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매운감자깡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1-11-09
방문횟수 : 4835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2052 2018-02-10 15:20:10 1
노트북 사려고하는데 질문있어요!!!!!! [새창]
2018/02/10 14:12:16
노트북은 정해진 스펙으로 출시하기 때문에 제조사 사이트에서 해당 기종 검색하면 맞는 드라이버 쭈욱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최신 드라이버들은 따로 구하시면 가능할테구요.
윈10 정도면 웬만한 드라이버는 알아서 잡히는데, OS 설치 후에, 안 잡힌 장치들 드라이버만 제조사 사이트서 받은 드라이버 설치해주셔도 되구요.
윈10 설치는 설치 USB 하나 만드시거나, 패키지 사면 딸려오는 USB 꼽고 부팅한 다음 그냥 프로그램 설치하듯 읽고 예 아니오 정도만 눌러주셔도 될 정도..
설치할 때 OS 설치할 드라이브 선택해서 한 번 포맷하고 설치해주시면 깔끔하겠네요.
2051 2018-02-10 15:09:39 1
랜섬웨어에 당했네요 [새창]
2018/02/10 13:25:34
메인보드 이상은 첨 듣습니다.
랜섬웨어는 필수적은 OS파일만 남겨두고, 전부 암호화시켜서 몸값을 요구하는건데
메인보드를 망가뜨려버리면 몸값 요구를 할 수가 없잖아요;;
랜섬웨어는 포맷만 하면 깔끔합니다. 랜섬웨어에 메인보드 교체는 이상해보입니다.
2050 2018-02-08 16:28:24 1
예산문제) CPU 성능 타협 VS 글카 성능 타협? [새창]
2018/02/08 14:30:36
기존 윈도우가 OEM이라면 대대적으로 하드웨어가 바뀌는 이번엔 재사용 못하실 겁니다.
처음사용자용이라면 시디키 확인하시고 설치할 때 다시 입력하시면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결해두면 알아서 시디키 저장되서 입력됐던 거 같긴한데,, 그래도 한번 확인은 해두세요.
2049 2018-02-08 16:22:58 1
예산문제) CPU 성능 타협 VS 글카 성능 타협? [새창]
2018/02/08 14:30:36
8400이 헥사코어이기 때문에 60은 커버하고도 남을 겁니다.
CPU 전용 작업 돌리시는게 아니라면(이 경우면 차라리 라이젠이 낫죠) 8400으로도 충분할 거 같아 보입니다.

추가 질문에 대해 윗분들 말씀하시는건
기존 SSD, HDD 재사용하셔도 좋은데,
OS가 설치되어있는 SSD는 포맷하고 새로 윈도우 클린설치 해달라는 뜻입니다. 이전 하드웨어 따른 드라이버, 레지스트리 찌꺼기가 남는겁니다. 충돌날 가능성도 있고 찝찝해요. 어차피 포맷 자주 안하시는 거 같은데, 새 컴이면 한번 클린 설치 시원하게 해주세요.
2048 2018-02-08 11:32:47 1
모니터 질문드려요 [새창]
2018/02/08 11:05:53
주사율이라는 건 초당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 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60Hz면 1초에 60번 깜빡이니 60장까지 표현가능하고, 144Hz는 144장까찌 표현가능하죠.
대개 60Hz가 방어가 된다면 버벅인다는 느낌을 갖진 못하는데, 혹 최저프레임 방어가 안되는 건 아닌지 확인해보시고,
최저 프레임 방어가 되는데 60Hz를 버벅인다고 느낀다는게 맞다면, 위 모니터 구비하시면 144fps 이내의 프레임은 모두 표현되므로 더 부드럽다고 느끼실 겁니다.
2045 2018-01-30 10:17:25 3
노트북으로 배그돌리는데 뽐뿌가 오네요 [새창]
2018/01/30 09:51:14
노트북이 썬더볼트 지원 안하는거 같은데요?
연결 못하실 거 같아요.
2044 2018-01-25 17:59:59 1
[최종] 200만원 모니터 포함 배그 상옵 가능하겠죠?? [새창]
2018/01/25 14:39:24
한달 전에 1070 ti를 66에 샀는데 70이 81이군요ㄷㄷㄷ물론 제가 샀던 건 이엠텍 건 아녔찌만,,
2042 2018-01-24 12:39:01 1
모니터 4k 질문좀 드려봅니다 [새창]
2018/01/24 11:24:15
FHD = 1920 * 1080
UHD = 3840 * 2160 = 1920 * 2 * 1080 * 2 = 1920 * 1080 * 4
표현해야하는 점 갯수가 4배입니다. 계산해야할 게 훨씬 늘어난거예요. 당연히 프레임 떨어지구요.
주사율보다 프레임이 높게 나오면 티어링이라고 화면 밀리는 듯한, 찢기는 듯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60프레임 넘으면 그런 현상이 보일 겁니다.
이건 수직동기화를 켜서 최대 프레임을 60프레임 제한 걸어버리면 사라집니다.

60프레임을 항상 넘거나, 최저프레임이 그래도 할만하다 -> 수직동기화만 켜주시면 되고
최저프레임이 화날 정도인데, 난전이 아닐 땐 60프레임 넘게 나와서 티어링이 생긴다 -> 해상도나를 좀 줄이고 수직동기화를 켜주세요.
2041 2018-01-23 23:13:41 0
써멀 쓰로틀링 맞다고 봐야되는 걸까요? [새창]
2018/01/23 22:13:32
아뇨 그거 하나면 놋북에서 바를 면적은 넓지도 않아서 많이 쓰셔도 CPU GPU 모두 너댓번 이상은 재도포할 분량 충분히 나올 겁니다.
잘만 stg-2 요게 값 검은 동네 테스트에서 성능 괜찮다고 봤어요. 가격은 찾아보신 대로 배송비까지 약 만원.
USB 옆에 꽂는 쿨러는 뭘 말씀하시는 지 모르겠는데,
사실 놋북 아래에 뭔가 받춰서 공기 순환될 공간 만들어주는 것만으로도 효과있어요. 쿨링패드 하나만 쓰셔도 좋을 거예요.

아랫분 말씀대로 저도 저기 들어가보니 CPU 로드율이 50%내외로만 찍히는데, 제대로 풀로드 한번 걸어보고 싶으시면 linx나 intel burn test 같은 프로그램 받아서 돌려보시면 될 거예요.

네 먼지 청소 그거면 충분해요. 처음이시면 뜯자마자 쿨러 쪽 히트싱크랑, 쿨러에 먼지가 엄청날텐데, 붓같은 걸로 훌훌 털어주셔도 좋아요.
2040 2018-01-23 22:53:17 0
써멀 쓰로틀링 맞다고 봐야되는 걸까요? [새창]
2018/01/23 22:13:32
히트싱크 하나로 두 개의 칩셋이 연결되는데 왼쪽에 가로로 긴게 CPU, 정사가각형 모양이 그래픽카드 GPU 입니다.
특히 게이밍 놋북들은 작은 크기에 고사양을 넣다보니 발열이 많기 마련이라 게이밍 하시는 거면 쿨링 신경 써주시는게 좋아요.
이불 위 같이 노트북 하단이 공기 순환될 수 없는 곳에서 사용하지 마시고, 쿨링패드도 쓰시면 좋구요.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16 17 18 19 20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