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MeGui를 이용한 x264 인코딩 관련 소소한 팁
게시물ID : computer_18546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oveYui
추천 : 7
조회수 : 2202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4/08/09 17:15:06
제목 없음3.png

인코딩 모드는 Const.quality, 값은 23

Const.Quality는 1pass 인코딩 하면서 인코더가 영상 정보를 파악하여 비트레이트를 뿌려줍니다

정적인 장면에선 낮은 비트레이트를 동적인 장면에선 높은 비트레이트를 뿌려주죠

고정된 비트레이트를 뿌리는 것보다 유연한 비트레이트 분배가 가능하여 더 나은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값은 18~26 정도가 권장인데 23만 되도 뭐 충분합니다 값이 낮으면 결과적으로 영상의 용량은 늘어나요

제목 없음.png

Deblocking 옵션은 필수

두가지 값 모두 -3~3까지가 적정선입니다

음수값을 넣으면 영상에 샤픈효과가 더해지고 양수값을 넣으면 블러효과가 더해집니다

실사 영상의 경우 음수값을 넣는 것이 기본이고

애니메이션은 양수값을 넣는게 기본이었으나 요샌 HD 시대라 음수값을 넣어도 무방합니다

제목 없음2.png

VBV Maximum Bitrate 값을 조절하여 인코딩 후 용량을 어느정도 컨트롤

이 옵션은 인코딩할 때 비트레이트를 최대 어느정도로 뿌려주는지 선을 그어주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쓰면 해당 비트레이트 값을 최대한 넘지 않는 정도로 최대 비트레이트 값을 정해 뿌려주지요

기본 1024x원하는 Mbps치를 넣어주면 됩니다.

1080p 영상이라도 8192 정도만 넣어주면 충분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