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김본좌아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2-07-23
방문횟수 : 3592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3995 2019-02-10 16:29:25 0
두근두근 [새창]
2019/02/10 06:37:22
글픽카드 저거 쓰면

오유 켜놓고 카드놀이 동시에 돌아가나요???
3993 2019-02-09 14:58:48 1
후방주유) 성인 영화에서 여주가 다 벗는 장면.gif [새창]
2019/02/09 11:00:51


3992 2019-02-09 01:31:55 1
(질문) 어디가 문제일까요. [새창]
2019/02/09 00:21:50
완전 초보가 아니셨군요!!

그럼 이야기가 빠르겠네요

플로드에서 80~82도라.....

발열문제가 아니라면 100% 냉납입니다!!

정확히는 냉납 초기증상같네요 아직 완전히 고장난건 아니고.....

다른거 하지마시고 FurMark 다운받으셔서 스트레스 테스트 돌려봐주세요.

퍼마크 테스트는 그래픽카드에 부하가 엄청많이 걸리는 프로그램이니 절대 5분이상 테스트하시면 안됩니다.

만약 작성자님 그래픽카드에 냉납이나 다른 문제가 있으면 퍼마크 돌리자마다 예전과 같은 셧다운 증상이 나타날겁니다.
(바로 셧다운되던가, 시작한지 1~2분안에 셧다운될겁니다)

테스트 시간은 5분 절대 넘기지 마시고, 온도 상승하는 그래프도 유심히 봐주세요.

gpu 온도가 점점 상승하다가 어느선에서 멈춰서는지를요 (최고 몇도까지 올라가서 그 온도에서 머무는지도 봐주시구요)
3991 2019-02-09 01:17:30 1
(질문) 어디가 문제일까요. [새창]
2019/02/09 00:21:50
이건 발열이 해소안되서 생기는 문제같습니다.

알고는 계시겠지만 한번 더 설명을 드리자면

CPU나 그래픽카드에는 동일하게 발열 해소를 위한 쿨링팬이 달려있고.

쿨링팬과 CPU/GPU 사이에 써멀구리스라는 젤타입 페이스트가 접착제역활을 하여 열을 전도가 원활하게 해줍니다.

작성자님 증상은 CPU 혹은 그래픽카드 둘중 한곳에서 발열이 과도하게 올라가서 컴퓨터 부품에 데미지를 방지하기위해서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켜 튕겨버리는 현상인듯합니다. (CPU던 그래픽카드던 부품을 보호하기 행동으로 정상적인 상황입니다)

작성자님이 이번에 CPU/메인보드를 교체하면서 정상적으로 올바르게 CPU+쿨러를 장착한것이 맞다면 범인은 그래픽카드겠네요.

보통 CPU/그래픽카드 발라져있는 써멀구리스 수명은 평균적으로 1년까지는 최상컨디션이고, 2년정도됐을땐 한번씩 써멀 재도포 해주셔야합니다.

작성자님이 하셔야 하는것은 최우선적으로 부품 온도를 확인할수있는 H/W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셔서, CPU/GPU 온도를 우선 체크하셔서 CPU온도가 높은지 GPU온도가 높은지 명확하게 판명을 내려야하는거니깐요.

아마 1070이 연식이 3년을 넘은 상황이니, 써멀구리스 재도포를 해줄시기가 온거 같습니다.
1070 그래픽카드가 앞으로 3년정도는 현역으로 쌩쌩 달리고도 남을 제품인대 바꾸신다니~~ 너무 아까워요!!

-마무리-
1) 부품 고장은 아닌거 같고, 아직 정확하게 누가 범인은 모르겠으나, 써멀이 말라붙어서 발열해소가 안되어서 셧다운되는 증상으로 보입니다.

2) H/W모니터링 프로그램 받아서 CPU랑 그래픽카드 온도 체크하시고,
CPU/GPU 둘다 동일합니다, 온도가 아이들시 30~40도, 게임시 70~80도까진 허용범위이나 85도 넘어서 90도넘어버리면 비정상이라고 생각하세요, 90도 넘어가는놈이 범인입니다.

3) 써멀구리스는 인터넷에서 제일싼거 주사기타입 2000~3000원짜리 아무거나 사세요 비싼거랑 차이별로 없습니다.
그거사다가 그래픽카드던 CPU던 발라주세요....

