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요들의유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5-12-28
방문횟수 : 111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981 2016-01-23 19:44:24 5
베오베 간 기념으로 역게 광고함 [새창]
2016/01/23 15:22:33
쯧쯧.. 저기다가는 못 붙이겠냐.. 니 인생도 참 불쌍타
980 2016-01-23 19:19:23 2
일본어 어원은 한국말 - 주모 여기 국뽕 한 사발 주시구려~~ [새창]
2016/01/23 00:22:24
국가 가르기 논리라.. 글쎄요? 그게 그렇게 중요한걸까요. 예를 들어서 1600년대 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유럽인들은... 현대 미국인의 조상이므로 미국인이라고 볼 수도 있고 실제 본인들은 자신을 유럽인이라고 생각하고 살다 죽었을테니 유럽인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요. 사실 이 2가지 중에서 어느게 정답이냐 하고 묻는 것 처럼 허무한 것은 없겠지요. 제 주장은 이런 국가 가르기와는 상관없고 다만.. 21세기 미국 언어와 유럽 언어가 같은 것은 인디언이 영어 죽어라 공부해서 그렇다. 라고 하는 것이나.. 미국 대륙에서 17세기 십자가 건물이 발굴되는 것은 인디언들이 기독교로 개종해서 그렇다거나 ..혹은 현대 미국인은 인디언이 조상이고 일부 유럽인이 유입되었다는 등.. 아무런 근거없이 편리한대로 주장하는 것을 경계할 뿐입니다. 고대 열도의 역사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979 2016-01-23 19:15:10 3
일본어 어원은 한국말 - 주모 여기 국뽕 한 사발 주시구려~~ [새창]
2016/01/23 00:22:24
시미즈 교수 연구에 따르면 한국어와 일본어는 유사하지만..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978 2016-01-23 18:08:30 2
일본어 어원은 한국말 - 주모 여기 국뽕 한 사발 주시구려~~ [새창]
2016/01/23 00:22:24
실제 고분 시대로 가도 일본은 전방후원분을 일본 고유 양식으로 선전하지만 결국 안의 부장품이나 횡혈식 석실분이라고 하는 부여 고유의 방식.. 이런것들로 급격히 교체되었다는건 ..하니하라 시뮬레이션 결과 ..열도에는 오리지날 열도인이 열에 하나였다.. 이 시뮬레이션이 맞지않나 하네요
977 2016-01-23 18:03:31 2
일본어 어원은 한국말 - 주모 여기 국뽕 한 사발 주시구려~~ [새창]
2016/01/23 00:22:24
글쎄요 저는 그냥 사실이 알고 싶을 뿐입니다. 통계의 맹점을 알고 있어서 통
계가 곧바로 진실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아래의 하니하라 카츠로우 결과를 많이 신뢰합니다.

3)  고분시대 이주민移住民의 대규모 도래渡來 실상實相

1985년 일본 <해부학회 총회>에서 고분시대古墳時代 대륙에서의 대량 도래가 있었음을 보고하였는데(이케다 지로-지전차랑池田次郞  도쿄대학) 1986년에 하니하라 가츠로우(식원화랑埴原和郞)는 [일본의 고대 5]에서 이를 수치적으로 증명해주었다
즉 죠오몽(승문繩文) 후기 추산推算 인구 약 16만 명을 만기晩期 숫자로 보고 평균 증가율을 0.1%로 하여 야요이(미생彌生)시대 도래자渡來者 추산치를 대략 10만 명으로 고분시대古墳時代는 약 267만 명으로 산출한 것이다.
지금의 일본인은 체모가 적고 밋밋한 얼굴로 따뜻한 열도에 맞지 않는 냉한지冷寒地에 적응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 착안하여 대량으로 도래한 민족이 원 일본인이 되었음을 가정하였다.   먼저 기원 1년-1000년 동안 세계 각지의 인구증가율은 미세한 차이를 무시하면 대부분 년 0.1%이다.

죠오몽(승문繩文) 말기 추정인구가 약 76,000명이며 천년千年 후인 AD 7C의 추정치는 대략 540만 명이라는 코야마 슈조우(소산수삼小山修三-국립 민족학 박물관) 박사의 연구 결과가 있다.   이로 계산하면 기간 중 평균증가율이 0.4%를 넘는다.

