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스쿼트 자세교정 정리
게시물ID : humorbest_128912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reload
추천 : 64
조회수 : 7200회
댓글수 : 1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6/08/03 23:52:11
원본글 작성시간 : 2016/08/03 22:18:23
옵션
  • 창작글
A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경우  
1..골반궤적을 좀 더 뒤로 이동-> 무릎을 구부려 앉기 전에 엉덩이를 좀 더 뒤로 내밀어 중심궤적을 뒤로 맞춘다 
2..시작부터 끝까지 명치를 들어올려서 척추를 정렬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호흡은 시작전에 공기를 들이마셔서 가슴을 팽창시킨다는 느낌에서 시작하여앉았다 일어나면서 밷어주고 다시 시작전에 들이마시고를 반복한다.발살바메뉴바를 안다면 이해가 쉬울것이며, 또 한 상기 언급한 흉곽 포지션에도 용이하다명치(검상돌기)를 들어올린다는 것은 흉추부를 위시한 척추를 정렬시킨다는 의미이며이 때 하나의 팁을 더 추가하면, 양쪽 견갑골을 모으듯이 잠궈주면 흉곽이 자연스레 열린다. 
3.발바닥 기준 무게중심점 포인트를 체크한다->시작시 보다는, 앉기 시작하면서 부터의 자신의 무게중심점을 느껴보고 발바닥 앞꿈치에 실릴 때는.뒷꿈치를 바닥면에 협착시켜야 하는데, 발목관절의 전방굴곡각을 늘린다면 뒷꿈치 떨어짐과앞으로 쏠림을 잡아낼 수 있다(발목접기가 잘 되지 않을 경우,유연성의 문제이니 발목조인트 스트레칭과 종아리 문지르기를 병행한다)
* 신장이 크고 체형이 긴 유형들은 위 사항들을 실천하더라도 체형특성상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때에는 또 다시 두가지 방법을 찾을수 있는데, 
a.발뒷꿈치에 부목이나 원판을 밟아서 경사를 준다->관절각도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레 중심궤적이 후방으로 이동하면,뒷꿈치로의 지탱력이 증가한다 
b.어깨위에 바를 올리는 포지션을 승모근 상부인 하이바 포지션에서, 날개뼈쪽으로 내리는 로우바 포지션으로 변경한다 -
>로우바 포지션에서는 상대적으로 상체 전면기울기가 증가하며(더 숙이게 되며),마찬가지로 무게중심 궤적이 자연스레 후방으로 이동하여 보다 안정감 있는 반복이 가능해진다.하이바포지션과의 차이점이라면 궤적상 하중이 대퇴부보다는 둔근으로 많이 실리는 경향이 있으며,이러한 이유로 중량을 관점으로한 리프팅에서 마니 쓰인다.. 
B무게중심이 뒤로 쏠리는 경우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축약된다.체간부의 굴곡이 심하거나(허리가 과하게 접히거나),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의 굴곡(구부러짐이)이 부족한 경우다.위 두가지 증상이 동시적이거나 개별적이거나이다. 
a.앉을 때 엉덩이를 뒤로 과하게 내밀지마라.무릎과 발끝선 위치나 뒷꿈치 들림을 이유로 드는데, 전자는 사람마다 체형특이성(대퇴부와 정강이뼈 비율,신장의 길고 짧음)에 근거해 맞지 않으며, 후자는 발목굴곡이나 허리와 하지후면 이완으로 해결된다.스쿼트는 척추를 정렬시키고 상체를 들어서 어깨위의 중량을 하체까지 전달시켜야 한다.허리가 접혀서 중량이 요추에 쏠리면 그건 바벨 굿모닝이지 스쿼트가 아니다. 
b.앉았을때 발목조인트를 더 접어서 슬관절(무릎)이 좀 더 앞으로 나오게 해줘야 하며,이러면 자연스레 무릎이 더 접히게 되어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앞꿈치 들림이 해결된다.->만약 발목이 생각처럼 접히지 않고 뻣뻣한 느낌이 든다면.스트레칭과 종아리문지르기(좀쎄게,자가로 할 경우 엄지로 지압하듯이 풀어주며,타인도움시 팔꿈치로 눌러달라고하자)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