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슈크림단팥빵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0-12-21
방문횟수 : 3978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1232 2017-08-31 13:09:24 85
한화가 승부조작에서 빠져나갈수 있었던 이유.jpg [새창]
2017/08/31 11:08:17
투머치토커의 말을 잃은 표정이라니....!!
1231 2017-08-26 10:54:19 10
기억에 남는 미드 명대사 하나씩 적어보아요~ [새창]
2017/08/26 10:27:27
세이 마이 네임.
1230 2017-08-24 18:54:26 2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http://www.phiko.kr
저는 이곳에서 단열재 관련정보를 얻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요.
1229 2017-08-24 18:00:11 2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저희 지역도 대로쪽은 열반사+돌마감, 뒤편이나 옆면은 스티로폼+드라이비트인 건물이 많아요. 지역별로 유행을 좀 타나보네요 ㅎㅎ
1227 2017-08-24 17:56:51 1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사실 건축에 있어서 단열이라는게 필요성적서만 갖추면 넘어가지고 직접 살아보지 않으면 제대로 된건지 알수가 없는거라서요. 반대로 열반사단열재로 단열을 제대로 했다면 다른 부분에 있어서도 믿을수 있는 건물이 되겠죠. 하지만 이건 진짜 몇년 살아보지 않으면 알수가 없는거라....
1226 2017-08-24 17:54:54 1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음 중부지역 공동주택 기준으론 pf보드(페놀폼보드)나 경질우레탄보드도 돌마감이 어렵구요. 남부나 제주지역은 스티로폼을 써도 아직 돌마감이 가능합니다. 제가 있는지역이 경기도라 그 기준대로만 생각해서 아예 안된다고 말씀드렸네요.
1225 2017-08-24 11:59:48 9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결론적으로는 열반사단열재라는것 자체가 문제가 있는건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제대로 성능을 내기가 매우 어렵다는거죠. 또 문제는 앞으로 열반사단열재를 더 많이 사용할거라는 겁니다. 작성자님이 돌마감은 열반사단열재를 사용한게 아닌가 의심해야 된다고 하셨는데, 지금은 돌마감은 열반사단열재가 아니면 아예 불가능해요. 단열규정이 강화되어 스티로폼의 경우 155미리 이상을 써야하는데 거기에 돌을 붙일수가 없습니다. 열반사단열재는 50~60미리면 되구요. 좋은 소식은 화재엔 좀 취약해서 사용이 제한될수도 있어 보이네요. 물론 지금도 준불연성적이라고 화재에 안전하다는 성적을 가지고 있지만 이 역시 시험만 통과하도록 제품을 만들고 있는데, 이 시험방법을 조만간 바꿔서 시험 성적이 아니라 실제로 화재에 안전한 단열재만 사용하도록 하겠답니다. 그렇게되면 열반사단열재뿐만 아니라
사용할수 있는 제품이 몇개 안남긴하지만요.
1224 2017-08-24 11:52:08 10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제품뿐만이 아니라 시공 과정에서도 문제가 많습니다. 열반사 단열재 시공하는걸 보면 사실 별거 아닌거 같거든요. 그래서 대부분 전문 시공업자가 아닌 다른 시공하는 분들이 겸사겸사 하는 경우가 많아요. 인건비도 아낄겸. 그리고 시공하자가 발생하는거죠. 시공이 올바르게 됐어도 후속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감하다가 걸리적 거리면 따내거나 뜯어버리고 작업하는데 당연히 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겠죠. 그래서 후속공정할때 단열재에 손상을 주지말고 공정이 이루어질수 있게 부자재들이 개발이 되었는데, 역시나 추가로 돈이 들어가서 안쓰는곳이 많습니다.
1223 2017-08-24 11:48:01 12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열반사단열재 제품을 가지고 이야기하자면 사실 제품 자체는 나쁘지 않아요. 예시로 보여주신 그림은 10미리정도 돼보이는데요 요새는 50미리까지 제품이 나옵니다. 단순히 두께만 늘린것이 아니라 내부공기층을 형성하여 복합구조체로써 단열성능을 내는데 성능자체는 좋아요. 다만 문제는 시중에 있는 열반사단열재 제품 중 제대로 된게 몇개 없다는거죠. 그리고 제대로 된건 당연히 더 비쌉니다. 인증된 제품을 사용하는곳에선 나머지는 짝퉁이라고 부르는데요. 공사하는데 돌아다녀보면 짝퉁이 시공된 곳이 훨씬 많습니다. 싸니까요. 짝퉁과 인증제품은 재질부터 완전히 다르지만 겉으로 보기엔 차이가 없고 짝퉁제품들도 시험성적서는 다 가지고 있어서 서류상으로도 문제가 없다는게 큰 문제입니다. 열관류율 시험받을때만 제대로 된 제품을 보내서 성적을 받는거죠.
1222 2017-08-24 11:39:12 18
신축건물 입주하실 때 고려해야 할건축용단열재의 불편한 진실을 알려드릴게여 [새창]
2017/08/24 09:28:56
얼마전까지 열반사단열재 시공일을 했었습니다. 오해를 줄이고 이해를 돕기 위해 몇가지 덧붙여보겠습니다.
일단 열전도율보단 열관류율이 더 중요합니다. 법적으로 지역별, 부위별로 나눠서 열관류율 몇이하로 규정되어 있고요. 열전도율을 계산해서 두께 뽑는게 열관류율 기준으로 하는거에요. 즉, 열관류율 시험을 받는게 열전도율 시험보다 더 정확한 성능을 알수 있는거죠. 문제는 열관류율을 현장에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는거에요. 열관류율 측정은 콘크리트에 단열재를 붙이고 마감까지 한 상태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런데 그 시험을 받을때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 아니면 측정된 열관류율값이 나오지 않는것이죠. 그래서 원칙대로라면 현장의 마감구성에 따라 열관류율시험을 다 따로 받아야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1221 2017-08-21 19:11:47 0
랜덤채팅 레전드ㅋㅋㅋㅋㅋㅋㅋㅋㅋㄱㅋㄱㄱㅋ [새창]
2017/08/21 18:16:42
세박자 히고~~~~<
1220 2017-08-16 16:36:01 130
셀카 찍을 때 공감.manhwa [새창]
2017/08/16 14:22:11
사실 제일 슬픈건 사진 못나온거 같아서 안타까워하고 있는데 친구들이 다 사진 잘나왔다고 사진빨 죽인다고 막 그럴때
1219 2017-08-16 00:43:22 0
공게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여기에 올려도 될까요? [새창]
2017/08/16 00:33:35
이번 바다거북스프 붐에 첫글을 올렸던 작성자입니다. 처음 글을 올리기전에 바다거북스프를 검색하다보니 오유 공게에 글이 올라왔던게 있어서 공게에 올리게 된거에요. 요새 많은 글이 올라와서 즐겁고 기쁘지만 작성자님 말씀대로 공포랑은 거리가 먼 이야기들이 많아서 괜찮을까 걱정하기도 했는데 이렇게 글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게분들의 의견을 들어보는게 좋을거 같아요.
1218 2017-08-16 00:10:58 0
[바다거북스프]재밌네요.. 자기전에 한편 더 해볼까 합니당ㅎㅎ 2 [새창]
2017/08/15 23:38:14
객사한 노인은 범죄자였나요?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6 7 8 9 10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