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영상] 부산외고 수학여행 사고 생존자 김은진 씨의 편지
게시물ID : sewol_2370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R
추천 : 4
조회수 : 101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5/01 11:59:57


 2000년 7월 14일 그는 단발머리를 하고 수학여행을 떠난 여고생이었습니다. 3박 4일 여행을 마치고 부산으로 돌아가던 길에 버스는 빗길에 미끄러져 추락한 뒤 6대의 승용차와 함께 전소했습니다순식간에 번진 화염 속에서 13명의 친구들은 영영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14년이 지나고 부일외국어고 수학여행 버스 참사 생존자인 김은진 씨(30)가 세월호 희생자와 실종자그 친구와 가족들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 온 국민에게 간절히 호소하는 글을 보내왔습니다.

 

저는 2000년 7월 14일 부일외고 수학여행 참사의 생존자 김은진입니다방금 오전에 일 끝내고 인터넷에 접속했더니 (안산 단원고교감선생님의 비보가 제일 먼저 보이네요멀리 타국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만무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뉴스를 보면 마음이 저려오는데그렇다고 귀 닫고눈 감을 수도 없는 일이라서 계속 뉴스만 찾게 됩니다아는 게 없고제가 할 수 있는 일도 없어서구호품을 보내는 것 말고는 무능한 제가 이러쿵저러쿵 얘기하기도 죄스러워서 아픈 마음만 부여잡고좋은 소식이 들려오길 바라고 있습니다.

 

지금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이 겪고 있을 참담한 사건과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고 감히 언급할 수도 없지만 그래도 유사한 고통을 아주 오래전에 그들 나이에 제가 겪었고차후 몇 년 몇 십 년 동안어쩌면 살아 숨 쉬는 평생이라는 기간 동안 그들이 견뎌야 할 고통의 무게를 제가 약소하나마 공유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그래서 한마디만 올립니다.

 

살아 있는 사람도 돌봐 주세요. 간절히 부탁드립니다생존자가 살아남았기 때문에 견뎌야 하는 처벌이 죄책감입니다. 내가 보내지 않았다면내가 가지 말라고 붙잡았더라면이 지긋지긋한 만약에라는 가정(假定)이 평생을 따라다니면서 가슴팍을 짓누르며 숨도 쉴 여지를 주지 않습니다.

 

오래전저도 단발을 하고 교복을 입던 그날수학여행을 갔다 돌아오는 길에 사고를 당했습니다고속도로 위를 달리던 버스들이 연쇄 추돌사고를 냈고화염에 휩싸인 친구들을 구해낼 수 없었습니다배 아파 낳은 자식의 사망 소식 뒤에 살아남은 부모들이 견뎌야 했던 처벌은 우울증과 이혼이었습니다스스로를 탓하고배우자를 책망하다결국 사망자 부모님 대부분이 이혼 또는 별거를 했고조부모님들은 손자손녀 사고 후 3년 사이로 많이들 돌아가셨습니다.사건이 발생한 후 시간이 지나면 사람들에게 잊혀지겠지요하지만 당사자 가족들이 겪어야 할 후폭풍은 시간이 흐르고세월이 바뀌어도 잠잠해지지 않습니다동생과 언니 오빠를 잃은 형과 아우들은 외로울 겁니다고통스러워하는 부모님을 볼 때마다 함께 슬픔에 잠기기도 하고감정이 격해지면 내가 대신 죽었어야 엄마 아빠 마음이 덜 아팠겠지” 하며 어린 나이에 충분히 받지 못한 관심과 사랑이 그리울 겁니다모든 당사자에게 이런 참사는 처음이라 서로에게 실수를 할 거예요근데 모두가 취약한 상태라 평소라면 아무것도 아닌 말과 행동들이 비수가 되어 뇌리에 박힐 겁니다.

 

분노의 방향이 아직 외부일 때 전문가의 도움이 시작되어야 합니다타인에게 화를 내는 건 그 지속 기간이 매우 짧습니다정신없는 두어 달의 기간이 지나고외부에 분노하고 항의해도 어쩔 수 없음을 인식할 때 화의 방향이 내부로 향하게 됩니다분노할 땐 소리라도 치고머릿속에 있는 이야기를 합니다만스스로 책망하기 시작할 때부터는 입을 열지 않고말도 안 되는 이유로 스스로를 괴롭히다 (보내지 말았어야 했는데단원고로 진학하게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안산으로 이사하지 말았어야 했는데살아도 당신의 삶이 아닌 삶을 살게 됩니다.

 

목숨을 부지한 친구들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 데에는 피해 가족이 받는 고통에 비할 바는 아니겠지만 그래도 아주 기나긴 시간이 소요됩니다많이 울 거예요저처럼 술을 많이 마셔 위 천공이 생길지도간헐적으로 생기는 행복감에도 혼자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기쁨을 온전히 만끽하지도 못합니다죄책감이 가져다주는 잔인하고 고통스러운 여정이 친구들 앞에 놓여 있습니다.

