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죽음의 바다 아랄 해
게시물ID : mystery_715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gerrard
추천 : 23
조회수 : 14033회
댓글수 : 12개
등록시간 : 2015/12/10 11:34:30
옵션
  • 펌글
718811_1 (1).jpg

년도별 비교한 아랄 해의 모습 .. 

 

718811_2.jpg

현재의 모습.. 


 
718811_3.jpg

년도별 그래프.. 통계 

 

718811_4.jpg

한때 세계에서 4번째로 커다란 내해였던 곳.... 

1960년대까지만 해도 그 면적은 무려 68,000㎢ .. 

 

718811_5.jpg

한때는 풍부하던 철갑상어. 잉어. 돌잉어. 유럽잉어를 비롯한 어류들이 멸종했고, 

이에 따라 아랄 해 연안어업은 폐업상태가 됐다. 

아랄 해가 말라감에 따라 겨울은 훨씬 혹독하게 추워졌고, 여름은 더욱 더워지는 등 주변지역의 기후변화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718811_6.jpg

6일간 이곳의 방문을 마친 반기문 사무총장은 

"세계에서 유래를 볼 수 없는 최악의 환경재해로 매우 충격적 " 이라며

"세계 지도자들과 마주앉아 속히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 " 이라고 밝혔었다 . 


 
718811_7.jpg

완전 배의 무덤 같은 곳이 되어버린 이곳.. 





가끔 올라오는 소스긴 한데 다시 한 번 올려봅니다. 
출처 루리웹 중복의명인 님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community/327/read?bbsId=G005&itemId=145&articleId=17820028
출처
보완
2015-12-10 13:54:47
0
와~ 이런곳이 있었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출처
보완
2015-12-10 15:19:38
0
우왕..여기에 글쓰면 흑역사가되겠징?
출처
보완
2015-12-10 15:31:27
0
신기
출처
보완
2015-12-11 01:35:02
0
읭?
출처
보완
2015-12-13 02:00:39
0
머지 나도 해볼까?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본인삭제]듣고싶은그말들
2015-12-10 14:01:25추천 18
댓글 1개 ▲
2015-12-10 14:42:46추천 3
설명 감사드려요~!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12-10 14:42:28추천 21
이게 이렇게 된 원인이 러시아에서 댐을 막아서 물 유입량이 줄어들어서 그렇게 된거였던가요?

그래서 지금 복구작업중이고 예상외로 복구가 빨리 될 것 같다고 하더군요.

한 22세기쯤엔 복구가 될거라고 합니다.................................................
댓글 2개 ▲
2015-12-10 14:49:39추천 1
그래도 복구가 되긴하는 거군요...
2015-12-10 15:59:11추천 2
네. 되긴 하는군요. 우리 다 죽은 다음에...
2015-12-10 14:45:01추천 7
1960년경부터 소련 정부는 아무다리야강 ·시르다리야강의 물을 이용하여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지의 광대한 땅을 관개농지로 바꾸었다. 이로 인해 아랄해로 흘러드는 강물의 양이 대폭 줄어, 호수의 물은 염분과 광물질 함유량이 급속히 늘어나 음료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예전에 풍부했던 철갑상어 ·잉어 ·유럽잉어 등의 어류가 멸종 위기에 놓여 연안어업은 폐업상태가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랄해 [Aral Sea, ─海] (두산백과)
댓글 0개 ▲
2015-12-10 15:13:18추천 29
이거 몇 년 전에 대충 말했다 반대 오지게 퍼먹고 설명 자세하게 한 기억이 있는데....
소비에트가 싸지른 대대적인 환경재앙 중 하나입니다. 아랄 해로 유입되는 강물을 평원의 관개농지로 돌렸다 카스피 해 유량 감소 -> 카스피 해 규모 축소 -> 증발하는 수증기 양 감소로 인한 유량 감소+ 인근 최저,최고온도 편차 상승+ 카스피 해 농도 상승 -> 물 순환 깨짐+ 기후환경 변동+증발된 아랄해에서 염분이 관개농지로 침투(바람으로 인해 염분이 날아감) ->관개 농지는 물론이고 주변의 환경까지 전부 개박살남 의 순서로 아작이 난 곳으로 유명합니다.

웃기는 건 저게 하루이틀 만에 벌어진 일이 아니고, 인공적인 환경 제어의 대실패사례로 자주 거론되는 일입니다. 반기문 저 양반이 6일간 살펴보고 어쩌고 하고 나발이고 할 것 없이 굉장히 유명한 장소다 이거죠. 한마디로 개쑈를 하고 있는 거임. 세계 지도자들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기는 개뿔, 저거 돌려놓는 방법은 세계 지도자고 지랄이고 그냥 관개농지에 돌리던 물을 모조리 아랄해로 다시 돌려놓는 거 말곤 답이 없습니다. 그럼 천천히 원상태로 복구가 되겠죠. 그냥 쑈에요.

헌데 이런 인간이 함부로 건드렸다 탄생한 환경재앙을 '미스테리'라고 분류하는 시선 자체가 좀 껄끄럽습니다. 자연을 함부로 건들이다 인간 손에 작살이 나는 건 어디까지나 인간의 무지와 오만, 탐욕이 불러온 재앙이지 신비하다던가 미지의 영역은 아니잖습니까.
댓글 5개 ▲
2015-12-10 17:32:43추천 5
동방의 어떤 나라도 4대강인가 4대바다인가를 쓸데없이 건드려서 문제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2015-12-10 20:38:57추천 11
말 나온김에,

지금 반기문이 비웃음 받는  이유가.... 실제로 하는 거 없이
걍 돌아다니며 "매우 걱정스럽다."란 말만 읇어대고 있다는 것이죠.

지구상에서 가장 비싼 연봉을 가장 쉽게 벌어들이는 사람이라고 빈정거림 당하고 있으니..

2015-12-11 05:09:10추천 3
우리나라서 흔히보는 공뭔 아저씨 스타일대로 un사무총장을 하고계시죠 ㅋㅋ

Un을 한국화하는중~
2015-12-12 03:51:27추천 2
이 짓을 또하려고 한국으로 온다죠.... 반드시 막아야;;;;
2015-12-14 13:14:04추천 1
전임 코피 아난이 강대국들에게 넘 피곤하게 굴어서 입만 나불거리고  다루기 좋은 인물로 앉힌 걸로 알아요.
2015-12-13 13:39:24추천 0
기승전폭망한 대표적 인물.... 나두하것다.....ㅋㅋㅋㅋ....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