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생물학 문제 좀 도와 주세요.
게시물ID : science_3608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진찬
추천 : 2/5
조회수 : 484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4/05/26 07:38:07
옵션
  • 본인삭제금지
일단, 프린트가,

 생물의 집단에 전파되는 것은 어떤 성질인가? (생물의 [이기성]에대해)

'이기적'성질이 집단 중에 전파되기 쉬운 것을, 이하의 계산으로 생각한다. 여기서 말하는 이기적 성질이란 자기의 자손 또는 혈연자, 즉 '자신과 똑같은 유전자를 갖고, 자기자신 이외의 타개체의 수를 늘리고자하는 성질' 을 지칭한다. (어떤 이는 이기적이다. 등의 비난적 의미가 아님.) 

 계산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는무성생식으로 생각한다.

1) 일촌이 2개의 알을 낳는 생물의 집단에, 3개의 알을 낳는 변이체가 나타났다고가정한다.

2) 2개의 알을낳는 성질을 변이A, 3개의 알을 낳는 성질을 변이B라고한다. 어느 것도 유전적인 변이라고 한다. 즉, 2개의 알을 낳는 부모의 자식는 역시 2개의 알을 낳는다. 3개의 알을 낳는 부모의 자식 또한 역시 3개의 알을 낳는다.

3) 집단의 사이즈는 100두로 한다. 성장과 생존률은 변이A, B도 다름이 없다.

그러면,
 이 비율을 각각의 자식의 수에 곱하면, 차세대의 변이A의 개체수는 198*100/201=98.51, 변이B는 3*100/201=1.49 가 된다.
이 계산을 되풀어보면, 아래의 표와 같이 24세대의 변이B의 비율은 99%에 달한다. 즉, 이 생물의 산란수는 2부터 3으로 변화한 것이 된다. 이 변화를 진화라고 부르는 것은 옯다. ‘산란수의 진화’이다.
 같은 프로세스로, 더욱 새로운 변이로써 산란수가 4도 집단중에 전파되는 것이 가능하다. 산란수가 5인 경우도 똑같이 된다. 그럼 산란수는 많아지는방향으로 점점 진화하는 것이 되지만, 자연계에서 실제 볼 수 있는 산란수는, 어떤 생물이라도 매우 다수인 것은 아니다. 왜일까? 이 질문을, 새의 실제 산란수 (clutch size 일복란수)로 생각해본다.(후일에 함)
한편 상기의 계산에 있어, 2개의 알을 낳는 생물 집단에, 보다 소산(산란수1)의 변이체가 나타났을 때, 집단중에 그와 같은 소산의 변이체의 자손의 비율이 늘어나는 것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간단한 계산에 의한 고찰이 명료하게 시사하는 것은, 생존률, 번식률(합쳐 적응률이라 함)을 상승시키는 성질(유전적 성질)이 자연선택에 진화하기 쉅다 (=이것과 같은 성질을 갖는 개체의 비율이 세대가 지남과 같이 집단중에 증가한다.) 는 점에 있어 적응도를 낮추는성질은 진화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레밍의 전설에 말해지는 ‘자기희생적 집단자살하는 성질’, 개체수의 과다에 의한 종의 멸종을 막지 위한 ‘자기의 자식의 수를 줄이는 성질’이 진짜로 진화될 수 있는 것인가?
 변이A는 99두가 2개씩 알을낳으니까, 자식의 수는 198두. 변이 B는 1두가 3개의 알을 낳으니까, 자식의 수는3두. 함계는 201두가 되지만, 집단사이즈는 100두가 한도이므로 잔존수는 100두가 되고, 생존률은100/201 이 된다.
IMG_1483.JPG

이것에서 
산란수가 3인 집단에서 산란수5의 개체가 소수 출현 했을 때 몇 세대 후 산란수5의 개체가 대다수를 채우는가 계산하시오. 소수점 1단위까지 기입하시오. 산란수 5의 개체가 99%가 될때까지 계산을 계속하시오.

IMG_1484.JPG

이거 좀 도와주세요. 계산 방법대로 따라하는데 자꾸 이상한 답이 나와서....
라인을 사용하시는 분은 보답으로 스템프?를 드리고자 합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