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 알파 센타우리의 신비한 사실들.jpg
게시물ID : mystery_71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루리웹괴담러
추천 : 51
조회수 : 13803회
댓글수 : 41개
등록시간 : 2015/12/23 20:49:47


알파센타우리.jpeg


알파센타우리


Alpha,_Beta_and_Proxima_Centauri.jpg


알파센타우리는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계입니다

알파센타우리는 태양계에서
고작 4.37광년 떨어져있습니다.


케이론.jpeg


알파 센타우리는
고대 신화의 영웅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켄타우로스는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말인 아인종입니다.
켄타우로스 자리는 특히
이 아인종중 가장 유명한 영웅인
케이론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원래 켄타우로스 종족은 야성적이고 거칠기로 유명하지만
케이론만은 고대신인 티탄의 피를 이어받고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로부터 교육을 받아
그리스신화에서 가장 유명한 현자로 추앙받는 영웅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거의 모든 유명한 그리스신화의 영웅들은
전부 케이론이 길러낸 인재들입니다.

사실 3연성.png


알파 센타우리는
사실 3연성계입니다

알파 센타우리의 빛은 밤하늘에서 3번째로 밝지만
사실 더 크고 밝은 알파 센타우리 A와
상대적으로 작고 어두운 알파 센타우리 B로
이루어진 2연성계와
좀 더 멀리에서 같이 돌고 있는
적색왜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서로 중력으로 얽혀있으며
만약 알파 센타우리의 행성에 외계인이 존재한다면
그 외계인은 아주 밝은 햇님과 훨씬 어두운 햇님
그리고 아주 희미한 햇님
총 3개의 햇님을 볼 수 있습니다.
단지 지구에서는 너무 먼 거리때문에
3개의 별빛이 하나로 보일 뿐입니다. 

각기 다른 종류.jpg


알파 센타우리의 별은
전부 각기 다른 종류입니다

알파 센타우리 A는 우리 태양과 같은 노란 항성입니다.
알파 센타우리 B는 오렌지색 항성입니다.
그리고 가장 작은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적색 왜성으로서 태양크기의 약 1/7수준입니다.
이들 3개의 별의 나이는 태양보다 살짝 더 많은 48억 5천만년입니다.

외계행성.jpg


알파 센타우리에
외계행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때 과학자들은 알파센타우리 B의 별빛이 흔들림을 포착하여
지구랑 쌍둥이로 착각할 만큼 닮은 외계행성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 그곳에 외계행성은 없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합니다.

SIM 티어1.jpg


NASA는 한때 알파 센타우리에
탐사선을 보내려 했습니다

알파센타우리에 지구를 닮은 외계행성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SIM라는 외계행성 탐사계획을 수립하였지만
2010년 예산문제로 취소되었습니다.

209608main_keckart_HI.jpg


사실 연성계는
생각보다 흔합니다

오히려 우주에는
1개의 태양과 여러개의 행성으로
이루어진 태양계 모델보다는
2개 이상의 태양과 적은 수의 행성으로
이루어진 연성계 모델이 훨씬 더 많다고 합니다. 


핵펄스추진.jpg


이론상 알파 센타우리까지
수십년만에 도달할 수 있는 
기술은 이미 존재합니다

그 방법으로는
태양돛
반물질 추진 로켓
핵 펄스 추진 로켓
등이 있습니다.
문제는 실용화,안정화입니다.

우주인이 늙어.jpg


이 두가지 문제만 해결되면
우주비행사가 늙어 죽기전에
알파 센타우리에 도달하는 것도 
꿈만은 아닙니다.

접근.jpg


알파 센타우리는
태양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사실 접근이라는 표현보다는
돌진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할 지도 모릅니다.
무려 초속 22km의 속도로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이죠.
2만 8천년후에는 태양과 3광년 거리까지 가까워진다고 합니다.