 

아침 햇살을 받아 반짝반짝 빛나는 바다를 보고도 공포를 떠올려야 하고안내방송이 나오면 건물 밖으로 뛰어나갈지 모릅니다제주도 땅은 평생 밟아 볼 수 없을지도 모르고요살아남은 급우들끼리도 서로를 피할 겁니다만나면 생각나거든요많은 단원고 학생이 자퇴를 할 겁니다살아남은 제가 그랬듯 제 친구들이 그랬듯 말입니다거대한 자연에 대항할 수 없는 본인의 무능력함을 앞으로 그들이 진출해야 할 사회 모든 전반에 적용할지 모릅니다매년 4월 16일이 되면 평소보다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아이들과 가족들이 있을 겁니다한국이 만들어낸 인재입니다모른 체하지 말아주세요.

 

사회에 부탁하고 싶습니다사건사고가 잊혀졌다고당사자도 괜찮을 거라 어림짐작하지 말아주세요지금껏 안부를 여쭙는 제 친구 부모님들은 여전히 아파합니다세월호 사고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족도 꼭 사회가 알아주세요오래전에 발생한 제 사고가 있던 시절은 사람들이 무지해서 어느 누구도 정신건강의학과 치료가 필요할 거라고 얘기해주지 않았습니다피해자 가족들 주위에 계신 분들이 꼭 힘이 되어 주세요잠이 오지 않는다 하면가슴이 답답하다 하면머리가 아프다 하면, 2014년이 흐르고 흘러 2024년이 되어도 꼭 손을 잡고 함께 울어주세요보듬어 주세요그리고 전문가를 찾아 주세요.

 

저는사고를 당했으니 아픈 게 당연하고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괜찮아 질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시간이 흘러도 절대 잊혀지지 않는 일들이 있습니다피가 나고 아물고 딱지가 되어 떨어져 나갔는데 그 흉터가 그대로 남아볼 때마다 열일곱 살 어린 내가그리고 이젠 들을 수도 볼 수도 없는 내 친구들이 불쌍해서 눈물이 납니다치솟는 불길의 잔상이 망막에 맺히고검은 연기가 친구 입에서 뿜어져 나오는 모습이 여전히 어제 일처럼 식은땀이 납니다아스팔트 위에 누워 구급차를 기다리며 하염없이 울기만 하던 나는 내 나이의 앞자리가 두 번이나 바뀌었는데도 그 누구 하나 지켜줄 수 없는 지금의 나에게도 화가 납니다.

 

이별의 원인을 찾으려고 할 겁니다대한민국이 잘못을 했고여객선이 잘못을 했고선장이 잘못했다 탓할 겁니다바뀌는 게 없을 겁니다아프기만 할 겁니다책망할 원인을 찾다 찾다 결국에는 본인에게 귀인할 겁니다바다에 뛰어들지 못한 부모님들은 시간이 지나고, ‘진짜’ 뛰어들지 않았음에 괴로워하고 당신의 몸뚱이를 손바닥으로 주먹으로 칠 겁니다그러지 않게 해주세요살아남은 아이들은 친구들을 데려 나오지 않았음에 자신은 평생 선한 존재가 될 수 없다고 확정 지어 버릴 거예요. 내가 무언가를 이루고칭찬 받을 일을축하 받을 일을 이루어도나는 나만 도망친 비겁자라는 전제를 떨쳐버릴 수 없을 겁니다그러지 않게 해주세요내가 7월이 되면 스스로에게 벌을 주듯많은 아이들이 4월이 되면 봄을 즐길 수가 없을 겁니다.

 

대한민국이 잘못했다꼭 고개 숙여 사과해주세요외부를 탓할 때거기서 멈추게 해주세요책임자들이 책임을 피하면결국 남은 건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내 잘못뿐입니다생존자들과 남은 가족들이 절대 자신을 탓하게 하지 말아주세요.

 

유튜브를 통해 학부모님들과 생전 제 할머니를 연상시키는 한 할머님의 울음소리를 들었고일 하다 말고 화장실로 뛰어가 아주 펑펑 울고 말았습니다그 소리치듯 우는 소리의 진동은 제게 있어 가장 잔혹했던 여름날의 악몽을 떠올리게 합니다진동은 제 온 피부를 덮고가시처럼 파고들어 가슴에 꽂힙니다왜 나를 살려주지 않았고왜 나를 데려 나가 주지 않았냐고왜 너만 살았냐고.

 

제가 평생 안고 살아가는 죄책감입니다세월호 사람들은 짊어지지 않게 해줘요.

 






사람이 숨쉬고 사는 게 일상이라서사람이 태어나는 것도 그리고 죽는 것도 그 일상 중에 한 부분이라서,

너를 보내는 것도 나에겐그리고 네 부모님껜 일상이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그 기억은 절대 일상이 될 수 없는 끔찍한 고통을 동반하는 것이라서

17살이던 내가 27살이 되어도 나는 여전히 눈물이 나고


나는 네가 보고 싶다.” (2010년 7월 14일 일기)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