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hHwaDwBudzU 이 영상은 우주의 크기를 대략적으로나마 짐작할 수 있게 해주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좋아하는 영상이에요!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나 태양계가 얼마나 작은 지를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광활한 우주에 인간 외에 다른 생물체가 없다면 오히려 이상하다고 생각해요 ;)
공학계열쪽을 전공했었는데... 과학..특히 물리.. 우주론.. 머 이런데. 좀 관심이 있는편이었는데..
그동안 봐왔던 다큐멘타리나.. 과학잡지보면서.. 개인적 짧은 지식으로 생각해본건데..
지구처럼 생명이 완벽하게 진화할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질 확률은 아주 극히. 정말 극에 가깝다고 생각듭니다.
지구처럼 이런 천해의 조건에서도 단순미생물에서 현재 인류까지 진화하는데 몇십억이 걸렸죠..
생명체가 형성되거나 진화할 수 있는 행성이 될려면.. 짧게는 몇십가지 많게는 수백 수천가지 환경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은하에 몇천억개의 항성.. 행성 소해성.. 등등... 그리고 그런 은하가 또 몇천억개... 있다고 하지만.
크게 봐서도 다들 아시는 내용이지만 최소 생명체가 형성될려면..
에너지원(항성)이 있어야 하고 행성자체에도 에너지원이 있어야하고.. 항성과 적당한 거리에 에너지원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고 최대 영상 100도씨와 영하 100씨를 오고 갈 수 있는..구조.. 그리고 물과 암석이 같이 존재해야하고.. 적당한 중력과 자기장.. 그리고 생명의 진화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사건들(행성이 망하지않을 정도의 적당한 소행성충동) 그리고 행성의 자연환경을 적절히 변화시켜줄 수 있는 위성(달)도 있어야 하고.. 크게 이 정도만 나열하겠습니다.
크게 이정도 확률의 별을 찾는것도 지구 몇백광년안에는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 생각으로는....이 우주에 미생물처럼 생물 자체가 있을 확률은.. 0.1% 미생물에서 발달해서 고등생물이 있을 확률은 0.1%중에 0.01% 그리고 지적인 생물체가 있을 확률은 0.1%중에 0.01%중에 0.001% 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확률은 로또 뽑기식확률(확률이 극악이라도 1등이나오는 확률) 이 아니라.. 거의 극에 가까운 확률입니다.
그래도 0.000001% 라고 생각하는건...
혹시 몰라서라든지 제 짧은 지식이라든지.. 또는 인간외의 지적 생명체존재가 있었으면 하는 희망이라던지.. 이런거구요..
은하를 구성하는 별의 갯수는 약 수천억개에서 수조개 까지 라고 합니다 우리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도 마찬가지구요 우리 은하계내에서 지구가 속해있는 태양계는 우리은하의 점 수준 밖에 안되죠 다른 태양계가 셀수없을정도로 많고 지구랑 비슷한 환경의 글리제 같은 행성도 빛의속도로 몇십년을 가야하는데 거기도 우리 은하입니다
글리제 같은 골디락스 행성 이 현재 학자들 사이에 알려진 것만600여개라고 합니다 골디락스행성이란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살수있는 조건을 지닌 행성인데 그게 알수있는 범위 에서만600여개라는 거라네요
그렇게 범위를 넓혀 우리은하 전체로 보면 골디락스 행성은 수는 최소 수천만개 혹은 억단위로 볼수있답니다
우리 은하에서만 생명체가 살수 있는 행성갯수가 저정도 숫자인데 우주엔 이런 은하가 수천억개이상이라고합니다
그럼 골디락스행성의 숫자는 이젠 셀수도 없는거죠
이제 학계정설은 외계 생명체 (지적 생명체 포함) 존재 가 없다는걸 증명하는게 있다는걸 증명하는거보다 어려운 것이라는걸로 바뀌어 가고 있는 중이라고하네요
과연 우주의 나이가 140억년 일까요? 그것마저 우리 인간은 확정지을수 없는데 모든 가능성과 모든 불가능성은 항상 어느정도의 비율로 오르락 내리락 하는 상태가 최선이 아닐까 하네요 ..단지 저는 우리 인류와 같은 .. 또는 더 문명화된 생명체가 있을것이라 생각하고 그리 믿고 싶을 뿐입니다.
우주가 의외로 지적생명체가 나타나기엔 어린 상태이기때문에 우리가 고대인류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뭐 물론 어딘가엔 생명체라 불리우는건 있을수 있지만 우주를 인식하기 시작한 지적생명체는 이 넓은 우주에서 우리가 최초일수 있다는거죠..
그리고 인류가 등장한지도 사실 우주의 역사에 비하면 굉장히 짧기때문에 이 우주에 지적생명체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이 수천개가 되더라도 그 수천개의 행성중 지적생명체가 살고있는 시기가 우리와 곂칠 확률이 매우 적죠. 만에 하나 곂치더라도 갈수도 없고, 관측할수도 없고.. 관측한다 하더라도 거기까지 가는동안 멸종할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외계의 지적생명체를 확인하거나 만날수있는 가능성은 매우 적을겁니다..
전 있을거 같아요... 그치만 문명의 발달 차이가 우리가 생각하는 고차원도 있을수도 있겠지만,, 훨씬 더 저차원들도 있을거라 생각해요.. 단순하게 외계인. 비행물체 등등 고차원으로만 생각할게 아니라 그냥 1,000,000 별중에 하나 생명체가 살수있다고 해도 확률적으로 충분히 가능성은 있다고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