출처 http://www.astronomytrek.com/10-interesting-facts-about-alpha-centauri/
http://www.astronation.science/2015/08/10-interesting-facts-about-alpha.html
http://earthsky.org/brightest-stars/alpha-centauri-is-the-nearest-bright-star
https://www.youtube.com/watch?v=qjvKBLbKfhg&index=2&list=PL30DB37ACC3CED3D3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본인삭제]ㅂㅏㅇㅑㅂㅏ
2015-12-23 20:52:50추천 0
댓글 0개 ▲
2015-12-23 21:15:57추천 71

역시 우주는 신비로워..
댓글 2개 ▲
2015-12-24 11:35:39추천 1
귀엽다 ㅎㅎ
2015-12-24 12:21:54추천 3
역시 피카츄는 귀여워..
2015-12-23 22:13:48추천 8
우리가 늘 광년이라는 단위를 자주 써서 그렇지만 실제로 1광년은 정말 엄청난 거리죠..

1광년=9,460,730,472,580.8 km
그러므로 태양계에서 제일 가깝다는 알파 센타우리도 이 거리의 약 4배.
댓글 0개 ▲
2015-12-23 22:30:35추천 14
광년 하도 닳도록 들어서
1광년은 마치 옆동네 마실나가는 정도의
거리란 느낌이 들어요.

귤 하나 까먹으면서 걸어가면 닿는..
넘어지면 코닿을 거리 아닌가요?
댓글 3개 ▲
2015-12-23 23:01:22추천 16
태양계 만한 귤 까 먹으면서 가면 가능해요~~~ ㅋㅋ
2015-12-23 23:26:47추천 6
천문학자들은 아주 통이 큽니다 ㅋ
알파센타우리정도면 옆동네죠
2015-12-24 11:15:43추천 5
1 옆동네가 아니라 키보드의 as와 같은 겁니다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본인삭제]잔크로우
2015-12-23 22:48:27추천 0
댓글 2개 ▲
[본인삭제]흔한노숙자
2015-12-23 23:01:12추천 7
2015-12-23 23:30:54추천 6
1뭘 그걸 주워먹어욧!!!
2015-12-23 23:00:50추천 11

빨리 다음편! (엄격, 진지)
댓글 1개 ▲
2015-12-24 16:56:32추천 8


[본인삭제]우라니보르
2015-12-23 23:01:32추천 1
댓글 2개 ▲
2015-12-23 23:05:58추천 7
알파 센타우리 A,B에서 0.2광년 떨어져있는 프록시마 센타우리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건 사실입니다.
다만 최근 연구결과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알파 센타우리 2연성계가 중력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고 있다는 가설이 점점 더 우세해지기 때문에
2연성계가 아닌 3연성계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합니다.
저는 3연성계 설을 지지하기 때문에 알파센타우리 항성계 안에 프록시마를 추가하였고
프록시마가 포함된 알파 센타우리가 태양계에서 가장 가깝다고 적은 것입니다.
2015-12-23 23:24:13추천 16
다만 위와 같이 상세하게 배경가설을 언급해 놓을 경우
이 글은 신비감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미스테리 게시판이 아니라
팩트와 근거를 중요시하는 과학게시판으로 가야 하기 때문에
적당히 쉬운말로 올려놓습니다.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미스테리 게시판이잖아요 :)
2015-12-24 00:14:57추천 0
전 우주 관련글은 모두 재미있는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5-12-24 01:04:42추천 0
괜히 천문학적이란 말이 있는게 아니죠 ㅋㅋㅋ
댓글 0개 ▲
2015-12-24 01:42:03추천 0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본인삭제]갈라파고스
2015-12-24 02:10:37추천 1
댓글 2개 ▲
2015-12-24 02:18:29추천 0
그렇습니다. 시리우스 또한 시리우스a, 시리우스b 로 이루어진 쌍성계입니다.
2015-12-24 14:10:34추천 0
시리우스가 쌍성으로 보인다는 기록은 망원경 발명 전에도 있었다고 합니다.
다만 쌍성인지 아닌지 학계에서 이야기가 분분하다가 망원경이 발명된뒤 확실히 확인되었습니다.
2015-12-24 02:16:28추천 1
우주관련글은 항상 재미있어요 ㅎ.ㅎ

직접 번역해주시는 수고에 항상 감사드렸지만 추천밖에 잘 안누르게됐는데,

염치없지만, 푹 의욕충전하신뒤 돌아와 새로운글 올리시길 기다리겠습니다. 정말 매편 재밌게봤습니다.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5-12-24 10:16:37추천 0
궁금한게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들이 나란히 돌고있잖아요
그럼 쌍성계는 자전과 공전이 어떻게 되는걸까요??
태양계 행성들 스텝이 단순하다면 쟤들은 훨씬 더 복잡할거같아요!!
댓글 0개 ▲
2015-12-24 10:16:58추천 0
하앍 꿀잼!!!
댓글 0개 ▲
2015-12-24 10:17:55추천 1
돌진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할 지도 모릅니다. 무려 초속 22km의 속도로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이죠.
2만 8천년후에는 태양과 3광년 거리까지 가까워진다고 합니다.


