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구릉구릉전기차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6-03-04
방문횟수 : 84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17 2016-04-12 21:01:04 0
미세먼지 제대로 알고 야외운동해요 [새창]
2016/04/11 22:11:20
실내생활 시 요리를 하면 초미세먼지가 높아진다는 지적은 맞습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요리를 하면 꼭 팬을 돌리고 요리가 끝난 후 30분 더 작동시키라고 권고하더라고요.

물걸레질 등을 통해 집안 습도를 높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16 2016-04-12 16:13:13 1
미세먼지 제대로 알고 야외운동해요 [새창]
2016/04/11 22:11:20
뉴스크래커 글을 공유해주셨네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15 2016-04-10 23:17:05 0
[새창]
미세먼지 진짜 심각한것 같아요...
오늘 밖에서 운동하시는 분들도 많으시더라고요
14 2016-04-10 16:19:29 0
[새창]
관심있으신분들은 '1등급 발암물질 미세먼지, 얼마나 위험할까…'도 한 번 읽어보세요.

미세먼지가 얼마나 유해한 물질인지 다시 생각해볼 기회라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http://newscrackers.co.kr/2016/04/09/1등급-발암물질-미세먼지-얼마나-위험할까/
13 2016-04-07 20:21:23 1
[새창]
리콜 관련 정보 꾸준히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10 2016-03-31 23:01:14 0
미세먼지는 뭐고 황사는 뭔가요? [새창]
2016/03/31 10:21:41
조사해보니 구분이 다음과 같더라고요.

황사: 중국 발 모래먼지 + 공해물질(미세⋅초미세먼지)
미세먼지: 공해물질. 치명적인 폐질환의 원인. PM10
초미세먼지: 공해물질. 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 PM2.5 (미세먼지 1/4 이하의 크기)
9 2016-03-17 13:09:54 0
[새창]
오유 글의 포맷에 대한 말씀이신가요?
8 2016-03-10 20:59:28 0
[새창]
이세돌 9단이 두번째 대국에서도 패배했네요... 많이 아쉽습니다...
7 2016-03-10 20:58:13 2
[새창]
우선 댓글 감사합니다.

댓글의 내용이 "판후이 vs 알파고 = 48 CPUs + 8 GPUs", "이세돌 vs 알파고 = 1202 CPUs + 176 GPUs" 였습니다.

제가 알기로 48 CPUs + 8 GPUs 알파고는 초기모델로 '단일 시스템'이고, 판후이와 이세돌이 상대한 알파고는 모두 '분산 시스템' 버전이었습니다.

사실 많은 기사들이 뭔가 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이 부분을 애매하게 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구글은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 앞서 판후이 대국 이후에 무리한 컴퓨팅 능력 (CPU나 GPU의 추가)보다는 알고리즘 등을 개발하는데 더 힘을 쏟았다는 요지로 이야기를 했습니다.

전자신문의 기사가 그나마 잘 정리한 느낌이었습니다. 아래는 기사의 일부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딥마인드가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초기 알파고는 48개 CPU를 탑재한 서버로 구현됐다. 방대한 양의 기보를 학습하고 다른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과 500번 이상 겨뤘다. 인간과 대결을 준비하면서 컴퓨팅 파워를 더 늘렸다. 초기 모델보다 40배가 넘는 1900개 CPU를 탑재한 고성능 시스템을 장착해 테스트하기도 했다.

지난해 10월 판후이 2단과의 대결에 모습을 드러낸 알파고는 1202개 노드로 운영됐다. 데미스 하사비스 딥마인드 CEO는 무리한 컴퓨팅 파워 확장보다는 알고리즘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초당 10만개에 달하는 수를 고려한다. 최고 바둑기사보다 최대 1000배 빠르다."

링크: http://www.etnews.com/20160310000138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
6 2016-03-10 17:24:49 0
[새창]
첫 베스트네요^^ 추천해 주신 분들 모두 고맙습니다 !
5 2016-03-08 08:03:10 0
저 바보같은 질문이지만요... [새창]
2016/03/08 04:06:24
금리에 대한 좋은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득세 등은 위에 분들이 이미 좋은 설명해드렸으니 기준금리에 대해서만 말씀 드릴게요.

결론만 말씀 드리면, 마이너스 기준금리 도입의 결과로 일반 대중이 은행에 돈을 맡겼을 때 이자 대신 수수료를 낼 일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시중은행에 적용하는 금리인데요, 예를 들면 한국은행에 국민은행이 돈을 맡겼을때 한국은행이 지급하는 이자라고 생각해도 되겠네요.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다음 기사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준금리란, 한은과 시중은행간 거래되는 ‘7일 채권금리’ (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320758.html )
4 2016-03-04 17:17:33 0
[새창]
세계 경제 혼란이 '연초 국제 유가 하락'도 한 원인이겠지만, 중국의 경기 침체 등 세계적인 수요 감소라는 악재 속에 일어난 미국 기준금리 인상도 한 몫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아시아 증시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처럼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는 이렇다 저렇다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말씀하신대로 니케이 지수가 오늘 17,000포인트를 회복한 것을 두고 모멘텀(흐름)이 상승으로 돌아섰다고 평가하려면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위에서 말씀 하신 '세계 경제 혼란'이라는 게 '현재 진행 중'이니까요.

주가 = 기업가치 보다는 기업의 미래 예상가치 라고 말하는게 더 정확할 수도 있습니다. 윗 문단에서 '심리적 기업가치'라는 표현을 사용했기에 중복되는 것 같아서 단순히 '기업가치'라고 적었습니다.
3 2016-03-04 16:45:06 0
[새창]
현재 반등하고 있는게 맞습니다. 2 / 9일에 블로그에 올렸던 글이라 그 부분은 삭제를 했어야 했는데 실수했네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1 2 3 4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