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기사) 서울 25개구 전지역 아파트 가격 전부 하락
게시물ID : economy_853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악마의대변인
추천 : 10
조회수 : 1438회
댓글수 : 14개
등록시간 : 2014/10/29 20:54:37
2014102400_04.jpg

(중략)

1.강남구,서초구를 비롯한 서울의 25개 구 모두 지난 5년 새 단 한 곳도 빠짐 없이 아파트 가격(매도호가)이 하락했습니다.

2.강남구,송파구,용산구,양천구의 경우 모두 1억 원 넘게 평균 매도호가가 하락했습니다.

3.아파트 매매가격 1위로 등극했다는 서초구마저도 평균 5천만 원 이상 하락했군요.

4.변동비율로 따지면 양천구가 15.84% 하락해서 가장 낙폭이 컸습니다.송파구나 강동구도 15% 가까이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그러나 동대문구나 종로구 등 강북 도심지역의 하락률은 제일 낮았습니다. 서대문구,은평구,성동구,마포구 등도 5% 이내의 하락률을 보여 지난 5년 동안의 아파트 하락 추세에서 그나마 선방한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부내용은 뉴스타파 

말하기 싫은 사실 
“서울 25개구 아파트 가격,모두 내렸다”   참조


보조 자료 : 부동산 써브에서 기사화한  "아파트 값 최고, 5년 사이 강남에서 서초로 순위 변동"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본인삭제]widowmaker
2014-10-29 20:58:05추천 1
댓글 0개 ▲
2014-10-29 21:06:32추천 9
정부나 시장에서는 뭔가 자꾸 띄우려는 분위기인데...실제로는 그런 부양효과가 안나타나고 있는게....
근데 더 큰 문제는 주택 실가격은 떨어지는데, 전세가격은 오르거나, 반월세로 전환되어 간다는 거죠....
댓글 0개 ▲
2014-10-29 21:57:53추천 1/5
2009년 기준이라는 게 이상하지 않으신지-_-
버블세븐 오름세가 멈췄던 2006년 기준으로 놓고 보면 강남-서초는 더 많이 떨어지고, 노원 도봉 강북은 오히려 올라가 있을 겁니다.

보고 싶은 통계만 보면 현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게 아닐지.
댓글 0개 ▲
2014-10-29 23:23:56추천 3
매도호가.... 실거래가 기준으로도 얼마든지 뽑을 수 있었을 텐데...
기자가 보도자료 받은 걸로 기사를 쓰셨지 않았나 (짐작만)
댓글 0개 ▲
2014-10-29 23:31:04추천 6
전체적인 기사 내용은 강남의 주택 가격을 서초구가 따라잡았다....주택가격 올랐다....라는 주장과 반대되는 실제로 5년간 주택가격 추이는 서울의 전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하락했다는 겁니다. 평균매매가(매도호가) 기준으로요....

기사는 좀 읽어 주세요...ㅠ_ㅠ"
댓글 0개 ▲
2014-10-29 23:43:24추천 7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에 따르면 10월 3주차 시세 기준 서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121만4,692가구를 대상으로 자치구별 평균 매매가를 조사한 결과 서초구가 10억3,284만 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10억1,095만 원으로 뒤를 이었다.
-----------------------
평균매매가격 이라면 매도호가가 아니군요. 매도호가는 주택을 중개소에 내 놓을 때 부르는 가격을 말합니다.
국민은행이 조사해서 발표하는 기록이 바로 이 매도호가이고 현실을 반영못한다고 그래서 욕을 먹고 있죠.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4-10-30 14:43:43추천 2
양적완화도 끝났고 국내 부동산이 재평가 받을시기가 곧 올듯...ㅋㅋㅋㅋㅋㅋ 씹망ㅋ
댓글 0개 ▲
2014-10-30 14:50:50추천 7
제2롯데월드 때문인가 송파구가 이주 많이 떨어졌네요.ㄷㄷ
댓글 0개 ▲
2014-10-30 15:05:18추천 8
진작에 내려갔어야 할 가격임.
낮은 출산율로 인한 청년층 감소는 이미 현실이고 즉 주택 수요가 감소했다는 뜻이기도 함.
이미 전국의 주택 보급율은 100%가 넘는데 집이 없다는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는 다수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뜻인데
사실상 투기를 목적으로 한 경우가 많음. 즉, 지금의 주택시장은 버블이라는 뜻.

일본처럼 거품꺼질 날이 우리에겐 예정되어 있다고 봅니다.
댓글 0개 ▲
2014-10-30 15:14:12추천 1
제주는 지금부터 불이 지펴지고 있어요...
댓글 0개 ▲
2014-10-30 15:20:56추천 9
윗분 말대로 우리나라는 이미 인구가 줄어들고 있죠 출생룰이 1 인데 부부는 2명 이고.... 즉 인구 2명이 1명을 낳고 죽으니 결과적으로 인구가 반으로 줄어드는데.. 그동안 햇가족의 확산과 인구증가 또 독신증가 등등 주택수요가 많았지만 이 모든게 정점을 찍고 이제 급격히 인구가 감소하는 시기가 왔죠.. 즉 똑똑한 투기자라면 이미 다 팔고 발 뺐어야 했는데 시기는 놓치고 집값은 떨어지니 어떻게든 집값 올릴려고 서민들 대출 부추기고 별의별 수작을 다 부리고 있죠...정말 쓰레기 같은 놈들입니다...이제 과거 imf때 처럼 현금이 최고인 시기가 올거라고 봅니다
댓글 0개 ▲
2014-10-30 15:22:32추천 0
전세가 오르는건 저금리이기 때문에 당연한거 아닌가요
댓글 0개 ▲
[본인삭제]gotmd
2014-10-30 16:15:00추천 1
댓글 0개 ▲
[본인삭제]냥이아빠냥
2014-10-30 16:55:02추천 1
댓글 0개 ▲
2014-10-30 18:01:27추천 1
아직도 많이 남았지요... 한참 더 빠져야 함.
댓글 0개 ▲
2014-10-30 19:33:12추천 1
취직하면 두달에 이십만원어치씩 금 사놓아야겠다
댓글 0개 ▲
2014-10-31 02:11:06추천 0
냥이아빠냥님. 그러면 전세도 불안하면 집을 사야된다고 보시는 편인가요?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