전 이 부분이 왜 어이없게 웃기죠 ㅎㅎㅎ?
댓글 0개 ▲
2015-12-24 10:29:18추천 0
첫 사진에 남십자성 옆이라면 이거 한국에선 못보겠네요;;;
댓글 0개 ▲
2015-12-24 10:38:02추천 2
반물질 추진 로켓
핵 펄스 추진 로켓

이 두가지가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지 않나요?
댓글 2개 ▲
2015-12-24 10:58:29추천 0
이론 상으로는 이미 새로울 것도 없는 기술이며, 실제 현재 기술 레벨로 그리 어렵지 않게 시도해 볼 수 있는 로켓입니다.
들어가는 비용이나 반물질을 제작해서 축적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은 문제가 되겠지만요.
2015-12-24 11:17:04추천 0
이론이 있어서 시도해볼 수 있는 것하고 실제로 사용가능한 기술인가라는 것은 많이 별개라고 봐야할듯 합니다.
로켓 추진 방식에 있어서도 화학 추진, 핵분열 추진, 핵융합 추진, 전자 추진 등등 별별 개념은 다 있지만
현실적으로 사용되는것이 산화제+연료조합으로 사용되는 화학 추진뿐이고, 전자추진이 그나마 실용화에 가깝지요.
다른 예로 요즘 매우 뜨고 있는 멀티로터(드론) 또한 개념은 40년대에 나온 것인데,
근래에 와서 소형으로 많이 시도되고 있지 아직 유인비행할 정도의 기술은 조금 멀었습니다.
2015-12-24 11:14:27추천 0
제 취향 저격이에요 ㅋㅋ 추천~!
댓글 0개 ▲
2015-12-24 11:31:00추천 2
마지막 멘트가 빠진것 같은데
댓글 2개 ▲
2015-12-24 11:36:08추천 3
슬럼프라서
내년에나 다시 올듯 싶습니다.
미안해서 추천구걸은 차마 못하겠더라구요 ㅎㅎ
2015-12-24 12:10:11추천 1
음 그러시다면.. 푹쉬시고..
내년에 힘내서
좋은글 또 올려주세요

2015-12-24 11:37:24추천 5


댓글 0개 ▲
2015-12-24 12:19:43추천 0
영화 아바타에서 나온 행성도 저기
댓글 0개 ▲
2015-12-24 12:46:35추천 0
춫  ~~~~~~~~
댓글 0개 ▲
2015-12-24 12:46:35추천 1
광년이라함은 내가 아는 그년인가
닭년
댓글 0개 ▲
2015-12-24 12:57:35추천 0
좋은글 감사합니다 ㅎㅎ
댓글 0개 ▲
[본인삭제]Lkans
2015-12-24 13:08:46추천 0
댓글 0개 ▲
2015-12-24 13:52:42추천 0
난 왜 알파문구우리은행센터로 봣을까요.
댓글 0개 ▲
2015-12-25 05:57:12추천 0
늘 잘보고잇어용
댓글 0개 ▲
2015-12-25 14:30:33추천 0
저 궁금한계 우주선이 빠른가요 아니면 현존 더 빠른 이동수단이 있나요?
그리고 만약 더 빠른 비행채가 있다면 우주에서 1광년에 거리를 가면 어느정도에 시간이 걸릴까요?
댓글 0개 ▲
2015-12-25 22:10:53추천 0
완전 흥미진진한 님의 글~~~   추! 천!
댓글 0개 ▲
2015-12-30 15:47:35추천 1
헐... 이분 맨날 무슨무슨 신비 하면서 미게에 게시글 자꾸 올리는 그분이네.....
재미있는 글 많이 올려줘서 많이 고맙게 시리...
새해엔 복많이 무병장수 행복가득이나 받으시라지...흥칫뿡!!
댓글 0개 ▲
2016-01-01 18:13:20추천 0
복 많이 받으세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