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C언어로 프로그램 짤 때의 몇가지 요령
게시물ID : humorbest_87506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달빛연구자
추천 : 99
조회수 : 8844회
댓글수 : 34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4/30 17:18:23
원본글 작성시간 : 2014/04/29 23:44:13
안녕하세요. 달빛연구자 입니다.
저는 주 언어를 C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다른 고급언어들과 달리 비교적 단순한 문법을 갖고 있는 C는 스스로 엄격한 규칙을 가지고 짜지 않으면, 소스가 쉽게 엉켜버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코드를 짤 때 사용하는 규칙을 몇가지 뽑아서 소개하고자 하는데요.
 C언어를 사용하시는 분들께 많은 공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하나의 함수가 오직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할 때 까지 분리할 것.
 함수를 만들 때 조건문을 사용하여, 하나의 함수가 여러가지의 기능을 하도록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요
int foo(int a, int b,int c)
{
 if(c == 1){return a+b;}
 if(c == 2){return a-b;}
 return 0;
}
이러한 형태는 함수의 재사용성과 가독성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아래와 같이 고쳐주는 편이 좋습니다.
int plus(int a,int b){return a+b;}
int min (int a,int b){return a-b;}
만약 어떠한 사정으로 반드시 foo함수와 같은 형태로 써야만 한다면 foo라는 함수가 오직 분기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아래와 같이 foo를 작성해 주면 됩니다.
int foo(int a,int b, int c)
{
 switch(c)
 {
  case 1: return plus(a,b);
  case 2: return min(a,b);
  default: return 0;
 }
}
2. 함수 내부에서 static 변수를 사용하지 말 것.
int foo(void)
{
 static int a = 0;
 a++;
 return a;
}
위와 같이 작성된 함수는 한번 호출될 때마다 1씩 증가된 값을 리턴합니다.
함수 내부에서 static 변수나 전역변수를 참조하는 것은 멀티쓰레드 동작시 재진입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능한 피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디버깅시 함수의 동작 뿐 아니라 상태까지 고려해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함수가 필요하다면, 아래와 같이 함수 외부에서 값을 받도록 바꾸어 주는 편이 좋습니다.
void foo(int *a){*a = *a + 1;}
 
3. 함수의 출구를 하나로 묶을 것
아래는 매우 흔한 형태의 메모리 누출의 예 입니다...
int foo(int c)
{
 int *a=NULL;
 a = (int*)malloc(sizeof(int)); 
 if(c == 2){return -1;}
 free(a);
 return c;
}
함수의 마지막에서 free를 잘 호출해 주었으나, c == 2 인 경우에는 free를 호출하지 못하고 함수가 끝나버리는데요..
이러한 실수가 실무에서도 상당히 많이 일어나며, goto를 활용하면 아래와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int foo(int c)
{
 int res = 0;
 int *a=NULL;
 a = (int*)malloc(sizeof(int)); 
 if(c == 2)
 {
  res = -1;
  goto END;
 }
 res = c;
END:
 free(a);
 return res;
}
함수의 출구가 항상 하나로 묶여있기 때문에 함수가 종료될 때는 항상 free를 실행하게 됩니다.
 
4. 옳지 않은 조건을 먼저 소거할 것
아래의 코드는 옳지 않은 조건을 소거하지 않는 코드의 예 입니다.
int foo(int c,int d)
{
 if(c == 1 || d == 3)
 {
  printf("ok");
  return 0;
 }
 return -1;
}
이것을 아래와 같이 바꾸라는 말 이에요.
int foo(int c,int d)
{
 if(c != 1){return -1;}
 if(c != 3){return -1;}
 printf("ok");
 return 0;
}
코드를 이렇게 바꾸었을 때 이점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블럭의 깊이가 깊어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대신에 코드가 아래로 쭉 길어지지만, 블럭이 깊어지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또한 이렇게 코드가 단순한 형태를 유지하며 아래로 쭉 길어지면 디버깅을 할 때 break point를 잡기가 수월해진다는 장점이 있고요.
5. 일반적인 목적의 함수는 가능한 특수한 목적을 갖는 함수의 형태로 감싸서 사용할 것.
글로 써 놓으니 의미가 조금 애매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자면 이런 겁니다.
printf("[error message] %s",error_message);
이러한 형태의 코드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아래와 같이 감싸서 사용하라는 의미입니다.
int error_print(const char *error_message)
{
 return printf("[error message] %s",error_message);
}
조금 소소해 보일 수 있지만, 이렇게 감싸놓은 코드는 유지보수에 감초같은 존재가 되어 줍니다.
 
6. 전역범위에서 static 을 적극적으로 활용할것.
전역범위에서의 static 예약어는 전역변수와 함수가 해당 파일 밖에서 호출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즉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전역변수와 함수들은 모조리 static을 붙여 선언해 주어야합니다.
그러면 파일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지니게 되죠..
xxx.h
 void func_init(void);
 void func_run(void);
 void func_deinit(void);
xxx.c
typedef struct { ... }xxx_t;
 static void func_a(void);
 static void func_b(void);
 static void func_c(void);
즉 위와 같은 형태로 함수원형이 선언되었다면, 이 모듈을 사용하는 사람은 static으로 선언된 함수들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고,
오직 헤더에 선언된 함수들만을 사용해서 작업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로에게 필요없는 함수와 변수를 은닉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소스파일을 하나의 객체(Object)로 보고, 인터페이스 함수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다른 파일로부터 감추는 것이
C언어로 코드를 짤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요령 중 하나 입니다. 완전한 OOP는 아니되 비교적 OOP 비슷하게 짜지 않으면, 코드의 복잡도와
상호의존도가 급격하게 올라가 프로그램의 규모가 커질수록 고생을 하게 되기 때문이죠.
 
7. 숫자를 하드코딩할 때에는 반드시 enum이나 define으로 치환해서 사용할 것.
예는 간단합니다.
int a = 5;
이렇게 쓰는 대신
#define ARRAY_SIZE_MAX 5
int a = ARRAY_SIZE_MAX;
이렇게 쓰라는 이야기죠. 이렇게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인데요. 하나는 가독성을 위한 부분이 크고요.
나머지 하나는 같은 의미의 숫자가 여러 곳에서 쓰일 때 이것 하나만을 고치면 모든 부분에 적용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 입니다.
다른 사람이 짜 놓은 코드를 분석할 때 가장 곤란한 것 중 하나가 의미를 알수없는 상수입니다.
이것을 매크로로 치환해 놓으면, 매크로 자체가 상수의 의미를 설명하는 주석이 되어 줍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할 내용은 이상 7가지 입니다.
사실 이런식의 규칙은 제가 사용하는 것만 해도 수십개가 되어서 일단은 7개의 항목만을 정리해서 올렸는데요.
개인적인 노하우기 때문에 제가 무조건 옳다는 법도 없고, 이런 규칙이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도 있을 것 입니다.
그런 걸 발견하시면 댓글로 피드백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