끝!
3990 2019-02-07 18:59:02 2
[새창]


3989 2019-02-07 18:47:27 1
안녕하세요? 컴알못입니다.. 견적요청아니고 질문점.. [새창]
2019/02/07 17:42:47
레이븐릿지는 윈10 전용 시피유라고 보셔야합니다
3988 2019-02-07 17:38:29 1
괴물 멀티충전기 이벤트 해봅니다. [새창]
2019/02/07 16:54:09
씨디맨님 리뷰 잘 보고있습니다.
수고많으세요.
3987 2019-02-07 09:40:07 0
5년만에 짜본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새창]
2019/02/06 19:50:50
- 먼가 오해를 하고계신거 같아요.
제가 위에서 언급한 사제쿨러는 CPU에 장착되는 CPU 쿨러를 이야기하는거에요.
CPU 쿨러는 1개만 필요하거든요. 그러니깐 HYPER 212 LED 제품은 한개만 있으면 되는겁니다.

아마 작성자님이 오해를 하신것이 케이스 내부에(전면, 상단, 후면) 장착되는(3개~5개) 쿨링팬을 사제쿨러라고 오해하신거 같아요~
작성자님 구매하신 L530케이스는 이미 케이스 쿨링팬이 5개가 장착되어 나오기때문에 추가로 쿨링팬을 구매할 필요가 없습니다.
6만원이란 살짝비싼 가격에 케이스이지만 샷시 두껍고 마감처리 잘된 정말 좋은 케이스입니다.

- 파워!
돈있으면 누구나 사고싶은 A/S 10년짜리!!!!!!!! 시소닉 골드를 그것도 850W짜리를!!!!! 어마어마한 합니다!!

850은 약간 오버구요, 작성자님은 오버를 생각하고 계신분이 아니기때문에 시소닉 750W만 사용하셔도 충분합니다.

혹시 작성자님이 850W가 마음에 드신다면 850W로 구매하셔도 아무 문제는 없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골드등급 750W만 달아주셔서도 2080이나 2080TI 커버가 됩니다.
3986 2019-02-06 22:15:05 2
5년만에 짜본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새창]
2019/02/06 19:50:50
- 아...케이스....
200만원 가까이되는 컴퓨터에 J210은 조금 심한거 같아서요....

ABKO NCORE 아수라 풀 아크릴 블랙 <--- 만원 더주고 이거 사셔도 좋구요.
3RSYS L530 강화유리 <--- 이건 삼겹살+소주 한번 안묵으면 살수있습니다,
3985 2019-02-06 22:08:15 2
5년만에 짜본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새창]
2019/02/06 19:50:50
- 견적을 보니깐 작성자님이 무엇을 의도하는지 알거같아요.
오버는 안하고 빡세게 게임을 돌리고자인거 같은대요.

- 우선 CPU가 문제인대
8500이 과연 1080나 1080TI같은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의 모든 성능을 다 이끌어 내줄 수 있을지가 좀 애매합니다...

8500은 보통 1060이나 최대 1070정도까지는 많이 사용합니다, 그 이상은 상위 그래픽카드랑 조합해서 사용하는건 잘 못봤어요....

1080이던 RTX 2070, 2080이던간에 CPU에다가 돈을 좀 더 투자하셨으면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오버는 생각이 없으니시 CPU는 8700정도가 작성자님에게 제격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픽카드
지금 기준으로 GTX 1000번대 상위 라인업 그래픽카드들이 1060을 제외하고는 단종에 들어간상태입니다.

그 결과로 1080이나 1080TI 가격이 정신줄 놓고 가출한 상태여서 절대로 구매하시면 안됩니다 너무 비싸요.

더 좋은 방법은 RTX 2000번대 그래픽카드를 구매하시는겁니다.

GTX 1070, 1070TI < RTX 2060 (40만원대)
GTX 1080 < RTX 2070 ( 50만~60만)
GTX 1080TI < RTX 2080 ( 90~100만)
<<<<<<<<넘사벽 성능 2080TI (-_-;; 140~150만)

가성비만 놓고 보면 2070이 좋아보입니다
그래픽카드 선택은 작성자님이 선택하세요.

제일 중요한거!!! 한가지 주의드리고싶은게
RTX2000 시리즈 그래픽카드에서 초기 사망이유가 있었어요. 구매한지 얼마안된 제품인대 게임하다가 모니터화면에 점자처럼 블럭이 생기면서 그래픽카드가 고장나는 문제였는대, 지금도 종종 그런문제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운인거 같기도 하고,,,아닌거 같기도하고,,)

사람들이 사망 이슈가 있다고 하더라도 2000번대 그래픽카드를 구매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가격이싸고, 확실하게 성능이 좋기때문에 구매를 하는거구요.

