려울 것 같고. 그렇다고 지구랑 가까이 붙이자니 조수간만의 차가 미쳐 날뛰어서 인류가 바다에 진출하기는커녕 해안가에서 사는 것도 불가능하겠군요...
댓글 0개 ▲
2015-11-21 02:05:27추천 0
한편 달에서 지구를 보면 지평선 따라 지출. 지몰이 일어나는 게 아니라 서 있는 위치에 따라 지구는 하늘의 한 점에 고정되어 있을 거에요.
원래 위성들은 모행성의 영향을 받아서 결국 한쪽 면만을 향하게 되니까요.
댓글 0개 ▲
2015-11-21 02:17:30추천 0
용의 언어라니 브금이 적절하네요
댓글 0개 ▲
2015-11-21 02:27:19추천 0
.
댓글 0개 ▲
2015-11-21 03:18:30추천 0
저도 만월엔 숙면이 불가능한 이유가 알고싶네요
댓글 1개 ▲
2015-11-21 19:54:37추천 0
만월이 되면 바닷물도 끌려가지만, 혈압도 높아져요.
그거 때문에 숙면이 힘들지 않을까 하네요.
2015-11-21 06:39:50추천 0
조석 간만의 차가 달 때문이 아니라는 얘기를 최근에 어디서 봤었는데... 혹시 이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ㅜㅜ 인터넷 찾아봐도 다 달과 관련된 얘기만 나오네요.
댓글 2개 ▲
2015-11-21 12:32:28추천 0
달때문이 맞습니다. 정확히는 달+지구의 자전+물의관성 등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달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입니다. 달이 없이는 조석 간만의차가 발생하지 않거나 매우 미미하게 발생합니디
2015-11-23 22:11:40추천 0
웹툰에서 본 거 같네요
조석간만에 차 ㅎ
2015-11-21 08:10:08추천 0
달이 없어지면 밀물 썰물이 없어진다!
댓글 0개 ▲
2015-11-21 10:39:32추천 1
에스카플로네 브금 ㅠ_ㅠ

이런 류 브금 정말 좋아해요.

달이 두개가 떠 있다면 더 예쁘겠네요.

외계행성 영화 보면  달 여러개 떠 있는거 보고 아름답다 생각했었는데요.

설령 달이 없다 해도 달 없는 밤 하늘을 당연하다 생각하고 있었겠죠.

그래도 달은 지구 및 생명체 입장에서 신의 한수입니다.

유난히 전설도 많고 비록 별 관측에 방해되는 천체이면서도 달이 뜨면 한 없이 아름답죠.

그래도 가장 우리한테 필요한 위성입니다.
댓글 0개 ▲
2015-11-21 14:14:09추천 0
이거 브금 제목이 뭐에요? 예전에 제목도 모르고 한참 들었었는데 오랜만에 들으니까 좋네요 ^^
댓글 1개 ▲
2015-11-21 15:55:13추천 0
에스카플로네 ost중 sora입니다.
2015-11-21 16:48:28추천 0
늘 잘 보고 있어요~
댓글 0개 ▲
[본인삭제]마마무
2015-11-22 02:43:48추천 0
댓글 0개 ▲
2015-11-25 02:41:41추천 0
미국이 달에 핵을 쏟으려 했었다면... 지구에도 영향이 있었을까요 ㄷㄷ
댓글 0개 ▲
2015-12-17 03:00:01추천 0
참으로 에스카플로네의 Sora와 나의지구를지켜워의 시간의 기억은 참으로 멜로디가 비슷하군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