(앞서 말한) 자연증가만으로 인구 폭발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도래자의 대량유입에 의한 사회적 증가로만이 추측이 가능하다.   아예 년 평균 증가율을 배 이상인 0.2%로 잡아주어도 7C경 <죠오몽인> 후예와 도래인의 비율은 이미 1:9.6에 육박하며 천년千年 동안 거의 150만 명에 해당하는 도래인들의 유입이 있었다는 결론에 이른다(여기에서는 앞의 논문 267만 명과는 달리 숫자를 크게 줄여 잡고 있다)
또한 <죠오몽> 후기 인구가 너무 적다는 가정에 이를 초기 수치로 잡아도 도래인은 130만 명을 상회上廻한다.   <하니하라 가츠로우埴原和郞식원화랑  인류학 잡지 권95 제3호  시뮬레이션에 의한 고대 일본 도래자 수의 추정  1987*같은 해 8월 30일 아사히신문 소개>
976 2016-01-23 17:45:33 3/6
[새창]
정말로 다 정리하셨다면 대단하시네요..

얼마전에 읽은 글인데 이 쪽은 아직도 모르겠네요

역시 오랑캐인 거란족의 나라 요의 요사(遼史)에도 난감한 기록이 있다. 
요나라는 조선의 옛 땅에서 유래했으며, 고조선과 같이 팔조범금(八條犯禁) 관습과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遼本朝鮮故壤 箕子八條之敎 流風遺俗 蓋有存者(遼史 卷49)] 요사의 지리지에는 (수도의 동쪽 관문인) 동경요양부는 본래 조선의 땅이라. [東京遼陽府本朝鮮之地(遼史 地理志2)]고 기록하고 있다. 8조범금은 고조선 법제로 8조법(八條法)이라고도 한다. 동경요양부는 현재의 랴오양(遼陽)시다. 선비족이 조선왕이고, 요가 고조선 법제를 갖고 있다는 것은 한반도가 조선이고 고조선을 이은 땅으로 배워온 사람들에겐 충격이다.
http://cafe.daum.net/jobsik/Eseh/2?q=%BF%EC%BD%C7%C7%CF%20%BF%E4%BB%E7%20%B0%ED%C1%B6%BC%B1&re=1
975 2016-01-23 16:15:08 9
표창원의 단도직입 " 송백권 사건과 위안부 소녀상 " [새창]
2016/01/23 09:01:31
아마 표창원의 건강한 보수라는 표현을 가장 잘 나타내는 글 아닌가 싶네요
974 2016-01-23 15:37:41 4
베오베 간 기념으로 역게 광고함 [새창]
2016/01/23 15:22:33
놀고 있는 레몬아 저기가서 먹이짤이나 붙이고 오니라
973 2016-01-23 15:23:24 1
베오베 간 기념으로 역게 광고함 [새창]
2016/01/23 15:22:33
이정도면 스맛폰 중독의 막장인가
972 2016-01-23 15:19:58 9
표창원의 단도직입 " 송백권 사건과 위안부 소녀상 " [새창]
2016/01/23 09:01:31
아.. 내가 베오베를 가다니..ㅜㅜ 역사게시판 유저인데 시사글이기도 해서 여기에도 올렸습니다. 요즘 오유 역게 사람 너무 없는데 많이들 들려주세요
971 2016-01-23 09:15:45 0
실록에 나온 왕의 추리력 [새창]
2016/01/23 02:26:18
그러나 실제 역사는 계단 때문이 아니라 마당쇠 때문이었다는 이야기가 야사에 전하는데..
970 2016-01-23 09:08:45 14
표창원의 단도직입 " 송백권 사건과 위안부 소녀상 " [새창]
2016/01/23 09:01:31
전 이분한테 기대하는 것이 많습니다. 제발 부정선거 처벌좀 칼같이 했으면 좋겠네요. 일단 총선부터 막아주셧으면 합니다
969 2016-01-23 07:38:10 2
일본어 어원은 한국말 - 주모 여기 국뽕 한 사발 주시구려~~ [새창]
2016/01/23 00:22:24
열도에서 신라계 유물 출토 지역에서 억양intonation 이 강한 방언 특성이 나오는 것과 경상도 사투리에서 가가가가가 이게 걔가 가씨냐? 와 가서 가지고가서 이렇게 억양만으로 구분되는 것.. 역시 단순한 문화 이동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네요
968 2016-01-23 06:54:06 0
외국인을 위한 한국역사책을 찾습니다 [새창]
2016/01/23 06:19:29
친구분한테 한국인을 이해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괜찮지 않나 싶습니다. 전 코벨이 한국인에 대해서 내린 결론 무심함.. Casual 이라고 하는 결론을 좋아합니다
967 2016-01-23 06:53:07 0
외국인을 위한 한국역사책을 찾습니다 [새창]
2016/01/23 06:19:29
단순히 한국인만 이야기 한게 아니라.. 한국 중국 일본이 어떻게 다른가까지 이야기 한 책이라.. 외국인에게 흥미있게 읽힐지도요 여기서 코벨 이야기 하면 좀 이상해지는 분위기라.. 하지만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16 17 18 19 20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