그래서 그래픽카드 구매하실때 갤럭시, 이엠텍, 조텍 처럼 A/S 친절하고 잘해주는 업체 위주로 그래픽카드를 구매합니다.
작성자님도 그래픽카드 결정하고 구매하실때 꼭 조텍이나 이엠텍 갤럭시 제품으로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A/S 정말 깔끔합니다.

-사제쿨러
NON-K 제품들이 기본쿨러가 포함되어있긴 하지만 그 성능이 워낙 최악인지라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게임같은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을 실행하였을때 발열에 의해서 진동과 소음이 -_-아주 많이 발생하게됩니다.

작성자님은 게임을 생각하고 컴퓨터를 구매하는것이니 4~5만원짜리 사제 공냉쿨러를 달아주시는게 한 여름 소음+진동으로부터 자유로워질거라 생각됩음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써모랩 TRINITY S5.0 트리니티 
쿨러마스터 HYPER 212 LED Turbo RED

-파워
파워도 브론즈나 골드등급정도..... 상위 등급으로 올리라고 말씀드리고 싶지만.....

다른건 모르겠구요

만약 그래픽카드를 RTX 2080 or 2080TI로 구매하신다면 파워를 무조건 750W 바꾸셔야 합니다.
(2080, 2080ti가 권장이 650w 인지라 파워를 조금 넉넉하게 넣으셔야 합니다.)

안텍이나, FSP, 골드등급 750w 파워로 구매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끝!
3984 2019-02-06 14:28:15 1
형 클럽 가려고 머리 좀 짤랐다~ [새창]
2019/02/05 20:51:05

0
3983 2019-02-06 14:24:49 0
유머를 오유에서 배웠습니다 [새창]
2019/02/06 00:29:38


3982 2019-02-06 13:25:22 0
노트북 결정장애 왔습니다... 도와주세요! [새창]
2019/02/06 10:59:31
- 본삭금이 없어서 댓글을 안달려다가,,,,작성자님 고민이 많아보여서 몇자 적고 가겠습니다.

스펙은 HP나 ASUS 제품이 차이가 없다고 보고 스펙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스펙은 도토리 키재기 인지라 의미가 없다고 보고요 -_-;;;

다만 스펙보다 더 중요한 이야기를 드려야할거 같아서요.

- 노트북구매할때 특히 40~60만원대 노트북 구매할때 제일 중요한게 먼줄 아세요?

노트북 액정 광!시!야!각! 유무입니다.

노트북이 스펙만 놓고 보면 70~80짜리 노트북이랑 비슷한대 60만원에 나왔다면 분명 어딘가에서 원가 절감을 하였을거란 말이죠...그쵸??

특히 저가형 노트북에서 광시야각이 아닌 저가형 일반시야각(TN패널) 패널을 장착한 노트북은 화면 밝기나, 액정 선명도나 모든게 최악이에요...

TN 패널이 들어간 저가형 노트북을 책상에 놓고 정면이 아니고 살짝 옆에서, 살짝 아래서, 살짝 위에서 보면 모니터가 거무틱틱하게 어둡게 보이고, 은근 신경이 쓰입니다.. 작성자님이 몸을 움직일때마다 모니터 모서리쪽, 대각선부분(끝부분)이 검정색으로 음영반전 생겨요.

https://youtu.be/YG0qY-V5Q58
말보단 눈으로 보시면 바로 이해하실수 있습니다.
TN패널, IPS패널 비교테스트인대 딱 차이가 나죠???

-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 HP 15-da0075TU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ms080315&logNo=221384564110&categoryNo=0&parentCategoryNo=0

HP 15-da0075TU 리뷰해놓은 블로그인대, 링크에 포함된 영상을 보면 먼가 이상하지 않아요??
블로거가 노트북 동영상 촬영할때 정면에서만 놓고 하죠??

그리고 TN패널 특유의 어두컴컴함도 액정 구석쪽에 살짝살짝 보이고요...
이거사서 장시간 사용하면 정신건강에 약간 무리가 올수도 있겠죠??????
그러니깐...당연히 사면 안되겠쮸?????????????????????????

■ ASUS 비보북 X507UA-EJ504
https://youtu.be/JEiN82iebWU

이 동영상을 보시면 노트북 촬영을 대각선에서 했는대도 색상반전이 없는걸로 봐서는 광시야각이 채용된 노트북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색상반전은 없는걸로 확인이 되네요.
산다면 이런걸 사야겠죠???
3981 2019-02-06 12:49:39 0
견적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새창]
2019/02/05 20:06:55
■ CPU, 그래픽카드 변경한건 이유가 있으니 패스~~

■ 파워는 조금 정리하고 가야할거 같습니다

600w 스탠다드등급 파워 최대효율이(100%로드가 걸렸을때, 제일 가혹한기준으로 잡아야해요) 80%~82%입니다.

