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Legacy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1-10-16
방문횟수 : 809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735 2018-04-26 22:18:17 0
[새창]
겁나 커도 되고 적절히 커도됩니다.
734 2018-04-26 22:17:49 1
[새창]
에효..알겠습니다... 헐레벌레님이 요구하시니 과정내에서 찾아보죠. 이걸 왜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아래는 헐레벌레님이 쓰셨던 것 중 9-1부터 입니다.

9. 평행속도가 0이 아니므로 (8번의 사실과 함께 생각하면) 접촉면에 마찰력이 발생합니다. 이 마찰력은 마찰계수에 의존합니다.
>> 넵

9. 근데 마찰력은 평행속도를 줄입니다.
>> 넵

10.근데 이건 역학적 에너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죠 (5번, 7번, 9번에 의해). 근데 이건 모순임니다. 9번이 문제가 있죠?
>>역학적 에너지를 무조건 줄이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반례는 이미 들었습니다. 정지마찰력이 작용하면 역학적에너지를 줄이지 못합니다.
10번 과정이 틀렸으므로 이 이하 모든 과정은 틀렸습니다
733 2018-04-26 22:13:43 0
[새창]
과정에서 틀렸으니 반례가 나오는 것이겠지요? 혹은 무조건 0이 아니라던가?
732 2018-04-26 22:09:03 0
[새창]
마찰계수가 0임을 증명했다 칩시다. 근데 마찰계수가 큰 경우도 되네? 라고 하면 그 증명은 틀린거 아닌가요?
731 2018-04-26 22:07:29 0
[새창]
헐레벌레//

자꾸 같은 질문해서 죄송스럽습니다. 마찰계수가 큰 것이 이 모델링에 큰 결점이 되나요?
730 2018-04-26 22:05:36 0
[새창]
증명이 틀린것은 증명과정에서만 알아낼 수 있는게 아닙니다. 증명하고자 하는 내용에 반대되는 예시 하나만 들 수 있어도 그 증명이 얼마나 정성을 쏟아서 적었든 틀린거에요.
729 2018-04-26 22:04:13 0
[새창]
헐레벌레//
틀렸어요.. 마찰계수가 매우커도 모델링에 문제가 없잖아요.
728 2018-04-26 21:58:50 0
[새창]
**그리고 이것은 첨언입니다.

헐레벌레님이 설정2를 받아들이지 않으므로써 하고 싶은일은 이미 위에서 적으셨고 이미 제가 보고 이해도 했습니다. 수평성분의 힘이 있어야 하는데 마찰계수가 0이어야 하는 그런상황 모순이니 전제는 틀렸다~!

근데 그런 상황도 있지만 마찰계수가 무척 큰 상황을 도입하면 문제가 없지 않느냐? 라고 저는 묻고 있는 겁니다. 제가 헐레벌레님 말을 이해못해서 딴소리를 하는게 아니라는 점을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727 2018-04-26 21:53:27 0
[새창]
헐레벌레//
마찰계수가 매우 크면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제 주장을 너무 잘 뒷받침해주는데 그걸 왜 안하시는거죠?
헐레벌레님이야 말로 선택적 모델링, 좀 더 정확히 말씀드리면 가능은 하지만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것을 쓰지 않는 모델링을 하고 싶으신 거 아닙니까?

헐레벌레님이 마찰계수가 무척크다라는 설정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으시다면 아래 과제를 해결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이상적 탱탱볼의 충돌 상황에서 마찰계수는 무조건 0이 될 수 밖에 없다." 임을 증명해주세요. 마찰계수가 크다는 조건을 넣어도 딱히 모델링에 문제가 없어보이니까요
726 2018-04-26 21:44:31 0
[새창]
헐레벌레/
아까전부터 제로베이스 였고그것은 제가 1번부터 12번까지 동의와비동의를 구분할때부터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시고자 하는 바를 적으시지요.
725 2018-04-26 21:41:28 1
[새창]
댓글을 잘못달았었습니다 ㅎㅎ
일단 엔델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저는
724 2018-04-26 21:40:21 0
[새창]
헐레벌레/ 네 이에대해서 낱말을 잘 쓰셔야하는데 찌그러짐에는 에너지손실에 대한 내용이 없어야 합니다. 탄성충돌 또한 충돌시간0초에 대한 내용은 빠져있야겠죠.
723 2018-04-26 21:34:08 0
[새창]
헐레벌레/

알겠습니다 차례로 한개씩 댓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722 2018-04-26 21:33:42 1
[새창]
헐레벌레/
아 저도 선택적 모델링을 하자는 얘기가 아닙니다. 제 댓글을 다시 살펴보시면 ...

"선택적 모델링이 불합리한 것은 우리 둘다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나 이 이상적인 탱탱볼의 상황에서 마찰계수가 큰 경우를 상정하는 것은 선택적 모델링이 아니라 합리적 모델링이다."
"따라서 이 모델링을 한 것이고 이 경우에 에너지 손실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우리 둘 모두 선택적 모델링은 하면 안되니까 이 논의를 하고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쵸?

자, 그럼 헐레벌레님 말씀에 대한 답을 해드려 보면.

<그럼 마찰계수가 엄청 크다고 설정을 하자는 제안을 하신건가요?> = 처음엔 제안이라는 것까진 생각도 안하였지만 그렇게 받아들이실 수 있다는 점 인정합니다. 저는 이상적 탱탱볼이 가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열거했을 뿐으로 이 다양한 가능성 중에 에너지 손실이 안되는 모델이 있다면 차용하여 탄성충돌 때 충돌시간이 꼭 0초일 필요는 없다라는 내용을 주장하고 싶은겁니다.

<저는 마찰게수를 설정하지 않고 기존의 가정과 고전물리로 부터 마찰계수 0을 이끌어 내려고 노력중입니다.> = 마찰계수 0을 이끌어 내려는 것은 헐레벌레님의 관점이지 제 관점은 아닙니다. 이를 저에게 강요하시려면 이론적으로 0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 즉, 이상적 탱탱볼일 경우 마찰계수가 0이 아니면 안된다임을 보이셔야 할것입니다.
721 2018-04-26 21:24:01 1
[새창]
헐레벌레//
에너지 손실을 말하고 싶으신건 헐레벌레님이시지 저는 아닙니다.
저는 탄성충돌할 때 충돌시간 0초가 아닌 경우를 생각하는 것이 왜 선택적 모델링이 아닌가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을 뿐이며 이에 맞는 가장 적당한 예를 헐레벌레님이 좁혀 놓으신 이상적 탱탱볼에서 가능한 합리적 모델링을 제시한 것입니다. 당연히 제가 제시하는 모델은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결론으로 귀착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1 2 3 4 5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