작성자님이 85%라고 말씀하신건 아마도 로드가 50%일때를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로드 100%일때 82% 효율로 계산하면 아래처럼 되겠죠.

파워: 정격 600W * 평균 효율 0.82 = 492W

1 - 492 - 235 - 175 - 50(etc:ssd,fan,hdd) = 32W
2 - 492 - 235 - 213 - 50(etc:ssd,fan,hdd) = -6W

★솔직히 CPU오버 안하고 사용하신다면 8600K + RX580 + 600W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래픽카드도 전력을 그나마 덜 먹는 580으로 낮췄고, 8600K가 전력을 어마어마하게 먹는게 아니니까요.

■ 여기서 하나 알고계셔야하는 부분이 파워라는 부품은 연식이 오래될수록 그 파워성능이 점점 떨어집니다.

예를든다면

새제품 정격 600W 파워가 로드 100% 걸렸을때 492W라는 성능이 나온다고 치고. 아마도 5~6년 지나면 460-465정도밖에 안나와요.

1년,,,,2년,,,,3년.....5년후 해가 갈수록 부품이 노후화 되면서 매년 1W~3W 정도씩(파워마다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점점 효율이 떨어져서 몇십와트가 날라가게 되는거죠.

그 이후에 무슨 문제가 생기냐면 정상적으로 사용하던 컴퓨터가 중간에 게임 열심히하는 도중에(부하가 걸리는 작업시) 컴퓨터가 그냥 꺼져버려요.

새컴퓨터를 구매할 당시에 정확하게 시스템이 구동될정도로 딱 맞는 맞춤정장처럼 파워용량으로 구입해서 그 당시에 사용할땐 문제가 없었지만 시간이 흘러서 파워 효율이 떨어지면 그런문제가 발생하는겁니다.

■ 작성자님은 제가 드릴수있는 결론은 간단합니다.
파워를 650W 브론즈 등급 파워 구매하시면 모든게 해결됩니다...
★700W 스탠다드 살 돈으로 한등급 위 650W 브론즈 등급파워 구매하세요. 모든게 해결됩니다.....정말입니다,...해결됩니다...

FSP HEXA 85+ 650W 80PLUS BRONZE 프리볼트
ntec NeoECO NE650C 80PLUS BRONZE 

650W * 0.85(부하 100%) = 552W

552W - 235 - 175 - 50(etc:ssd,fan,hdd) = 92W
552W - 235 - 213 - 50(etc:ssd,fan,hdd) = 54W

시스템 구성할때 가장 가혹한 환경을 기준으로 파워용량 계산했을때 50W정도 넉넉하게 남아주는게 베스트입니다!!!

■ 사담으로,,오버좀 한다는분들 시스템에 들어간 파워를 한번 찾아보세요...보통 골드등급 850W부터가 기본으로 깔고가고, 1000W 골드나, 1200W 플레티넘 파워사용하는 분들이 태반이고요, 사짝이나마 오버를 생각하고 계신다면 650W 파워는 절대로 과한게 아닙니다...

■ HDD
HDD를 PMR SMR 구분해가면서 이게 좋다 저게 좋다라고 단정지어드리기 보단.
몇년전에 이런일이 있었어요 (4~5년전 일겁니다)

대기업 상대로하는 최대 클라우드&스토리지 회사에서 3.5인치 4TB~8TB대용량 HDD 불량률을 공개한적이 있었어요. 매년 발표하는걸로 알고있는대 그 중에서 유독 시게이트 제품 불량률이 높은지라....4~5년전에...특히 시게이트 3TB 제품 불량률이 40%에 육박한적도 있어서 전량 리콜된거로 알고있습니다.

그 이후로 사람들이 대용량 HDD 추천할땐 WD, 도시바, HGST(이놈은 가격이 정신줄을 놓은지라...) 제품을 구매하라고 권하는 이유가 그거구요....그래서 저도 WD 제품을 추천한겁니다..... (설명할게 너무 많아서,,,,WD로 교체하라고 말하고 끝낸것일뿐...)
http://www.newstap.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634

HDD가 살짝 느리고, 캐쉬 메모리가 작더라도 튼튼하고 안전하게 더 낫다고 보거든요...
WD나 도시바 2TB 제품으로 구매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아고 힘들어라,,,,
수고하셨습니다....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11 12 13 14 15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